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논문]강원도 폐광지역의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졸업논문]강원도 폐광지역의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재래시장에 관한 이론적 고찰
재1절 재래시장의 기원
제2절 재래시장의 개념 및 기능
제3절 재래시장 활성화의 필요성

제3장 폐광지역 재래시장의 현황 및 사북시장의 환경 분석
제1절 폐광지역 재래시장의 현황
제2절 사북시장의 환경 분석

제4장 국내 재래시장 활성화 사례분석 및 시사점
제1절 횡성시장(강원도 횡성군)
제2절 정남진 장흥토요시장(전남 장흥군)
제3절 중앙시장(대전광역시 동구)
제4절 우림시장(서울 중랑구)
제5절 죽도시장(경북 포항시)
제6절 중곡 제일시장(서울 광진구)
제7절 논산 화지시장(충남 논산)
제8절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제5장 강원도 폐광지역의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제1절 기본 방향
제2절 세부 추진방안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을 구성하여 상설화하고 정례적인 협의 및 자문을 통해 혁신적인 발전전략을 수립 및 시행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소비자나 상인들에 대한 설문조사 등의 방법을 통해 급변하는 시장환경을 파악하는 동시에 실시간의 시정조치체계를 확립한다.
(2) 혁신적 점포 운영을 위한 체제 구축
점주, 점원의 고객만족마인드 형성을 위한 정기적인 교육, 실습, 견학을 시행하고, 점포 운영관리를 혁신하기 위해 점포운영 노하우 공유 및 선진시장의 벤치마킹을 제도화한다. 또한 보고, 즐기고, 사고, 먹는 신개념의 시장문화를 조성하고, 시장 홈페이지 구축 및 POS 시스템 도입 등 유통정보화 체제를 구축하여 효율적인 시장운영, 점포운영을 추구한다.
<그림 3> 강원도 폐광지역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세부 추진방안
제6장 결론
현재 우리나라 재래시장의 현실을 보면 내 · 외부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재래시장의 국민들에게 미치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영향을 고려할 때 재래시장의 활성화는 우리가 반드시 해결해아 할 중요한 과제임에 틀림없다. 2006년 10월 「재래시장 및 상전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정으로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본적인 기틀은 마련했다고 하지만 우리 재래시장에 패한 소비자들의 만은 줄어들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강원도 폐광지역의 재래시장은 유통환경의 변화뿐만 아니라 폐광으로 인한 지역인구의 감소 등 이중고를 겪고 있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폐광지역에 다양한 개발계획이 진행 중이어서 장기적인 활성화 전략만 효과적으로 수립한다면 충분히 발전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폐광지역의 지난 10여 년간의 진전되어 왔던 지역경제 위축의 과정과 반드시 다시 활성화해야 한다는 명제를 가지고 정선군 사북시장을 중심으로 폐광지역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폐광지역 특수성을 활용한 기초전략 수립을 통하여 지역 특수성의 적용과 지역밀착형 재래시장 활성화전략 강구를 제시하였다.
둘째, 시장 환경개선 및 점포경영 선진화를 위해 시장의 시설현대화 및 환경개선과 시장관리 및 점포경영 선진화를 제시하였다.
셋째, 고객유치를 위한 마케팅 활동 및 고객관계 관리 측면으로 고객유치를 위한 마케팅 활동은 이벤트세일행사를 개최, 지자체지역주민이 같이 참여하는 축제형 행사개최 유도, 보너스 쿠폰 발행 등을 제시하였고, 고객관계 관리는 시장을 이용하는 모든 고객들과 항상 직간접적인 우호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고객들의 연령별, 지역별, 성별로 구매성향을 분석하여 적절하게 서비스나 정보를 제공을 제시하였다.
넷째, 시장운영 주체의 적극적인 시장 운영 측면에서 시장 활성화협의회 및 자문단 구성, 혁신적 점포운영을 위한 체제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재래시장 활성화에 대한 정부 및 각 지자체들의 관심은 향후에도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재래시장에 대한 공공부문의 지원형태 및 방식은 시장의 다양한 특성만큼 다원적이지 않다. 따라서 시설 및 경영현대화로 대표되는 현재의 정형화된 지원방식으로는 재래시장을 활성화함에 있어 어느 정도 한계를 가지고 있을 수밖에 없다. 물론 정부의 지원여부와 무관하게 향후에도 침체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재래시장이 상존하는 것도 사실이다.
결론적으로 한정된 재원을 배분함에 있어 지원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재래시장에도 ‘선택과 집중’의 논리를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형평성 측면에서 도내 모든 재래시장에 골고루 배분할 것인지에 대한 정책적 판단문제가 중요한 시점이다.
재래시장 활성화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뜻한 점포와 아케이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와, 지자체 전문가 집단, 그리고 상인들이 주축이 되어 재래시장 지원방식과 관련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상인들의 의식전환을 촉구함과 동시에 꾸준히 인내심을 가지고 협력하여 노력할 때 비로소 폐광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참고문헌>
<국내문헌>
경제개발연구원, 경기도 재래시장의 합리적 재개발방안과 모형연구, 1998
김창환, “성남시 모란재래시장 재조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김효록, 시장론, 보문각, 1960
변명식, “유통환경변화에 따른 전통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3집, 장안대학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4. 2
서금성,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설성희, “관광자원으로서의 장터장날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안용천, “재래시장의 활성화 방향과 기대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양영신,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오상락, 마아케팅원론, 박영사, 1980
이상옥, "한국재래시장의 변천과 유통근대화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장지은, “재래시장 환경개선사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중소기업청, 재래시장육성을 위한 특별법, 2004
중소기업청, 재래시장의 재개발재건축, 2004
중소기업청, 재래시장 현대화전략, 2005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과 전략”, 2004 전국재래시장박람회 세미나 발표자료, 2004. 11
최진삼, “재래시장 재개발의 경제성 및 인식도에 관한 연구”, 2000
<해외문헌>
C. S. Belshaw, Traditional Exchange and Modern Markets, Englewood Cliff N. J. Prentice-Hall, 1965
Heide, John B., "Interorganizational Governance in Marketing channels," Journal Of Marketing, Vol.58(January), 1994
R., J. Bromley R. Symanski & C.M. Good, "The Rationale of Periodic Markets", Annals of A,A.G.,No,65, No. 4, 1975

추천자료

  • 가격3,4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9.08.07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