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에 의할 경우 강간죄가 비친고죄가 되기 때문에 치상의 입증이 없을 경우 공소기각의 판결이 아니라 강간죄의 유죄판결을 내려야한다. Ⅰ. 서 설
Ⅱ. 공소장변경의 요부와 축소사실
Ⅲ. 고소의 취소
Ⅳ. 재고소와 고소의 추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
1. 형사소송법의 개념과 용어의 문제
1) 개념
2) 용어의 문제
2. 형사소송법의 성격
나. 수사
1. 수사의 의의
2. 수사의 객체
다. 수사개시
라. 고소
1. 고소의 의의
2. 고소권자
3. 고소의 방법
4. 고소의 취소, 포기, 추완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3.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소의 취소(제232조),재정신청의 취소(제264조), 상소의 취하(제349조), 재심청구의 취하(제429조), 정식재판청구의 취하(제454조) 등은 명문으로 인정되고 있으나, 이 경우의 취소는 엄격히 말하여 철회에 해당한다.
4. 소송행위의 적법 부적법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실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전부에 미친다”는 점에 있다.
(2) 공소장변경시설
이는 공소장변경시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는 견해로서 일본에서 주장하고 있다. 그 근거는 현행 일본 형사소송법은 “기소는 소인을 구성하여 하지 않으면 안되
|
- 페이지 38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5.05.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소장이 변경된 때에도 고소취소를 할 수 없다.
4) 고소취소의 방법
고소취소의 방법은 고소의 방법과 같다(제239조). 다만 공소제기 후의 고소취소는 법원에 대하여 할 수 있다. 수사기관 법원에 대한 소송행위이므로 범인과 피해자 간의 합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5.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