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문학
도문학은 묻고 배움으로 말미암는다는 뜻이다. 사람들은 도문학을 통해 인간이 알 수 있는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은미한 도의 본체를 남김없이 드러낼 수 있다. <대학>
1)삼강령
2)팔조목
(1)격물치지
(2)성의정심
(3)수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문학을 중요시하고 격물치지를 팔조목의 근본이라 반대하였다. 중용의 사는 존덕성과 통하고 학은 도문학과 통하여서 사와 존덕성을 근본으로 보면 주관적이 되며 학과 도문학을 중요시하면 객관적이 된다. 주관적인 관념론자인 왕양명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문학]에 대한 정민정의 부주가 부당함을 변증한 것이다. [존덕성도문학]에 대하여 그는 정민정이 가졌던 중년의 견해로 10조항을 제시하였으며, 또 이어 정민정의 만년의 견해로 11조항을 제시하고는 양자간에 서로 일치하지 않는 정민정의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문학, 양명의 존덕성
-도문학: 학문을 통해 덕성배양, 격물공부를 통해 천리 깨닮음.
-존덕성: 선천적 덕성을 확충, 마음속에 큰 본체를 세우는 것이 공부의 시작
*주자의 존천리, 거인욕(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제거해야..)
-인욕제거에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9.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때 두 사람의 공부 방법상의 차이는 결국 도문학 공부를 강조하는가 그렇지 않은가의 차이로 귀결된다. 따라서 아호 논쟁의 공통된 문제의식은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개인의 도덕성을 완성할 것인가의 문제이며, 그 과정에서 드러난 양자간
대중매체 미디어, 언론 공부 방법론, 대중매체_미디어,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7.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