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험의 결과가 거의 선형적인 출력이 나와서 실험결과는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고 생각한다. 다음주의 실험부터는 PC를 사용하는 실험이라고 한다. 철저한 예습을 통해 실험준비에 만전을 기해야겠다. 실험1. The Strain Gauge
1.3.1 The Strain Ga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층정 센서들을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 비교하고, 정압 및 압력의 동 적 특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실험장치인 Bourdon-tube, Strain gauge 압력계, meter, piezoelectric 압력계, charge amplifier, 디지털 오실로스코프, signal cable에 대해 알 수 있었다.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장치의 정압측정 입구를 호스로 연결한다.
2) Bourdon tube 및 strain-gauge pressure transducer가 0을 가리키고 있는지 확인한다. (Gauge pressure = absolute pressure - atmospheric pressure)
3) 질소통 regulator가 완전히 풀려있는지 확인하고 질소통의 main valve를 연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5.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Strain Amplifier와 컴퓨터를 0점 맞춘다.
⑥스타트. (속도는 2mm/min)
⑦시편이 끊기면 결과 치 출력. 컴퓨터 스톱.
5. 실험결과
Strain - Stress Graph
탄성계수 (E) = = = 30.566 ( GPa )
인장강도 = = = 0.196GPa
프아송 비 = -
축방향변형
횡방향변형
프아송비
0.016
-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값과 이론값의 오차 값이 1.200mm로 작은 양이지만 실제 변형의 크기가 단위인 것을 감안하면 결코 작은 오차는 아니다.
지금까지 스트레인 게이지를 통해 굽힘 응력 변화에 따른 변형도를 측정하였고, 그 값을 이용하여 중립축을 구했다.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3.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