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윤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부 현대사회와 윤리의 문제
제1장 윤리와 윤리학
서론
Ⅰ. 윤리사상의 근본문제들
1. 윤리학의 개념
2. 규범 : 관습·윤리·법
3. 사회의식과 규범의 변증법
4. 규범윤리학과 메타윤리학
5. 현대사회와 윤리학
Ⅱ. 규범윤리학의 대표적인 이론
1.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사상
2. 칸트의 윤리사상
1) 선의지
2) 도덕법칙
3) 요청
3. 공리주의 윤리사상
1) 벤담
2) 밀

제2장 현대사회와 윤리
Ⅰ. 한국현대사회와 윤리
1. 현대산업 사회의 특징과 윤리적 문제
1) 현대산업 사회의 일반적 특징
2) 소외론
(1) 마르크스의 소외론
(2) 현대의 소외론과 극복
3) 공업화 과정의 문제점
4) 산업사회에서의 윤리적 과제
2. 한국사회의 윤리적 제문제
1) 개인윤리적 관점에서의 한국사회의 윤리적 문제
2) 사회윤리적 관점에서의 한국사회의 윤리적 문제
3. 한국 사회의 윤리적 과제
1) 인간과 윤리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이해
(1) 인간의 본질과 사유의 합리성
(2) 윤리적 상대주의 극복과 규범윤리의 재정립
2) 전통적 윤리의식의 재건
3) 건전한 합리주의 정신의 함양
4) 사회적 갈등문제의 윤리적 해결
Ⅱ. 현대사회와 응용윤리학
1. 경제생활과 경제윤리
1) 분배 정의의 문제
(1) 자유주의
(2) 평등주의
(3) 수정주의
(4) 신자유주의
2) 자본주의 경제의 윤리적 과제
2. 정보사회와 윤리
서론
1) 정보화 사회
2) 정보화 사회의 변화 양상
(1) 산업구조의 변화
(2) 사회 생활 환경의 변화
(3) 분산화 분권화
(4) 정보사회의 역기능
3) 정보 이용자의 권리와 의무
4) 정보사회에서의 가치관
5) 정보 사회에서의 세가지 원칙
(1) 사생활 보호
(2) 지적 재산권
(3) 각종 정보에 대한 해악금지
3. 환경과 윤리
1) 환경
2) 산업활동과 자연의 이용
3) 자연환경의 파괴와 그 위험성
(1) 대기오염에 의한 파괴
(2) 수질오염에 의한 파괴
(3) 토양오염에 의한 파괴
(4) 핵에 의한 파괴 가능성
4) 환경에 대한 우리의 태도
4. 생명윤리
1) 생명의료윤리학이란
2) 규범윤리학에서 본 네가지 입장
(1) 행위공리주의
(2) 규칙공리주의
(3) 칸트적 의무론
(4) 로스의 조건부 의무이론
3) 생명의료윤리의 네가지 원칙
(1) 자율성의 원칙
(2) 악행금지의 원칙
(3) 선행의 원칙
(4) 정의의 원칙
① 공리주의에서의 분배
② 평등주의에서의 분배
③ 자유주의에서의 분배
6) 히포크라테스 선서와 고대 인도의 의사선언
(1) 히포크라테스 선서
(2) 고대 인도의 의사 윤리
5. 뇌사
1) 뇌사란 무엇인가
(1) 뇌사의 개념
(2) 식물상태와의 차이점
2) 뇌사의 판정
3) 뇌사를 인정하는 철학적 입장
4) 뇌사를 인정하는 윤리적 입장
5)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는 주장(일본)
6) 뇌사를 죽음으로 보지 않는 입장(일본)
7) 한국에서의 뇌사인정과 반대
안락사 사례

제2부 전통사상과 동양의 윤리사상
제1장 중국의 윤리사상
Ⅰ. 공자
1. 생애
2. 사상
1). 인의 체계
2). 인과 도
3). 정치윤리
Ⅱ. 맹자
1. 성선설
2. 정치론
3. 경제사상과 교육사상
Ⅲ. 순자
1. 성악설
제2장 불교의 윤리사상
Ⅰ. 불·법·승
1. 붓다의 명칭
2. 연대
3. 출생지
4. 출생
5. 출가
6. 출가동기
7. 수행
8. 성도
9. 최초의 설법
10. 전도
11. 열반
12. 붓다의 전기에 관한 문헌
Ⅱ. 불교의 근본 사상
1. 오온설
2. 윤리적인 문제
3. 형이상학의 부정
4. 이성적인 문제
5. 붓다가 체험한 진리의 핵심
Ⅲ. 불교에서의 마음(인간본성)에 대한 분석
1. 유식사상의 개관
2. 유식이란 무엇인가
3. 아라야식
4. 마나스식
5. 제육의식

