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고문제는 이제 마무리된 것으로 믿었다고 할 때에도 그 믿은 사용자는 바로 \'부당한 해고\'를 자행한 그 사용자인 것이다.
_ 이상으로 해고무효의 주장과 실효의 원칙에 관한 논의를 마친다. 하급심 판례 및 일본의 판례를 이 글에서 수용하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 후 9개월이 넘어서야 무효를 주장하여 이 사건 소를 제기하는 것은 신의성실의 원칙 내지는 실효의 원칙에 비추어 허용될 수 없다고 판단한 원심의 조치에 기록을 살펴보아도 무슨 위법이 있음을 찾아볼 수 없다. (대법원 1993. 4. 13. 선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 후 9개월이 넘어서야 무효를 주장하여 이 사건 소를 제기하는 것은 신의성실의 원칙 내지는 실효의 원칙에 비추어 허용될 수 없다고 판단한 원심의 조치에 기록을 살펴보아도 무슨 위법이 있음을 찾아볼 수 없다. (대법원 1993. 4. 13. 선고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효소송
- 동일한 사건에 대하여 근로자는 부당해고 구제신청과 민사상 해고무효확인소송 양자를 선택하거나 동시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 구제신청은 해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청하여야 하지만, 민사소송은 신의칙 또는 실효의 원칙 ,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의 효력을 다투는 소를 제기하는 것은 신의칙이나 실효의 원칙에 반하여 허용되지 않는다고 한다.
3. 입증책임
해고무효확인소송에서 해고사유의 정당성과 절차의 적법성에 관한 입증책임을 해고가 정당함을 주장하는 사용자가 부담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