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화상환자의 급성기와 간호관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화상환자의 급성기와 간호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병태생리
2. 임상증상
3. 합병증
4. 급성기의 치료와 간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영양 요구량은 충족되어야 함
고칼로리, 고단백 식품, Vitamin ABC, 철분 보충
환자의 장음이 돌아오면 즉시 구강으로 보통식을 제공
비위관 사용
정맥 주입 형태로 공급
감염예방 관리
모든 화상 환자에게 표준 감염관리지침을 적용
특수한 감염인 경우 : 감염조절장비와 격리술 적용
각 환자와 접촉하기 전과 후에 향균제, 물, 알코올이 함유된 손세척제로 손을 씻어야 한다.
각 환자와 접촉하기 전에 깨끗한 앞치마나 가운, 장갑 등의 적절한 보호 장구를 착용하고 환자의 침상이나 병실을 떠난 후에는 반드시 폐기 처분한다.
장갑이 분비물이나 배설물에 오염되었다면 한 부위에서 다른 부위로 옮겨 가기 전에 교환해야 한다.
멸균적인 처치를 준비하고 수행할 경우나 개방된 화상상처를 간호해야 할 경우는 멸균된 장갑, 모자, 마스크 등을 착용해야 한다.
한 번 사용한 기구, 재료, 포는 대상자가 보유한 미생물에 오염되었다고 간주하고 다른 대상자와 접촉하기 전에 소독을 해야 한다.
환자로부터 오염된 장비, 재료, 포 등을 만지거나 조작할 때에는 적절한 보호장구를 착용해야한다.
(출처 : Personal communication with Joan M. Weber, RN, BSN, CIC, Infection Control Coordinator, Shriners Burn Hospital, 51 Blossom st., Boston, Mass.)
기본 감염 관리 방법
기도 개방 유지
무의식 환자는 턱을 위로 올리거나 머리를 뒤로 젖혀 기도를 유지
흡입 손상이나 기도폐색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기도를 개방하고 필요시 흡인
심부 기관 내 흡인은 고통스러울 수 있기 때문에 흡인 전에 진통제나 진정제를 투여
합병증 관리
상처 감염
상처 부위 변색, 분비물, 냄새, 치유의 지연, 해면성 가피 등 화상부위에 감염징후가 있는 사정
멸균상황 하에서는 매우 세심하게 수행
두통, 오한, 구토, 식욕부진, 당뇨, 고혈당, 환각 등 패혈증의 임상징후가 있는지 관찰
근골격계 장애
주로 부목 유지, 적절한 체위유지, ROM운동 등
가장 적절한 체위 : 구축이 일어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세를 유지
심리사회적 간호 : 사회심리적 지지와 상담 필요
Ⅲ. 결론
우리는 간호학 2-1-1 package part1에서 서울 소재 대학병원의 13병동(성형외과, 안과, 이비인후과)에 근무하고 있는 2년차 간호사이다. 오후 8시경, burn을 입은 박동석 환자가 burn wound irrigation& dressing이 안된 상태로 올라왔으며 환자의 화상부위는 우측 팔 1/2정도와 우측 얼굴 눈 주변 약간, 가슴과 복부의 1/4정도, 우측 대퇴부, 화상부위에는 redness & swelling, blister, partial necrotic eschar가 보였다. 우리는 환자에게 적절한 간호중재를 하기 위해 화상의 단계 중 급성기와 그에 따른 간호관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급성기는 화상 부위의 상처치유가 완료되었을 때까지를 말하는 것으로 임상증상으로는 화상 가피 형성, 혈청 전해질 농도에 따른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저칼륨혈증이 있다. 급성기 화상의 치료와 간호는 소생기 화상의 치료·간호의 원리와 비슷하나, 특히 수치료 시간을 30분 이하로 시행하는 상처간호, 절개와 피부이식, 통증 자가조절장치, 산화질소와 같은 흡입성 마취제와 같은 소생기에 투여한 약물 이외의 다른 장치들을 추가로 사용하는 통증 관리, 부목 적용, 적절한 체위유지, 운동, 보행,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물리 및 작업치료, 영양관리, 감염 예방 관리, 기도 개방 유지, 화상으로 인한 합병증 관리 등이 있다.
위와 같은 내용에 따라 우리는 현재 화상의 소생기 상태에 있는 박동석 환자가 급성기에 도달했을 때를 대비하여 해당 상처 부위의 간호와 그에 따른 통증을 최소화 시키는 등 환자의 상태에 알맞은 간호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Ⅳ. 용어정리
섬유아세포 : 섬유성 결합조직의 중요한 성분을 이루는 세포
교원질 : 콜라겐과 동일어
수치료 : 치료적 목적을 위해 물을 적용하여 치료하는 물리치료의 한 분야
부목 : 팔다리에 골절, 염좌, 염증 따위가 있을 때에 아픈 팔다리에 고정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대는 나무
Ⅴ. 참고문헌
이향련 외, 2007, 성인간호학2 여섯째판, 수문사, p.1642-1648
김조자 외 2000, 성인간호학 하(2), 현문사, p.1356-1373
이영휘 외, 2011,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p.1372-1383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03.26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10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