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헌법상 노동3권 등은 직접효를 인정하는 명문규정이 없으므로 혹 사법상 효력을 인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간접효를 갖는데 그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이다. 현재의 소수의견이다. 이 견해는 다음의 근거를 제시한다.
첫째, 기본권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9.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본권의 제3자적 효력이 인정되는 결과 발생한 문제의 해결
기본권의 제3자효가 인정되기 때문에 기본권의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기본권의 충돌현상이 발생하면 정규법원에 제소되어 재판에서 자신의 기본권을 구제받지 못하는 경우 헌법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103조, 제2조, 제750조, 제751조)을 통해 간접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 참고문헌
-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Ⅰ. 서설
Ⅱ. 기본권의 효력확장론
Ⅲ. 독일에서의 이론 전개
1. 효력부인설(제3자적 효력부정설)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1.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헌법학원론, 법문사
구병삭, 신헌법학원론, 박영사
김범주, 쉬운법 편안한 생활, 형설
장석조(1991), 판결의 편취와 절차적 기본권, 법조협회
장영철(2001), 기본권의 제3자적 효력과 기본권보호의무, 공법연구 제29집 제2호
정태호(2002), 기본권적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8.07.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2차적 준거
헌법원칙들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즉 가)법익형량의 원칙에는 생명권 인격권우선의 원칙, 생존권우선의 원칙, 자유권우선의 원칙이 있으며, 나)형평성의 원칙은 충돌하는 기본권 모두가 최대한으로 그 효력을 유지할 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