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관계형성을 위한 기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담관계형성을 위한 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상담관계 형성을 위한 기술
1) 긍정적인 상담관계 형성을 위한 상담자의 태도
2) 관계 형성을 촉진하는 기법들

2. 상담 초기 적응을 위한 기술
1) 상담 초기 불안 유발 요소
2) 상담 초기 불안 완화 전략

본문내용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공감적 이해
상담관계 형성을 위한 상담 기법
- 경청, 반영, 요약, 질문, 공감, 명료화 등
상담 초기 적응을 위한 기술
상담 초기 불안 유발 요소
1. 상담에 대한 비자발적 상태
자신은 상담 받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데 주변 사람들(예: 부모, 교사, 배우자 등)에 이끌려 상담 장면에 오게 된 내담자들은 상담에 대해 비자발적 상태에 있게 된다. 이들은 자신이 왜, 무엇 때문에 상담을 받아야 하는지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억지로 상담에 참여하는 것 자체가 불안을 유발시키는 요소가 된다. 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담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낸다.
(1) 침묵
상담에 대한 불편감이나 적대감으로 인해 자신의 감정과 생각에 대해 공개하기를 거부하는 침묵과 상담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자신의 말과 행동이 뜻하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갈까봐 반응을 통제하는 침묵이 있다.
(2) 반항적 태도
상담실 좌석에 삐딱하게 앉는다거나 상담 내내 엎드려 있거나 팔짱을 끼고 상담자를 불만스러운 표정으로 쳐다본다거나 하는 방식으로 거부감을 드러낸다.
(3) 가장 반응(disguised response)
겉으로는 자발성을 가장하면서 실은 상담에 거부감을 지닌 경우이다. 법원 판결 등 자신의 상담 태도가 불이익과 직결되는 상담 상황에서 내담자들이 많이 취하는 태도이다. 지나치게 상냥하거나 자신의 문제에 대해 장황하게 많은 말을 하지만, 병식(insight)을 제대로 지니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작 정서가 느껴지지 않고 건조하다.
2. 상담에 대한 과도한 기대
때로 내담자가 너무 과도하고 높은 동기를 지니게 되면 이는 초기 상담에서 불안을 유발시키는 요소가 된다. 이는 특히 불안을 효율적으로 다루기 어려워하는 초심 상담자의 상담에서 더 큰 불안 유발 요소로 작용한다.
(1) 상담에 대한 조급함
자신의 문제에 너무 압도되어 있거나 기질적으로 불안 성향이 높은 내담자들은 자신의 문제가 하루 빨리 해결되기를 원한다. 상담 초기에 증상이 완전히 개선되어야 한다는 압박을 상담자에게 암묵적, 명시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자신의 불안을 상담자에게 전가시킨다. 특히, 초심 상담자가 지닌 긴장과 불안을 더 가중시켜 상담자 또한 자신도 모르게 상담 성과에 대한 부담감을 지니게 된다.
(2) 상담에 대한 마술적 기대
상담에 대한 이해가 충분치 않을 때 내담자들은 상담자를 전지전능한 존재로 인식하기 쉽다. 특히, 의존적 성향의 내담자들은 상담자가 마술사와 같이 자신의 문제를 꿰뚫어보고 명쾌한 해답을 내려주기를 희망한다. 상담자 또한 내담자의 이런 비현실적 기대를 제대로 인식하고 다루지 못하게 되면 자신도 모르게 전능 환상(omnipotence fantasy)을 지니게 되어 상담에서의 내담자의 능동적 역할을 축소시켜 버리고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내담자를 이끌 위험이 높아진다.
상담 초기 불안 완화 전략
1. 상담에 대한 비자발적 상태에 대처하는 전략
(1) 침묵
침묵도 내담자의 심정이 담긴 것으로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침묵을 깨지 않으면서 언제든 마음이 내키면 이야기할 수 있고, 상담자 또한 그것을 기다린다는 언어 반응을 간헐적으로 해 주는 것이 좋다.
<예시>
“○○씨가 상담에 오기 싫었던 마음을 충분히 이해합니다. 시간은 충분하니까 마음이 내킬 때 어떤 이야기든 하셔도 좋습니다.”
(2) 반항적 태도
침묵과 마찬가지로 상담자를 향한 적대적 태도 또한 수용하고 존중할 필요가 있다. 다만, 수용하고 존중한다고 해서 내담자의 거칠고 폭력적인 행동까지 수용해서는 안 된다. 적대적 태도에서 유발되는 상담자의 긴장감을 숨기기보다는 진솔하고 부드럽게 그것을 표현할 때 내담자는 상담에 대한 경계심을 누그러뜨릴 수도 있다.
<예시> <내담자가 거친 행동으로 상담자를 위협할 때>
“○○씨가 이 상황에 대해 화나는 마음은 알겠지만 폭력은 안 됩니다. 이렇게까지 상담에 오기 싫으셨을 수밖에 없던 마음을 저하고 말로 풀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씨가 저를 그렇게 계속 노려보고 계시니 왠지 저한테도 긴장감이 생기네요. 아마도 이 상담실에 억지로 오게 되신 것이 그만큼 싫고 불편하시다는 표현이시겠지요.”
(3) 가장 반응
침묵과 반항적 태도 보다 오히려 가장 반응에 대한 대처가 더 어려울 수 있다. 왜냐하면 상담에 대한 거부감이 표면으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때는 내담자에게 느껴지는 건조한 느낌을 부드럽게 직면시키고, 상담에 대한 거부감을 오히려 솔직하게 드러내는 것이 더 좋다는 것을 표현한다.
<예시>
“○○씨가 자신의 문제에 대해 열거를 하시는데, 이상하게 저에게는 좀 건조한 느낌이 드네요. 억지로 상담 온 것이 충분히 불편할 수 있는데 그 마음을 편하게 얘기 나눠보는 게 어떨까요?”
2. 상담에 대한 과도한 기대에 대처하는 전략
(1) 상담에 대한 조급함
문제에 너무 압도되어 있을 때 충분히 조급해 질 수 있음을 인정하고 수용 준다. 동시에 상담 장면이 아닌 다른 상황에서도 문제를 빨리 해결해야 한다는 당위적 신념이 있는지 탐색해 본다. 만약 그렇다면 이번 기회에 좀 더 새로운 방식으로 조급한 패턴에 접근해 볼 것을 제안한다.
<예시>
“하루 빨리 이 문제가 해결되기를 바라시는군요. 그런 생각을 할 때의 조급함이 혹시 ○○씨한테 익숙한 감정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상담에서도 ○○씨한테 익숙한 방식으로만 접근하는 것보다는 이번에는 좀 다르게 천천히 문제를 살펴보면서, 이 조급함이 어디서부터 왔는지 이해해 보는 게 어떨까요?”
(2) 상담에 대한 마술적 기대
상담에 대한 마술적 기대 심리를 일단 수용해 준다. 하지만 이는 대체로 상담에 대한 구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생기는 문제일 수 있으므로 상담에서 내담자의 역할이 무엇이고, 그것이 왜 중요한지 다시 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예시>
“많은 분들이 상담자에 대해 마치 뭐든지 아는 점쟁이 같은 존재로 생각하고 계십니다. 만약 그렇다면 ○○씨는 문제가 생길 때마다 상담실을 찾아오셔야 하는 상태가 됩니다. 상담은 그렇게 주술적인 힘을 발휘하는 것이 아니고, ○○씨 스스로가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힘을 기르도록 돕는 작업입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1.09.03
  • 저작시기202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50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