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 정서 행동치료 및 인지 치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지 정서 행동치료 및 인지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인지, 정서, 행동치료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인지치료 (Cognitive Therapy)
인지 및 행동 기법에서의 놀이치료의 적용

본문내용

에 달렸다. 만약 아동이 인내심이 적고 지는 것을 잘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패배를 참아내는 연습을 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서니는 장기 게임에서 졌을 때 책상을 발로 차고 뿌루퉁해지곤 한다. 이럴 경우 서니를 이기게 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 반면, 지게 하면 자기가 배운 대처기술을 적용해 볼 기회를 갖게 되어 도움이 된다. 만약 아동이 겁이 많고 자기효능감도 낮다면 치료자가 ‘일부러 져 줄’ 필요가 있다. 예컨대 베니는 자기는 농구를 잘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슛을 해보는 것조차 하지 않으려 한다. 치료자는 일부러 여러 차례 슛에 실패함으로써, 베니에게 한번 해보도록 용기를 준다. 그러나 아동에게 의도적으로 이기게하는 것을 들켜서는 안된다. 따라서 치료자는 균형을 잘 잡아야한다. 게임에도 인생의 유관성, 즉 이길 때도 있고 질 때도 있다는 것을 반영해야 한다.
게임 도중에 속이는 것은 치료자가 다뤄야 할 또 하나의 딜레마로, 게임을 하는 동안 아동에게 속임수를 허용해서는 안된다. 속임수를 허용하면 아동에게 잘못된 메시지가 전달된다. 또한 속이는 행동이 아동의 문제 속에 파묻혀 있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아동의 속임수를 허용하는 것은 치료자가 아동의 정직하지 않은 행동에 동조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치료자는 속임수와 관련된 부적응적 신념을 끌어내어 수정하도록 해야한다. 다음의 대화는 이 과정의 예를 보여준다.
치료자: 데니스, 네가 내 장기를 뒤로 두 개나 물리고 네 장기를 한 칸 앞에 놓았구나. 게 임 안내문에 이렇게 하라고 쓰여 있었니?
데니스: 기억 안 나요.
치료자: 그레. 너는 이것이 정정당당하다고 생각하니?
데니스: 몰라요.(책상 위에 엎드린다.)
치료자: 친구랑 게임할 때도 가끔 이렇게 하니?
데니스: 가끔요.
치료자: 네가 내 장기를 움직일 때 마음속에 무엇이 떠오르지?
데니스: 몰라요.
치료자: 내가 내 장기를 네 앞으로 옮기면 기분이 어때?
데니스: 나빠져요.
치료자: 기분이 나빠질 때 마음속에 무엇이 스치고 지나가지?
데니스: 나는 지기 싫어요.
치료자: 지는게 뭐가 어때서?
데니스: 상대방이 나보다 잘한다는 걸 의미하잖아요.
치료자: 네가 질 것 같은 생각이 들면 기분이 나빠지고, 그때 네 마음속에 “나는 상대방보 다 더 잘한다”라는 생각이 스쳐 지나가는구나. 그래서 네 장기를 내 것 앞으로 옮긴거니?
데니스: (눈물을 흘리며, 고개를 끄덕인다.)
치료자: 그래서 그것이 너에게 도움이 되었니?
데니스: 아니요.
치료자: 게임에 지는 것이 그렇게 끔찍한 일이 아니고, 게임에 질 때 기분을 좋게 하는 방 법을 배워볼래? 그렇게 되면 속임수를 쓰지 않아도 된단다.
이 대화 속에는 몇 가지 도움이 되는 단서들이 포함되어 있다. 첫째, 치료자는 속임수를 제한하였다. 둘째, 치료자는 데니스를 처벌하거나 조롱하지 않고, 속임수와 관련된 생각과 감정을 확인하도록 도와주었다. 셋째, 치료자는 치료시간 중에 발견된 속임수와 데니스의 사회기술 문제를 연결시키고자 했다. 넷째, 치료자는 문제해결 과정을 시작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3.19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2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