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금체계의 유형
1. 연공급체계
2. 직무급체계
3. 직능급체계
4. 자격급체계
Ⅳ. 특수임금제
1. 집단임금제(group incentive plan)
2. 순응임률제(sliding scale wage plan)
3. 성과배분제도
4. 연간보장급제(guaranted annual wage plan)
Ⅴ. 부가적 임금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8.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금부가적 측면을 지니고 노동통제의 수단으로 활용한다.
(2)아동수당의 특성
첫째. 저임금 노동자에 대한 임금보조 형태로 출발한다.
둘째. 불황기의 저임금보조 또는 전시의 반인플레정책으로 인식된다.
셋째. 출산율 저하의 방지라는 인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09.0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금피크제 실시로 실업급여, 각종 복지혜택 부여에 드는 비용부담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⑥ 임금피크제의 성공적 수행을 통해 부가적으로 성과 중심 임금체계에 대한 근로자들의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효율적 임금체계 개선에 밑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5.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금이고 초과급여나 보너스 및 집단 인센티브는 보상전략에 따라 임시적으로 지급하는 부가적인 임금항목이다. 일본의 경우 할증임금의 기초임금이나 평균임금에 관한 규정을 매우 명시적으로 규정하여 이해당사자들간에 불필요한 다툼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금제를 도입하고 있는 주별로 연방최저임금 이상으로 최저임금을 결정하고 있다. 캐나다는 최저임금 결정을 개별 주의 자치 권한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기업에서 근로자를 고용하면 최저임금 이외에 주휴수당, 퇴직금, 보험료 등 부가적으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