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육의 새로운 모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 교육의 새로운 모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제3장 전통화 공동체
 -교회의 역사적 이미지들
 -기독교 공동체의 역사적 성격
 -기독교 공동체의 역사적 전통과 현재적 경험이 갖는 기능들
 -교육모형을 위한 결론: 전통화 공동체
 -전통화 공동체에 대한 개요

제4장 과정 속에 있는 인간
 -인간의 본질은 고정적인가 아니면 변화되는가?
 -인간의 본질에 대한 과정 모형에 대하여
 -미드의 사회심리학적 고찰
 -하이트헤드의 형이상학적 관점
 -교육모형을 위한 결론

결론
9. <교육 모형을 위한 결론>

본문내용

적 상호 작용으로 이해한다. 연속성은 실재하는 것이지만 사물의 본질적인 성격이라기보다는 이러한 사건의 연속을 통하여 드러난다는 것이다. 화이트헤드는 실재를 연속성과 변화 성을 지닌 과정으로 이해한다. 그는 실재에 대한 어떤 해석도 연속성과 변화 또는 질서와 창조의 양 측면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사실상 그는 연속성이나 변화 성 중의 어느 한 쪽에만 주의 집중하거나 “양자 간의 형평을 유지하려는” 철학을 비판한다. 즉 그는 양자를 분리해서 별개의 것으로 보는 사고를 비판한다. 다시 말해 화이트헤드는 질서와 무질서가 필연적인 상관물이며 양자가 모두 강도 높은 체험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1) 연속성과 변화 성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적 과정들
거시적 과정, 거시적 과정은 하나의 사건이 과거로부터 이어져서 발생할 때 전형적으로 일어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가는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여기에서 화이트헤드에 따르면 사람들이 변하는 것ㄹ이 아니라 그들 또는 그들의 판단에 대한 영향들이 있었던 결과로 그들의 진로가 변하는 것이다. 사건들의 연속성에 변화는 오로지 새로운 사건이나 실제의 발생으로 이루어진다.
미시적 과정, 미시적 과정은 어떤 주어진 사건내부에서 일어나는 통합 과정으로서 객관적인 자료들이 모아져서 하나의 새로운 통일체로 변형되는 과정이다. 이것은 다양함이 하나로 되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쉽게 말하자면 과거의 모든 영향들이 새로운 사건으로 종합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시적 과정은 미드의 인간발달과정 묘사에 있어서 객관적인 나(me)와 주관적인(I)의 상호 작용과 유사하다.
2) 연속성과 변화성에 영향을 주는 복합적인 현상들
새로움, 화이트헤드는 각각의 사거니 그 자체로 새롭다고 말한다. 이것은 각 실제가 아무리 미소하더라도 그 이전의 것이나 그 이후의 것과 어느 정도는 다르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새로움이 존재한다는 사실에서 우리는 하나님이 어떻게 “모든 질서와 창조의 토대”로서 상황 변화에 영향을 주는지를 다소나마 알 수 있다. 하나님은 사건의 발생에 새로움을 부여한다. 하나님은 세계 안에 존재하며 체험되는 실재의 한 부분이다. 더 나아가 하나님은 발생되는 사건의 주관적 목적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각 사건은 하나님과 관계를 맺고 있고, 각 사건에 관한 과거로부터 유산은 새로운 가능성을 요청하는 하나님에 의해 변형된다.
지속성, 새로움과 대조되는 현상이 지속성의 현상으로서 이것은 하나의 실제적인 상황에서 다른 실제적인 상황으로 구체적 특성들이 전달되는 과정이다. 화이트헤드는 새로움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급격한 변화를 지속성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꾸준히 유지되는 특성들로서 설명할 수 있는 단서들을 우리에게 제공해 주고 있다. 그는 흔들리지 않는 연속성(즉 과거로부터의 순수한 지속)이 가능하다는 증거는 조금도 없다고 말한다. 계속되는 구조와 새로움 사이에는 필연적인 긴장이 존재한다. 인간에 있어서는 반복적인 과정과 창조적인 과정이 모두 일어나고 이 두 과정은 그 인간에게 있어서의 중심적인 상황들을 통하여 통합되고 조정되며 그러한 과정의 연속이 살아 있는 인간 즉 “지속되는 인격”을 구성한다.
대조, 대조는 서로 근본적으로 이질적인 영향들이 하나의 통리체로 종합될 때 쓰이는 수단이다. 대조는 어떤 사건이든 최대한의 정보가 모아지도록 할 뿐 아니라, 무시되거나 소홀히 다루어지는 정보를 최소한으로 줄이게 한다. 그 결과는 모종의 질서와 통일성과 조화를 이루는 결정이 된다.
3) 역동적이 실재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상호 관련성이 우선 시사해 주는 점은 기독교 종교 교육자들이 이 셋 중의 어느 것도 무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하나님이 주시는 통찰력을 가지고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상호 연관성을 인식하고 사람들이 그 세 부분을 인식하고 통합할 수 있도록 격려해 줄 수 있는 교육모형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결론
9. <교육 모형을 위한 결론>
종교교육이 시작되어야 할 곳은 바로 여기 교차로의 한 가운데이다. 종교 교육은 사람이 사람을 만나고 미래를 예상하며, 과거를 탐구하고, 현대의 문제들과 맞대면하고 있는 곳에서 시작해야 한다. 사람들은 하나님과 관계를 맺고 있고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세계와 관련을 맺고 있다. 이러한 관계들의 중심이 아닌 다른 곳에서 교육을 시작하는 것은 삶의 일부 측면만을 인위적으로 떼어내어 다룸으로서 다른 모든 측면을 무시하는 것이다. 삶의 경험에서 성서로 접근할 것인가 아니면 성서에서 삶의 경험으로 접근할 것인가 하는 진부한 문제는 이제 더 이상 논의할 필요조차 없다. 성서나 현재의 삶의 경험 그 어느 쪽도 기독교 종교교육의 출발점이어서는 안 된다. 출발점은 교차로에서 시작해야 한다. 이 교차로에는 성서나 각 개인의 현재의 삶의 경험뿐만 아니라 부모, 교회 사람들, 역사적인 교회전통, 세계의 미래에 대한 공포와 희망, 교회를 둘러싸고 있는 문화, 지구촌의 여러 문제들 그리고 하나님이 있다. 그 교차로는 커다란 장소인 것이다. 그곳은 두려운 장소이다. 우리 중의 어느 누구도 아무런 두려움 없이 그 곳에 대해 생각할 수 없다. 우리가 사역해야 할 곳이 바로 거기인 것이다.
참고문헌
오인탁 편 『기독교 교육학 개론』, 한국 기독교 교육학회(도서출판 기독한교), 2005
이광수, 이용원 지음 『선교학개론』, 한국장로교 출판사, 2003
맹용길 지음 『기독교 윤리학개론』, 한국장로교 출판사, 1994
--------------------------------------------------------------------
1) 이광수, 이용원 지음 『선교학개론』, p.63-80.
2)Mary Moore,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모형』, 141-146.
3)Mary Moore,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모형』, 175-176.
4)Mary Moore,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모형』, 187-188.
5)Mary Moore, 『심장으로 하는 신학과 교육』, 300-316.
6)오인탁 편 『기독교 교육학 개론』, p.121-127.
7) 맹용길 지음 『기독교 윤리학개론』, p.51-59.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8.12.12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3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