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흡광도 측정 (앞선 실험과 방법동일)
- 지급된 미지시료(농도 20~80ppm범위에 있음)를 받는다.
- 미지시료의 흡광도의 값이 5~15ppm범위 안에 들도록 적당히 희석한다.
- 미지시료 흡광도 측정값이 표준용액 흡광도의 적정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흡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1.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흡광도를 측정하여 보정곡선을 그릴 수 있었다. 이 보정곡선은 거의 완벽히 Beer-Lambert‘s law에 성립함을 알 수 있었고, 보정곡선을 이용하여 미지시료의 철 정량을 분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어느 용액이라도 보정곡선만 있으면 흡광도 측정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3.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교 살펴 보면 흡광도가 pH7.0인 3조의 흡광도 측정이 1.147로 다른 조 보다 흡광도 측정수치가 낮게 나왔고, 이는 pH7.0 일 때 소화율이 가장 높음을 보여주었다. 즉 pH7.0 일 때 가장 활성화가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요오드 실험의 결과를 가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13.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2 ppm
0.409
0.287
0.161
0.068
0.028
15 ppm
0.507
0.358
0.202
0.089
0.038
18 ppm
0.601
0.426
0.243
0.110
0.049
② 파장에 따른 흡광도
⇒ 최대파장은 504nm이다.
③ 미지시료 측정값
파장
504nm
흡광도
0.507
④ 최대파장의 검량선
y = 0.0502x -0.0485
▶ 미지시료의 농도
0.507 = 0.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파장을 찾아낼 때 268nm의 흡광도는 수치가 갑자기 위로 상승하여 측정값을 빼주었다. 조금씩 흡광도가 낮게 내려가 주어야 정상이지만 기계적 오측정일수도 있다고 생각하고 데이터에서 삭제하였다.
<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
- 음이온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09.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