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고된 회사보다 현저하게 낮다고 볼 수 없고, 또 복직의사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복직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태에서 징계해고 후 9개월이 넘어 해고무효의 소를 제기하는 것은 신의성실의 원칙 내지는 실효의 원칙에 비추어 허용될 수 없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된 후 아무런 이의를 유보함이 없이 퇴직금 등을 수령하자, 사용자가 해고문제는 이제 마무리된 것으로 믿었다고 할 때에도 그 믿은 사용자는 바로 '부당한 해고'를 자행한 그 사용자인 것이다.
_ 이상으로 해고무효의 주장과 실효의 원칙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와 부당해고, 중앙경제사, 1995
○ 김소영, 해고제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김형배, 노동법, 박영사, 2004
○ 부당해고와 위자료, 노동법연구 제7호, 진원, 1998
○ 연구논문, 해고자유원칙의 수정과 부당해고의 제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칙의 소송법상의 발현 형태로 이해할 수 있다. 소권의 남용은 소권이 그대로 존재하고 있는데 그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실효의 원칙과 다르다.
Ⅴ. 신의칙 위반의 效果
신의칙에 반하는 소송행위는 부적법한 것이다. 따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에 대한 법적 규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회적 합리성이 결여된 여러 형태의 차별적 해고를 보다 포괄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입법을 강구하여야 한다. 김소영, 조용만, 강현주.『부당해고 구제의 실효성 제고방안』한국노동연
|
- 페이지 3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