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 과목에 따른 수준별 수업 운영성과 비교 -안산 지역 중학교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운영 과목에 따른 수준별 수업 운영성과 비교 -안산 지역 중학교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1

2. 이론적 배경 2
1.1 수준별 수업 2
1.2 수준별 수업의 운영성과 2

3. 연구 설계 3
1.1 변수선정 3
1.2 분석틀 3
2.1 연구대상 및 범위 선정 4
2.2 자료 수집 및 분석방법 4

4. 조사결과분석 4
1.1 신뢰도 4
2.1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 5
3.1 수준별 수업의 운영성과 분석 6
4.1 각 과목의 기초반, 기본반, 심화반의 운영성과 차이 분석 7
4.1.1 수학과목의 기초반, 기본반, 심화반의 운영성과 차이 분석 7
4.1.2 영어과목의 기초반, 기본반, 심화반의 운영성과 차이 분석 8

5. 결론 및 제언 10

본문내용


2.898
.962
심화반
2.993
.992
합계
2.910
.965
[표8]은 사후검정을 통한 다중비교 결과이다. 이미 앞선 분석에서 요인 변수별 유의확률이 모두 유의수준 0.05를 넘었기 때문에, 각 요인에 대한 수준반 별 차이 또한 유의확률이 모두 유의수준 0.05를 넘는다. 다만, 학업성취도 면에서 기초반과 심화반의 비교에서 가장 작은 유의확률이 나타나 영어과목의 경우 기초반과 심화반을 구분하는 것이 학업성취도의 면에서 운영성과를 높일 것으로 가정하고 심화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은 있다.
표8. 영어과목의 수준별 수업의 운영성과에 대한 차이분석의 사후검정
구 분
비교 집단(반)
유의확률
흥미유발
기초반
기본반
.875
심화반
.979
기본반
기초반
.875
심화반
.950
심화반
기초반
.979
기본반
.950
수업진행
기초반
기본반
1.000
심화반
.914
기본반
기초반
1.000
심화반
.880
심화반
기초반
.914
기본반
.880
학업성취도
기초반
기본반
.778
심화반
.339
기본반
기초반
.778
심화반
.631
심화반
기초반
.339
기본반
.631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교과교실제 운영성과의 기존수준이라 할 수 있는 수학과목과 영어과목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운영성과를 교육수요자 관점에서 확인하고 과목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준별 수업의 운영성과를 학생의 흥미유발, 교사의 수업진행, 학업성취도로 구성하였다. 수준별 수업을 진행하는 학교 중 안산지역의 중학교 1곳을 선정하여 해당 학교에서 수준별 수업에 참여하는 1학년과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운영성과를 실증적으로 도출하고 비교하려 하였다.
연구 결과, 5점을 기준으로 수학과목의 경우 변수의 측면에서 흥미유발이 3.30, 수업진행이 3.29, 학업성취도가 2.93으로 보통 수준이거나 보통에서 약간 높은 수준이었고, 수준반 별로 기초반이 3.17, 기본반이 3.11, 심화반이 3.24로 변수의 측면과 마찬가지로 보통 수준이거나 보통에서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각 반별 성과의 차이에서 학업성취도의 측면이 0.002의 유의확률로 수준별 수업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기본반과 심화반 간의 유의확률이 0.003으로 수준별 수업의 효과가 가장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과목의 경우 변수의 측면에서 흥미유발이 3.29, 수업진행이 3.28, 학업성취도가 2.90으로 수학과목과 같이 보통 수준이거나 보통에서 약간 높은 수준이었고, 수준반 별로도 기초반이 3.12, 기본반이 3.16, 심화반이 3.20으로 수학과목과 비슷한 수준의 운영성과를 나타냈다. 각 반별 성과의 차이에서 수학과목의 경우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수준별 수업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어과목은 각 변수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각 반별로도 성과의 차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수준별 수업의 효과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목은 일반수준과 심화수준으로 분반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영어과목은 수준별 구분 없이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일반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으나, 본 연구가 제한된 지역에서 하나의 학교를 대상으로 진행된 것과 설문대상 학년이 중학교 1학년과 2학년임을 고려할 때, 수학과목에서도 학업성취도 측면에서만 분반의 차이가 있는 점에서 일부 학생들의 학교 입학전 사전 학습 여부에 따르는 민감도와 지역이 가진 특성에 따르는 민감도를 변수로 하는 더 진전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이 본 연구의 제한사항이라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의 본질적인 목적인 교과교실제 운영성과의 기존 수준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기존에 수준별 수업을 운영하지 않았던 학교와 수준별 수업을 운영한 학교에 각각 교과교실제를 적용한 뒤에 나타나는 운영성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교과교실제 운영성과의 기존 수준을 조정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강상진(2003), 학교 및 기관평가를 통한 교육경쟁력 강화, 학국 교육평가학회 창립 20주년 기념세미나 발표논문집.
강상진(2004), 학업성취도 평가를 바탕으로 한 시도교육청 학교평가 모형의 적용,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평가 발전방향 탐색 세미나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김동원(2009), 교과교실제를 통한 맞춤형 교육 구현, 21세기 한국의 교육과 학교건축. 12-14
김석우, 김석호, 김윤용, 정흥식(2006), 한미 고등학교 간 수준별 교육과정 및 학생 평가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12(1), 5-35.
배호순(1994), 프로그램 평가론, 서울: 원미사.
서현경(2008),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수준별 이동수업의 개선방안
이화진(1998), 개인차를 고려한 교수·학습 및 평가 방안 연구 : 초등학교 도덕, 실과, 체육, 음악,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정택희(2003), 현행 학교평가의 실태와 문제점, 학교발전을 위한 학교평가의 방향과 과제, 제1회 교육연구개발 연계체제 세미나 자료집, 학국교육개발원.
정택희, 김주후, 김주아(2004), 시도교육청 학교평가 공통지표,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RM 2004-71.
조난심(2001),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의 운영을 중심으로.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C 2001-10.
황여정(2008), 수준별 이동수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연구 14(1), 71-101.
황정규(1997), 초중고등학교 학교평가 절차 및 기준 개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Scriven. Michael(1987), Validity in personnel evaluation, Journal of Personnel Evaluation in Education Vol 1, 9-23.
Slavin. R. E.(1990), Ability grouping and students achievement in secondary schools : A best-evidence synthe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0, 471-499.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2.07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07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