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 효소처리하지 않은 분리대두단백을 사용하였다.
Yamashita 등(1970)의 방법을 변형하여 가수분해도를 측정하였다. 즉, 효소처리 또는 무처리한 분리대두단백 1g을 각각 증류수 100ml 첨가하여 자석교반기로 교반시켜 분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도 해보았다면 좀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을 텐데 아쉽다.
수분 활성도는 식품의 안정성과 연결하여 생각할 수 있다. 중간이나 높은 수분함량을 보유한 식품에 있어서 가끔 수분 활성도가 증가함으로써 반응속도가 감소되는 이유를 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③ 시약병에 마그네틱 바를 넣은 후 교반기를 돌려 시약을 녹인다.
④ 시약이 다 녹으면 1000㎖가 되게 D.W를 더 넣는다.
⑤ 오토클레이브(autoclave)를 이용해 멸균시킨다.
5) 효소의 양(U; Unit) 계산하기
: 효소는 0.25U/㎕를 넣어야 한다.
실험에 사용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활성도를 측정, 결국 미생물의 활성도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실험 시작 초기 물속에 NaSO를 넣는 이유는 물속에 존재하는 용존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첨가한다. 반응식은 O + 2NaSO → 2NaSO로 되어 물속에
용존산소와 결합하여 DO를 제거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활성도 측정법
*수분 활성도-식품의 저장성을 간접적으로 표시해주는 지표로서 식품의 수분활성도
를 낮추어 주면 그만큼 미생물의 번식이나 성장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1.시료를 membrane sample cup에 60-70% 만큼 샘플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