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직업훈련생의 공공훈련기관시설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 훈련생을 중심으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 직업훈련생의 공공훈련기관시설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 훈련생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제 2 절 연구의 목적 3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제 4 절 용어의 정의 6

제 2 장 선행연구 및 외국사례 8
제 1 절 장애인 직업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8
1. 교사측면에 관한 연구 8
2. 학교측면에 관한 연구 9
3. 전공과에 관한 연구 11
4. 교육모델에 대한 검증연구 11
제 2 절 장애인 취업의 영향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12
1. 인적자본요인 12
2. 직업훈련의 인적자본 향상 13
3. 직업훈련효과성 및 취업효과 분석 13
제 3 절 직업훈련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 14
1. 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 15
2. 비장애인에 관한 훈련만족도 16
제 4 절 장애인근로자 직무만족에 관한 선행연구 18
제 5 절 선행연구 문제 및 검토 19
제 6 절 외국의 장애인 직업재활 21
1. 일본 21
2. 미국 24
3. 영국 25
4. 스웨덴 28

제 3 장 장애인 직업훈련 현황 및 문제점 31
제 1 절 장애인 직업훈련 31
1. 장애인 직업재활의 과정 및 정의 31
2.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유형 34
제 2 절 장애인 직업훈련기관의 실태 37
1. 우리나라 직업훈련 개관 37
2. 직업훈련기관 현황 37
3. 장애인 취업알선 및 취업지도 40
4. 수료 후 서포터즈 및 사후관리 41
제 3 절 공공훈련기관별 비교 및 문제점 분석 43
1. 공공기관별 일반현황 비교 43
2. 공공훈련기관별 장애인 취업률 비교 49
3. 공공훈련기관별 장애인 양성훈련 중도탈락률 비교 52
4. 문제점 분석 55

제 4 장 연구방법 59
제 1 절 연구대상 59
제 2 절 연구모형 60
제 3 절 분석자료 61
제 4 절 연구도구 62
제 5 절 자료처리 63

제 5 장 연구결과 64
제 1 절 훈련생 연구결과 64
1. 훈련생 일반적 특성 빈도분석 64
2. 훈련생 훈련과정 만족요인별 교차분석 67
3. 훈련생 개인적 적응요인별 교차분석 70
제 2 절 취업생 연구결과 71
1. 취업생 일반적 특성 빈도분석 71
2. 취업생 훈련시설 만족요인별 교차분석 72
3. 취업생 훈련과정 만족요인별 교차분석 73
4. 취업생 근무적 적응요인별 교차분석 74
5. 취업생 사후관리적 만족요인별 교차분석 75
제 3 절 Group별 연구결과 78
1. 훈련생과 취업생의 훈련시설 및 과정 만족도 차이에 대한 t-test 78
2. 훈련생 만족요인별 이용의 만족도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79
3. 취업생 만족요인별 이용의 만족도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83
4. 취업생 일반적 요인과 만족도의 상관분석 86
5. 취업생의 연간급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88

제 6 장 결론 및 제언 91
제 1 절 결론 91
제 2 절 연구의 정책적 함의 93

참고문헌 99
국문초록 105
Abstract 107
표 목 차
[표 2-1]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 18
[표 3-1] 장애인직업재활 과정 31
[표 3-2] 장애인 직업훈련 직종 선정 시 고려사항 38
[표 3-3]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별 현황 39
[표 3-4]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별 직업훈련 수료자 성별, 연령별 현황 45
[표 3-5]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별 직업훈련 이수자 장애유형 및 등급별 현황 47
[표 3-6] 2005-2006년도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별 교육훈련 수료 및 취업 현황 49
[표 3-7]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 사업체 규모별 구직장애인의 취업현황 50
[표 3-8]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 구인사업체 규모별 구인 수 현황 50
[표 3-9] 한국폴리텍대학 및 인력개발원 장애인 훈련수료자의 취업률 추이 51
[표 3-10]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 양성훈련 중도탈락률 52
[표 3-11]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 양성훈련 중도탈락 사유 52
[표 3-12] 한국폴리텍대학 및 인력개발원 장애인훈련생의 중도탈락률 추이 53
[표 3-13] 한국폴리텍대학 및 인력개발원 장애인훈련생의 중도탈락률 사유 54
[표 4-1] 장애인직업훈련생 연구대상자 59
[표 4-2] 장애인취업생 연구대상자 59
[표 5-1] 훈련생 인구통계학적 특성 64
[표 5-2] 훈련생 지역센터별 교육기간의 적절성 68
[표 5-3] 훈련생 장애등급별 직업훈련분야 이수 교육기간 적절성 68
[표 5-4] 훈련생 성별 이수 교육기간 적절성 69
[표 5-5] 훈련생 성별 학력 및 전공 기준 직업훈련분야의 적절성 70
[표 5-6] 취업생 인구통계학적 특성 71
[표 5-7] 취업생 성별 직업훈련시 소프트웨어 이용 현업무의 적용정도 73
[표 5-8] 취업생 연령별 직업훈련시 현 업무적용시 교육기간 적절성 74
[표 5-9] 취업생 장애등급별

본문내용

tances. Under such conditions, it is high time to take the disabled ones into consider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degree of vocational trainees with disabilitie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428 trainees who were training in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Center" of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KEPA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12.0. It is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crosstabu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vocational desire.
It is performed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atisfaction factors, analysed using the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differences of satisfaction factors according to general affairs.
The followings are suggestions with which the current problematic job training circumstances can be improved.
First of all, the quality of preparatory education can be improved by closing the gap between regular educational courses and job training courses which can be done by incorporating job training aspect to regular educational courses. Secondly, the job training course should focus more on skill aspect of the training than scholastic side of it. The ultimate goal of special education is to equip disabled individuals with skills that enables them to gain independ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education should center around disciplining skills that can be applied in reality. Therefore, not only job training courses but also regular courses should emphasize more on teaching technical skills. Thirdly, when deciding job training category of an individual, in successfully adapt to the field work. The work force should not be prepared to be fed into pre-specified job categories, numberous specialized job areas should be developed to incorporate diverse needs. Once appropriate environment is set up, the rate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ill subsequently increase. Forth, By changing the paradigm held by service providers, the current problems regarding facilities and equipments can be 'first train them work' and adopt 'first work then train' scheme. fifth. On issue regarding procurement of professionals with speciality, a suitable way is to connect institutions with the industry. Doing so will allow generate professional employment assistants that con help manage various issues ranging from career development, on field employment, labor management and guidance after employment to continuous support. This will in part resolve problems regarding lack of skilled professionals.
This research paper attempts to locate problems related to job training for the disabled. and proposes number of suggestions for improvement. However, in order to cover other aspects of the issue there should follow a subsequent research on circumstances that graduates of job training institutions experience after they proceed to the field of work.
  • 가격3,000
  • 페이지수109페이지
  • 등록일2009.10.20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75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