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소설의 발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국 고전소설의 발생
① 한국 고전소설의 발생을 둘러싼 두 가지 견해
② 설화와 전기소설의 차이
③ 최치원은 어째서 설화가 아니고 소설인가
㉮ 장르의 문제
㉯ 장르 변별의 지표
㉰ 소설 최치원

본문내용

지는 판단을 내리기는 어렵다. 확실한 것은 『최치원』이 분명 설화적 서사를 넘어선 소설의 모습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며, 『금오신화』와 『최치원』사이의 공백이 너무 커 보이지만, 소설의 공백이 서사의 공백, 나아가 문학의 공백은 아닌 것이다. 다양한 설화를 통해 그리고 다양한 교술산문을 통하여 인간과 세계에 대한 문학적 인식이 이루어진 것이다.
<참 고 문 헌>
신동흔, 「설화와 소설의 장르적 본질 및 문학사적 위상」,『국어국문학』 138, 국어국문학회, 2004.
유정일, 「<수이전>일문 <최치원>의 장르적 성격과 소설사적 의미」,『어문 학』87, 한국어문학회, 2005.
박태상,「<太平通載>소재 <최치원전>연구」,『고소설연구』1집, 1995.
문흥구, 「<수이전>일문 <최치원>의 재고찰」,『고소설연구』6집, 1998.
오춘택, 「<쌍녀분기>와 <최치원>의 작자」,『국어국문학』139, 국어국문학 회, 2005.
이동근, 「<수이전>일문의 장르적 검토」,『어문학』66, 한국어문학회, 1999.
지준모, 「전기소설의 효시는 신라에 있다」,『어문학』32, 한국어문학회, 1975.
정상균, 「신라 수이전 연구」,『논문집』제33집, 서울시립대학교, 1999.

추천자료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7.26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27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