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사회교육]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행동간의 관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의 목적 및 문제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Ⅳ.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이 하였다.
둘째, 창의성의 하위변인들과 유아의 놀이행동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창성이 높을수록 상징놀이와 상호역할 사회놀이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몰입하지 않는 행동과 배회하기 행동은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독창성이 높을수록 상징놀이와 규칙이 있는 게임, 상호의식 사회놀이, 그리고 상호역할 사회놀이를 많이 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또, 몰입하지 않는 행동, 쳐다보기, 전환, 그리고 배회하기 행동은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목의 추상성과 개방성은 놀이행동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고, 유아의 정교성이 높을수록 상호역할 사회놀이가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앞서의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창의성이 놀이와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창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자유놀이 운영과 연구의 제한점에 따른 추후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유아에게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자유로운 놀이시간을 계획하여야 한다. 놀이는 유아가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시간을 증가시켜주며, 학문적인 과업을 강조하는 흐름을 타고 있는 현장들이 당면한 과제인 지루함과 사고의 경직화를 감소시켜줄 수 있다. 따라서, 놀이는 교과과정의 핵심적 요소로 강조되어야 하며, 교사는 유아에게 탐색, 협동 놀이, 상징놀이, 그리고 자발적으로 게임을 만들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자유놀이 환경을 마련해 줌으로써 유아의 창의성을 계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창의성이 높은 유아들이 높은 수준의 놀이행동을 보여준 결과를 고려할 때, 창의성이 높은 유아들에게 적절한 과업을 제시해주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교사는 유아들이 창의성을 잘 파악하여 개인에게 알맞는 놀이감을 제시해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양적 관찰을 통해 시간표집법으로 진행되었는데, 직접 교실에 들어가 유아의 행동에 대한 보다 자세하고 심층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본다. 후속연구에서는 놀이의 형태만을 분류해서 체크하는 방법보다는 그 유아가 혼자서 중얼거리는 소리나 한 행동 다음에 계속 이어지는 행동을 기록하는 방법을 통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참고문헌>
강문희(1994). 아동의 사회정서적 적응과 창의성. 김재은 교수 정년 기념논문집. 서울: 창지사.
윤종건(1994). 창의력: 이론과 실제. 서울: 정민사.
조성연(1984). "창의성 검사의 타당화를 위한 일 연구 - Torrance 창의적 사고력 검사(TTCT)를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Ellermeyer, D.(1993). Enhancing creativity through play: A discussion of parental and environmental factors.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Care, 93, 57-63.
Hill, R.(1992). Finding Creativity for Children. ERIC Digest. No. ED348169.
Johnson, J.E., Christie, J.F., & Yawkey, T.D.(1987). Pla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Glenview, Illinois: Scott, Forman.
Mansell, H.(1980). Dimensions of play experience. Communication Education, 29(1), 42-53.
Moran, J.D., Ⅲ, Sawyers, J.K., Fu, V.R., & Milgram, R.M.(1982). MeasuringCreativity in Preschool Children. ERIC Digest. No. ED224584.
Opie, I., & Opie, P.(1988). The singing gam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Rubin, K.H., Watson, K.S., & Jambor, T.W.(1978). Free play behaviors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children. Child Development, 49, 534-536.
Saracho, O.N.(199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style and pla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Educational Psychology, 15. Issue 4, p405, 3charts.
Smilansky, S.(1968). The effects of sociodramatic play. Gaithersburg, MD, Psychosocial and educational Publications.
Smolucha, F.(1989). The relavance of Vygotsky's theory of creative imagination for contemporary research on play. Unpublished PhD thesis. The University of Chicago, Kansas City.
Spies, C.(1987). Play,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ERIC Digest. No. ED209602.
Tegano, D.W., Sawyers, J.K., & Moran, J.D., Ⅲ.(1990). Problem-finding and Solving in Play: The Teacher's Role. Childhood Education, 66(2), 92-97.
Torrance, E.P.(1974).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Directions manual and scoring guide. Lexington: Massachusetts: Personnel Press.
Wallach, M. A.(1970). Creative in Young Children. ERIC Digest. No. ED224584.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9.02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5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