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서 언(序 言)
Ⅱ 모음조화(母音調和)
1. 고대모음조화(古代母音調和)
2. 중세모음조화(中世母音調和)
3. 근대모음조화(近代母音調和)
4. 현대모음조화(現代母音調和)
5. 모음조화(母音調和)가 파괴(破壞)되는 현상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09.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화 체계가 무너지고 /ㅓ/의 中舌化가 진행되면서, 국어의 모음 조화는 매우 서서히 약화되었던 것이다.
Ⅷ. 모음조화와 모음체계
현대국어의 모음조화는 음성상징어나 \'-아/-어\'계 어미에서만 그 명맥을 근근이 유지하고 있다. \'촐랑촐랑\'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국어 모음의 유형
1. 단모음(single vowel)
2. Daniel jones의 기본 모음
3. 이중모음(diphthongs)
1) 상승이중모음: 반모음+모음
2) 하강이중모음: 모음+반모음
Ⅱ. 국어 모음의 체계
Ⅲ. 국어 모음의 모음조화
Ⅳ. 국어 모음의 비모음화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서론
Ⅱ. 음운규칙과 경음화
1. 경음화 현상으로 본 견해
2. 사이시옷 첨가로 본 견해
1) 사이시옷의 역할
2) 복합명사의 사이시옷 연구와 문제점
Ⅲ.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Ⅳ.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1. exploitation of informational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않으려는 경향도 있고, 또한 그 구분이 불필요하다는 견해도 자주 보이고 있다. 언급하였듯이, 시대가 변하면서 남성어와 여성어의 구분이 많은 부분 무너졌기 때문이다. (마치 중세 한국어에서 철저하게 지켜지던 모음조화 현상이, 현대에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600원
- 등록일 2009.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