본문내용

용(별경심소), 善이라는 심작용(선심소), 그 위에 번뇌(번뇌심소), 부차적인 번뇌(수번뇌 심소)를 수반하고, <樂, 苦, 非樂非苦의>세 종류의 대상의 감수과 함께 작용한다.
5종류의 심소(마음의 작용)에 대해서는 다음 偈에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대상의 감수 등의 5가지의 심리 상태는 아라야식에서도, 마나스식에서도, 육식(여섯가지의 대상영역)에서도 작용하는 것이다.
10-14[ 心作用(caitta/caitasa, 心所)의 분류 ]
보편적인 것 (sarvatraga, 遍行)5
spar a <대상과의> 접촉(觸) · manask ra <대상에로의> 志向(作意) · vedan <대상의> 感受(受), · sa j <대상의> 表象(想) · cetan <대상에 대한> 심적인 움직임(思)
대상을 특정화 한 것(viniyata, 別境) 5
chanda(欲) · adhimukti(勝解, 확신) · sm ti(念, 기억) · sam dhi(定, 삼매) · praj (慧, 지혜)
善이라는 것(ku ala, 善) 11
raddh (信, 신앙) · hr (참) · apatr pya(愧, 수치심) · alobha(無貪) · adve a(無瞋) · amoha(無癡) · v rya(勸, 정진) · pra rabdhi(輕安) · apram da(不放逸 , 산만하지 않은 것) · upek (捨, 마음의 平靜) avihi s (不 害, 불살생)
번뇌(kle a) 6
raga(貪,욕망) · dve a(瞋, 미워하는 것) · moha(癡, 어리석음) · m na(慢, 고만) · d i(見, 근본관념, 즉 자아가 실재한다고 하는 것) · vicikits (疑, 의혹)
부차적 번뇌(upakle a, 隨煩惱) 20
krodha(忿, 분노하는 것) · upan ha(恨, 한을 품는 것) · mrak a(覆, 시치미를 떼는 것) · prad a(惱) · r y (嫉, 질투) · m tsarya(견, 인색) · m ya(광, 속이는 것) · athya(諂, 속이는 것) · mada(교, 자만하는 것) ·vihi s (害, 살생하는 것) · hr ya(無참)· anapatr pya(無愧, 부끄러움을 모르는 것) · sty na(혼침, 마음이 개운하지 않는 것) · auddhatya(悼거, 소란스러운 것)· craddhya(不 信, 신앙이 없는 것) · kaus dya(懈怠, 게으름) · pram da(放逸, 산만) · mu it (失念, 집중력이 없는 것) · vik epa(散亂) · asa prajanya(不正知, 바른 知가 아닌 것)
不定(aniyata) 4
kauk tya(惡作 또는 悔, 악을 행한 후에 후회하는 것) · middha(睡眠) · vitarka(尋, 이론적으로 사색하는 것) · vic ra(伺, 깊게 사색하는 것)
-------------------------------------------------------------------------
<한역>
依止根本識  五識隨緣現
或俱或不俱  如濤波依水(15)
<전오식은> 근본식(아뢰야식)에 의지하여 <작용한다>. 전오식은 緣(연)에 따라서 나타난다. <전오식은> 때로는 함께 때로는 별도로 작용한다. 파도가 물에 의지하는 것과 같이.
--------------------------------------------------------------------------
<산스크리트어본>
pa c n m lavij ne yath pratyayam udbhava /
vij n n saha na v tara g yath jale//15//
다섯 종류의 인식작용(전오식)은 근원적 인식작용(아라야식)이 있을 때, 조건에 응하여(六 識 또는 외부 대상 등을 조건으로 해서) 그것과 동시에, 또는 비동시적으로 생긴다. 물(8 識)이 있을 때의 파도(5, 6, 7識)와 같이(15).
--------------------------------------------------------------------------
아라야식이 눈에 의하여 지각하는 5종류의 현전식(전오식)을 존재하게끔하는 가능력의 존재근거이기 때문에, 이 아라야식에 근거하여 눈에 의하여 지각하는 현전식(전오식)등이 생기한다는 의미이다. 마치 큰 강에 물이 흘러가는 가, 하나의 파도가 생기는 조건이 갖추어 졌을 때 단지 하나의 파도가 생기는 것과 같이.
이와 같이 육식이 끊임없이 생긴다면 어떤 경우에 그 활동을 멈추는가?
16) 意의 인식작용(제육식)은 항상 생긴다. 다만 무상천(無想天)에 태어났을 경우와, 또한 심이 없는 상태인<無想定(무상정), 滅盡定(멸진정)>의 二定(이정)과 睡眠(수면)과 失神(실신)의 경우는 제외된다
참고문헌
1.『岩波講座·東洋思想 インド思想Ⅰ, Ⅱ, Ⅲ』岩波書店, 東京, 1998.
2.『인도철학사Ⅰ, Ⅱ, Ⅲ, Ⅳ』, by 라다크리슈난(Radhakrishnan), 이거룡 옮김, 한길사, 서울, 1996-2000.
3.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Ⅰ,Ⅱ,Ⅲ,Ⅳ,Ⅴ, by Dasgup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4. History of Indian PhilosophyⅠⅡ, by Erich Frauwallner, Motillal Banarsidass, 1973.
5.『岩波講座·東洋思想 インド불교Ⅰ, Ⅱ, Ⅲ』岩波書店, 東京, 1998.
6.『인도불교의 역사, 上·下』, Hiragawa Akira/ 이호근옮김, 민족사, 서울, 1994.
7. 『불교사상의 이해』, 동국대학불교문화대학, 불교교재편찬위원회, 1992.
8. 『인도사상의 역사』(동경대학인도학·불교학연구실), 정호영역, 민족사, 1988.
9. 『불교철학입문』, by Saikusa mitsuyosi/ 윤종갑 옮김, 경서원, 1997.
10. Die philosophi des Buddhismus, by E. Frauwaller, Berlin, 1969.
11.『唯識三十頌要講』太田久紀.
12.『成唯識論要講』太田久紀.
13.『대정신수대장경』31권「성유식론」,「유식삼십송」.
14.「Tri ik -vij apti-k rik 」by L vi, 1925.
.
  • 가격3,000
  • 페이지수127페이지
  • 등록일2003.05.05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0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