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균체에 떨어뜨림 ~ 거품이 나면 (+) / 안나면 (-)
* Staphylococcus (+) , Streptococcus (-)
2. Coagulase test
* 주로 병원성과 비병원성을 구별 시
* 토끼나 사람의 신선한 plasma(fibrinogen)와 균(coagulase)을 혼합하면 병원성 균은 plasma를 응고시킴(fibrin)
* 응집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⑮ 신종전염병증후군
6. 지정전염병
① A형간염
② C형간염
③ 반코마이신 내성황색포도상구균(VRSA)감염증
④ 샤가스병
⑤ 광동주혈선충증
⑥ 유극악구충증
⑦ 사상충증
⑧ 포충증
⑨ 크로이츠펠트야콥병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3.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황색포도상구균의 항생제 내성, 경성대학교
- 최경한(2007), 남해안 지역의 주요 비브리오균 분포 현황, 부경대학교 Ⅰ. 개요
1. 월별(계절별) 발생범위 분석
2. 원인 물질별 발생범위 분석
3. 원인 식품별 발생범위 분석
4. 원인 시설별 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 검출된 이유는 아무래도 희석배수가 높아짐에 따라 황색포도상구균의 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미 희석배수에서 colony 수가 평균 101개 검출되었기 때문에, 이 colony 수는 식품공전에 따른 30~300 cfu/ml 범위에 속하기에 희석배수의 검출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포도상구균이 죽지만, 장독소는 남아 이들 식품을 섭취하여 식중독을 일으킨 사례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추정원인식품에서는 독소는 검출할 수 있으나, 황색포도상구균은 검출할 수 없다. 포도상구균 식중독의 원인결정에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