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넨베르크의 기독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판넨베르크의 기독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 2

Ⅱ. 사상적 배경 ------------------------ 2

1. 칼 바르트(Karl Barth)
2. 게르하르트 폰 라드(Gerhard von Rad)
3. 판넨베르크 서클(Pannenberg-Kreis)

Ⅲ. 판넨베르크 기독론의 특징 ------------ 3

1. 판넨베르크 신학의 성격
2. 판넨베르크의 기독론의 과제와 방법론
3. 양성론

Ⅳ. 인간으로서의 예수 ------------------- 7
1. 예수의 삶
2. 예수의 죽음

Ⅴ. 부활 사건으로 본 예수 --------------- 10
1. 계시적 통일성
2. 본질적 통일성
3. 인격적 통일성

Ⅵ. 나가는 말 ------------------------- 16

본문내용

함으로써 기독교를 변호하려는 노력이었다. 그러나 자유주의 신학은 신학의 중심을 하나님의 말씀(성서)이 아닌 인간의 경험이나 정황(context)에 둠으로써 인간 중심의 신학이 되고 말았다. 목창균,「현대 신학 논쟁」, (서울: 도서출판두란노, 1995), 15-16.
판넨베르크는 양성론의 역사적 발전과 논쟁 양상들을 검토하면서 두 본성의 실제적 주체자인 역사적 예수에서 출발하지 개념적인 인성과 신성의 관계 문제에서 시작할 때 양성론의 딜레마는 불가피하다고 판단, 현대신학에서 분리적인 양상을 보였던 역사적 예수 연구와 전통적 교리적 기독론의 연결을 꾀하면서 양성론의 의미와 두 본성의 관계성을 그의 역사신학, 합리적 신학, 부활 신학의 윤곽 속에서 해명한다.
그의 양성론 해석의 결정적 포인트는 (그의 상향식(from below) 방법론에 따라 역사적 예수 자신에 초점을 맞춘 당연한 결과로서) 간접적-인격적 통일성에 대한 통찰이다. 즉 인간 예수를 직접적으로 하나님 아들, 로고스와 일치시키지 않고 오직 그의 하나님에 대한 관계를 아버지에 대한 아들의 관계로서 본다는 점이다. 그러나 점진적 의식의 발전 과정 속에서 설명되는 이러한 예수와 하나님의 인격적 통일성은 결국 심리적인 통일성이 아닌가 라는 물음이 제기된다. 여기에 대해 판넨베르크는 예수의 역사를 능동적인 행위와 수동적인 운명(죽음과 부활)으로 구분하여 능동적인 행위 속에서의 예수와 하나님의 인격적 통일성은 결국 하나님에 의해 죽음과 부활 사건에서 본질적인 통일성으로 확인된다는 논리과정을 전개한다. 여기에서 우리의 신앙의 확실한, 유일한 근거인 부활사건이 결코 신화가 아니라는 사실을 밝히기 위해 부활사건의 역사성이 중요하게 취급된다.
이제 이러한 과정은 다시 예수와 하나님의 본질적 통일성은 부활에서 비로소 이루어진 것이라는 오해의 가능성을 내포하는데 판넨베르크는 부활의 소급력이라는 개념으로 이 가능성을 배제한다. 그리고 역사적 예수에서 밝혀진 인격적 통일성(아버지와 아들의 철저한 구별이 전제되는)그 자체가 예수의 신성의 본질이라는 것을 논증한다.
다시 기독교 신앙의 가장 본질적인 표현인 삼위일체론적 하나님의 존재양태의 위치를 묻게 되는데 판넨베르크는 (성령이라는 독립적 인격을 예수와 신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설명, 추가하고) 삼위일체를 영광송(doxology)이라는 범주에 넣음으로 그것이 기독교 신앙의 본질적 표현이지만 신학적 사고의 전제가 될 수는 없다고 자신의 입장을 변호한다.
판넨베르크의 기독론은 역사의 마지막에 나타나게 되는 하나님의 완전한 계시의 전조를 그리스도 안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이 판넨베르크의 기독론의 중심점이다. 판넨베르크의 신학에서 기독론은 그의 신학의 중심을 형성한다. 하지만 판넨베르크 신학에서 기독론은 신론과 연결지어 설명되어지기 때문에 그의 신학의 중심은 신론이라고 보아야 한다. 더 자세하게는 삼위일체이라 하겠다. 왜냐하면 판넨베르크의 기독론의 두드러진 점은 예수의 역사로부터 삼위일체 교리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판넨베르크의 신학에 있어서 기독론은 삼위일체의 교리를 통해서 성취되고, 삼위일체론은 기독론의 관점으로부터 나타난다. 이러한 신학적 발견과 시도는 위로부터의 기독론의 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고, 오직 아래로부터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신학의 매력이다. 이러한 신학의 매력은 현대신학의 진보를 이루고, 또한 학문적 접근의 르네상스를 이루는데 크게 공헌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김영선, “판넨베르크의 기독론 연구”,「한국개혁신학회 1권」, (1997, 1월), 308.
그의 새로운 방법론적 과제는 개혁주의 신앙과 자유주의 방법론의 결합이었다. 그리하여 자유주의가 사용했던 현대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정통 기독교 진리를 변증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나 그의 새로운 방법론적 시도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역사적 예수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신앙이 전제되어야 하고, 믿음에도 이성적인 면이 존재함을 부인할 수 없다. 우리는 믿음과 교회의 가르침인 케리그마가 전제되지 않은 역사적 예수의 탐구가 초래한 파국적 결과를 자유주의 신학자들에게서 보았다. 그러므로 우리가 취해야 할 기독론의 출발점은 케리그마이어야 하며 역사적인 사실들은 케리그마를 증명하고 지지하며 설득력을 부여하는 수단이 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차 자료
Pannenberg, W. Basic Questions in Theology. Vol. Ⅰ. tr. G. H. Kehm. 1970 reprinted;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3.
. Jesus-God and Man. tr. L. L. Wilkins and Duane A. Priebe. London: SCM Press, 1974.
. \"The Revelation of God in Jesus of Nazarreth.\" Theology as History. J. M. Robinson and J. B. Cobb, eds. New York: Harper & Row, 1967.
. What is Man?: Contemporary Anthropology in Theological Perspective. tr. D. A. Prieb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5.
단행본
김영선. 예수와 삼위일체 하나님.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6.
목창균. 현대 신학 논쟁. 서울: 도서출판 두란노
조성노. 현대신학개관. 서울: 현대신학연구소, 1994.
Braaten, Carl. E. 역사와 해석학. 채위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5.
Stevens, William W. 조직신학개론, 허긴 역. 대전: 침례신학대학출판부, 1991
원서
Tupper, E. Frank. The Theology of Wolfhart Pannenberg. London: SCM Press, 1973.
Galloway, A. D. Wolfhart Pannenberg. London: George Allen & Unwin, 1973.
정기간행물
김영선. “판넨베르크의 기독론 연구.” 「한국개혁 신학회」제1권(1997. 1.)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20.06.25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29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