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전한다면, 한식을 기피하기보다 우리의 음식을 사랑하고, 더 나아가 세계적인 음식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한다. 1.한식 상차림
5첩 반상
5첩 반상의 코스요리의 보안
7첩 반상
7첩 반상의 코스요리의 보안
2.결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3.10.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상, 죽상, 면상, 다과상
교자상, 돌상, 큰상, 제사상
≪ … 중 략 … ≫
┃ 9. 식사예절
┗━━━━━━━━━━─────────…
❏ 숟가락, 젓가락은 한 손에 들지 않는다.
❏ 반찬그릇에 걸쳐 놓지 않는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2.0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상은 어느 정도 여유가 있었던 서민층의 상차림이었다. 7첩반상은 여염집에서 신랑, 색시상을 차릴때이고 9첩반상은 반가집에서 최고 상차림이었고 12첩반상 은 궁중에서 차리는 수랏상차림이었는데, 수랏상은 반드시 12첩이 아니고 그 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상(飯床): 밥과 국·김치를 기본으로 하는 밥상으로 쟁첩에 담는 찬품의 가 짓수에 따라 3첩·5첩·7첩·9첩 반상으로 나뉜다. 12첩반상은 궁중에서 수라상의 경우에만 차리고, 민가에서는 9첩까지로 제한하였다. 기본으로 놓는 것은 밥·국·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7첩반상 이상일 때 차리지만 상용성 찬물은 아니다. 이러한 생각으로 숙육과 편육 여러 가지 찜, 전, 전철적, 신선로, 어만두, 개요리, 등을 별미음식으로 구분된다.
③ 가정의 비축식품(장과 김치, 젓갈, 말린 나물)
조선시대의 가정은 장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