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언의 띄어쓰기
(가) 적어 놓다/적어놓다, 도와 주다/도와주다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아/-어\'로 연결될 때는 붙여 씀을 허용함. 다만 \'-아/-어\' 뒤에 오는 \'지다\'는 항상 앞말과 붙여 씀. 문제 [55] 참조.
(나) 학자인 양하다/학자인양하다, 아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7.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면
2.3 보조용언의 띄어쓰기 활용
앞선 예문들을 통해 보조용언에 대해 살펴 보았을 때 알 수 있는 특징이 하나 있다. 바로 본용언과 보조용언을 띄어 쓰는 원칙이다. 이는 현행 맞춤법 규정 가운데 용언에 관한 규정인 제 47항이기도 하다. 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19.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언 ‘만하다’와 “조사 ‘만’+‘하다’”
‘만’과 ‘하다’가 이어져 나타나는 구성의 경우 앞에 오는 말에 따라 띄어쓰기가 달라진다.
(1) ㄱ. 아직 쓸 만한 것을 왜 버려?
ㄴ. 쓸만한 것을 왜 버려?
(2) ㄱ. 형이 아우만 하다.
ㄴ. 형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보조 용언의 개념
① 최현배(1939/2004: 254)
“도움 움직씨(혹은 조동사)란 것은 제 홀로는 완전한 풀이씨가 되지못하고
항상 으뜸 움직씨의 뒤에 붙어서 그 풀이하는 일을 돕는 것을 이름이니”
“도움 그림씨는 풀이함이 완전
|
- 페이지 4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8.08.2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언들 →합성어의 띄어쓰기
한글 맞춤법의 띄어쓰기 규정은 모든 단어를 띄어 쓰도록 했다. 따라서 명사, 동사, 형용사, 보조 동사, 보조 형용사들은 두세 개 씩 잇달아 쓸 때도 하나씩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다. 복합어, 곧 둘 이상의 단어를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5.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