|
해고예고 규정은 효력규정으로 이를 위반한 해고는 무효라는 견해이다.
3) 상대적 무효설
해고예고제도 위반해고는 무효지만, 해고 통지 후 해고예고기간 지나거나 예고수당 지급 등 사후에 요건 갖추면 유효하다는 견해이다.
2. 판례
판례는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8.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예고의 예외
1. 즉시해고
천재·사변 기타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계속이 불가능한 경우 또는 근로자가 고의로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거나 재산상의 손해를 끼친 경우에는 즉시해고를 할 수 있다(제32조제1항 단서).
2. 해고예고제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3.1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기 위한 것이다. 1. 합의퇴직
2. 해고제한의 법리와 정당한 사유
3. 정리해고의 유효요건
4. 해고시기의 제한
5. 해고예고제도
6. 부당해고의 구제절차
7. 근로관계종료 후의 근로자 보호
8. 퇴직급여제도
9. 퇴직금
10. 금품청산
|
- 페이지 3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예고를 하지 아니하고 근로자를 해고한 경우에 당해 해고의 사법상 효력에 관하여 견해가 나뉘어 있다. a. 유효설에 의하면 해고예고제도 또는 해고수당의 지급은 단순한 단속규정에 불과하므로 정당한 사유가 있는 한 해고 자체의 사법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당연월차 유급휴가와 상여금을 16~23%밖에 적용받고 있지 않으며 유급출산휴가는 5%, 사회보험은 22~25%만 적용받는 등 근로기준법 및 사회보험 등 각종 노동관계법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 중 거의 대부분이 법이 적용됨에도 제대로 지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