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량을 나타내는 흡수율은 다음 식으로 구한다.
겉보기 비중 =
표면건조 포화상태 비중 =
진비중 =
흡수율 =
여기서, A: 공기 중 시료를 건조기에서 건조시킨 중량(g)
B: 공기 중 시료의 표면건조 포화상태 중량(g)
C: 시료의 수중중량(g)
4. 고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황으로 처리하여 보어로 간주할 수 있다.
2-2 수량보어와 부사어 구별
2-2-1 수량보어와 부사어의 어순
수량보어에서 부사로 된 부사어는 동사 앞에 있어야 하며, 술어동사와 수량보어 사이에 놓일 수 없다. 예를 들면,
a 今天的他只加了一小。(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3)
37,344(23)
103,175(64)
161,492
16.7
(43종목)
호가수량
(비중)
-
-
21,923,798
-
56,995(0)
5,952,737(25)
18,262,933(75)
24,272,665
10.7
체결수량
(비중)
-
-
15,286,013
-
44,440(0)
4,451,888(27)
12,377,430(73)
16,873,757
10.4
5만원 미만
호가건수
-
-
1,228,449
-
-
-
1,208,935
-
△1.6
(727종목)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10.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