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세계 정치론] 제 3세계 국가 -케냐의 경제, 정치적 발전 과제와 국제 원조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 3세계 정치론] 제 3세계 국가 -케냐의 경제, 정치적 발전 과제와 국제 원조에 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제 3세계의 정의와 케냐
1.1. 제 3세계의 정의
1.2. 제 3세계 국가로서의 케냐

본론
2. 케냐의 경제 발전
2.1. 세계의 빈부격차
2.2. “케냐”의 경제 상황
2.3. 제 3세계의 경제 발전 가능성
2.3.1. 한국의 역사적 배경과 경제 발전
2.3.2. 싱가포르의 역사적 배경과 경제 발전
2.3.3. 케냐의 역사적 배경과 경제 발전
3. 민주주의로의 이행과 공고화 가능성 및 조건
3.1. 제 3세계의 민주 발전 가능성
3.1.1. 불가능 : 종속이론, 세계체제론, 정통맑스주의
3.1.2. 가능 : J.Schumpeter, S.M. Lipset, G.Almond와 S. Verba
3.1.3. 제 3세계, 특히 케냐의 경제 발전 열쇠는 정치적 안정성
3.1.4. 민주화 이후 한국 경제의 발전
3.2. 민주주의 이행 과정
3.2.1. 민주주의의 이행 과정
3.2.2. 민주주의의 조건
3.2.3. 한국 정치에서 적용된 이행 과정과 조건
3.3. 민주주의 공고화
3.3.1. 민주주의의 공고화 조건
3.3.2. 한국 정치에서 실제 적용된 공고화 조건
3.4. 케냐의 민주화 조건 불충족
3.4.1. 사회경제적 발전수준과 구조적인 측면
3.4.2. 국민통합, 정치안정, 시민사회 조직화 측면
3.4.3. 정치문화적 측면
3.4.4. 국제정치군사적 환경 측면

결론
4. 한국 등 제 3국의 지원방법에 대한 고찰

본문내용

지 못하였다. 독립 초반 가장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했었지만 국가 경제 수준의 1/4이상이 농업에 치중되었다는 점, 엄중한 수입통제와 동력 부족 탓에 발전기에 제대로 발전하지 못하고 둔화한 공업 등에서 일정 수준 이상으로의 발전을 이끌어내지 못하였다.
또한 국민통합과 정치안정, 시민사회의 조직화라는 측면에서는 가장 고질적이고 큰 문제인 부족 문제가 걸려 있다. 8개 부족 이상의 다 부족 국가인 케냐는 부족 간의 오래된 갈등으로 인해 국민 통합에는 굉장한 어려움이 따른다. 종교를 초월하는 부족주의 탓에 시민사회 구성 등으로의 발전적인 방향으로는 제한이 있다. 또한 정치엘리트들이 부족 간의 갈등을 이용해 정치 세력을 공고히 하려는 경우도 있어서, 케냐의 모든 사회문제들 중에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 돼야 할 문제이다. 국제정치적으로 케냐는 동아프리카의 관문으로 중요한 지정학적 위치를 갖는다. 아프리카 대부분 나라들이 내전과 분쟁에 시달릴 때에도 비교적 안정을 구가했기에, 케냐가 그에 준하는 불안정에 휩싸인다면 관광사업과 일부 광물자원의 수출, 교역에 의존하는 동아프리카의 경제가 무너진다는 점에서 국제 사회에서는 주요한 지정학적 위치로 인식하고 있다. 이처럼 케냐는 민주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조건들이 부합되지 않았기에 므이 대통령의 장기 독재 집권, 이어지는 정권의 비평화적 이양, 비민주적 선거 등의 민주주의적 실패를 보였고 이는 다시 경제 발전 저해 요소로 다가온 것이다.
결론
한국 등 제 3국의 지원방법에 대한 고찰
이 모든 국가적인 문제들에서부터 “케냐”가 자력으로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고 점진적으로 민주화, 경제적 발전을 이룬다는 것은 앞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단기간 내에는 절대적으로 “불가능” 할 것이다. 따라서 국제사회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다. 제 3세계 국가를 민주화로 인도 할 수 있는 국제사회의 임무는 첫째, 부족/종교집단 간 격렬한 갈등의 해결과 그 후유증의 치유 둘째, 경제 사회적 발전 지원, 셋째 시민사회의 확대 및 역량강화 지원, 넷째 원조 공여국의 필요가 아닌 제 3세계의 필요와 능력에 맞는 지원이다.
한국은 케냐와 1964년에 수교하여, 의료협정 및 무역협정과 경제기술 협력협정 및 문화, 항공 등 전 분야에 걸쳐서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와 같이 한국은 케냐와 거의 모든 분야에서 교류의 창을 열어두었고, 한국 국제 협력단(KOICA)의 무상 원조는 계속해서 1991년 ~ 2006년에는 케냐에 물자를 지원하고 연수생을 초청하는 사업에 360만 달러가 지원되었고, 2006년~2009년 사이 아프리카 개발 원조액을 3배 증액하는 ‘아프리카 개발 이니셔티브’를 진행하였고, 특히 동아프리카 식수 개발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였다. 2007년 아셈보 만 정수장 개발 사업 하는 데에 150만 달러를 지원하고 수도와 상수도 개발에 83만 달러를 지원하였다. 이외 대외경제협력기금은 유상 원조로 2000년 아티리버 기술훈련원 기자재 공여 사업에 1,440만 달러 지원을, 2005년에는 도로 개 보수 및 기자재 제공 사업에 2,500만 달러를 지원하였다.
국제사회는 케냐에 대하여 원조 및 중단을 번갈아가며 케냐에서의 부정부패 척결과 민주주의로의 이행 여부에 대한 감시를 하며 2000년대부터 지금까지 “지속 가능한 원조”를 하였다. 현재의 케냐는 기부금 등에 의한 경제적 발전이 이뤄지고 있고, 아직까지 많은 부분에서 의존하고 있는 바가 크지만, 원조는 지속 가능한 사회 기반 시설 확충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고기를 주지 않고 고기 잡는 법을 알려 주는 것. 국가 대 국가 또는 국가 대 국제사회라 할지라도 그것이 진정한 도움이라고는 다들 느끼지 않을까.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11.25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45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