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론] 제 7 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 - 6, 7 절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시론] 제 7 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 - 6, 7 절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6. 다다이즘
1) 다다이즘의 성립과 특징
2) 다다이즘의 기법
7. 초현실주의
1) 초현실주의의 성립과 특징
2) 자동기술법

본문내용

주의의 핵심 방법이 되는 것이며, ‘만약게임’, ‘질문대답 게임’과 같이 우연성은 초현실주의의 기본방법이다.
2)자동기술법
자동기술법은 초현실주의의 중요한 기법으로서 어떤 의식이나 의도 없이 무의식의 세계를 상태로 대할 때 거시서 솟구쳐 오르는 이미지의 분류(噴流)를 그대로 기록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원래 정신병 치료하는 방법이고 브레똥은 시에 응용한다. Proust와Joyce가 소설에서 사용한 적도 있다. 자동기술법으로 된 최소의 작품은 브레똥과 수뽀가 합작으로 써서 1919년에 「자장」이었다. 한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아프리카의 중앙에는 숫곤충이 사는 호수가 있으며 이것들은 석양이 되면 죽을 뿐이다. 훨씬 머리 거목이 있으며 가까운 산들 위로 드리워 있다. 새 울음소리는 베일의 빛깔보다 더 음산하다.
사막 가운데서 극장을 건설하고 있는 광부들을 너는 모르겠지. 그에게 붙어 있는 神父들은 더 이상 그들의 모국어를 말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서로 무관한 이미지들과 단상들이 무의식적으로 나열되어 있다. 그저 꿈과 내면세계에서 솟아나는 이미지를 타이프 치듯이 아무런 수정없이 표현하고 있을 뿐이다.
자동기술법은 이러한 무의식의 자유로운 분출을 통해 의식과 일상의 미망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키고 참된 자아의식에 도달코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브레똥에게는 자연을 모방하거나 논리와 합리성에 의하여 지신을 속박하는 것은 예술가의 기능이 아니었고 예술의 목적과 인생 자체의 목적은 현실에 대한 우리의 정의를 그것이 신비를 담을 때까지 팽창키기는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동적인 방법은 그 나름대로의 취약점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우선 의식과 무의식 사이의 명확한 구분은 확신을 지니고 주장될 수 있는 것이 결코 아니었고, 또한 텍스트들로 진정함에 대한 그들의 주장에 있어서 완전히 신빙성이 있는 것은 아니었다. 1932년 브레똥은 심지어 자동기술의 역사가 ‘끊임없는 불행’이었다고 인정하기에 이르렀었다. Arp, Jean, \"On My Way\", New York, 1949, p126.
자동기술법은 현대시의 흐름에 큰 줄기를 이루고 있는데, 신묵시파 시인 딜런 토마스가 대표적인 경우이다. 한국에서는 1930년대 「3.4 문학」의 이시우, 신백수, 이상, 그리고 해방 후 조향, 김구용 등의 시에서 자동기술법의 편린을 엿볼 수 있다. 조향의 시에서 자동기술법으로 슨 시는 <쥬노의 독백>, <녹색의 지층>, <검은 전설>, <왼편에서 나타난 희색의 사나이>, <어느 날의 메뉴>등이 있고 그 가운데 <어느 날의 메뉴>는 자동기술법의 특징인 자유연상, 무의식의 자유로운 분출을 잘 나타냈다.
참고문헌:
김영철, 『현대시론』, 건국대학교출판부, 2004
C.W.E. Bigsby, 『다다와 超現實主義』, 朴熙 역, 서울대학교출판부, 1979
Arp, Jean, \"On My Way\", New York, 1949, p126.
구연식, \"한국 다다이즘의 비교 문학의 연구: 이상시를 중심으로\", 부산,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3.15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84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