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의이해 1학년] 주변의 다양한 사람들의 특정 대중문화에 대한 소비의 사례를 들고 이들이 이 대중문화의 소비를 통해 표현하는 욕망과 정체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문화의이해 1학년] 주변의 다양한 사람들의 특정 대중문화에 대한 소비의 사례를 들고 이들이 이 대중문화의 소비를 통해 표현하는 욕망과 정체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화소비의 개념

2. 문화소비의 유형

3. 대중문화에 대한 소비 실태

4. 대중문화에 대한 소비의 사례
1) 방탄소년단의 등장과 활동 전개
2) 아미(A.R.M.Y.)
3) 심미적 감동
4) 대중문화에 대한 소비의 사례 - 아미의 소비활동
(1) 아미백서 프로젝트
(2) 웨이보는 기사 삭제
(3) 기부
(4) 자체 정화 운동
(5) 가치소비

5. 대중문화의 소비를 통해 표현하는 욕망과 정체성
1) 감동
2) 충성행동
3) 스타 동일시
4) 심리적 행복감
5) 허구적 연애감정
6) 소비자를 넘어 협력자로

6.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미는 단순한 팬이 아닌 협력자로서의 면모도 드러냈다. 다국적 아미들이 만든 새로운 문화는 팬덤이 스타의 협력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기존의 팬과 가수는 수직적인 관계였고 일방향적인 소통을 했던 것에 반해 방탄소년단과 아미는 수평적 관계로 SNS을 통해 쌍방향의 소통을 하였다. 이로 인해 팬들의 의견이 적극으로 반영되었다. 오늘날 팬은 아티스트와 진정한 협력자 관계가 될 수 있다. 더 이상 수동적인 수용자가 아니고 가수와 수평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다. 특히나 방탄소년단과 아미는 서로 특별한 영향을 주고받는 존재가 되었다. 방탄소년단과 아미는 일방향적이고 위계적인 모습이 아니라 권위주위가 변용된 모습으로 상호 소통을 한다.
아미가 협력자로서의 면모를 드러낸 대표적인 사건은 ‘아미백서 프로젝트’이다. 방탄소년단이 일본 우익 매체에게 공격을 받자 이에 대응해 다국적 아미들이 함께 만든 ‘백서프로젝트이다. 2018년 11월 방탄소년단의 한 멤버가 비공식석상에서 팬이 선물로 준 이 티셔츠를 입은 모습은 약 2초가량 다큐멘터리 영상에 나왔다. 그 티셔츠 뒷면의 원폭 이미지가 국제적으로 문제가 되어 일본 음악 방송 출연이 취소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6. 나의 의견
누군가에게 감동하여 푹 빠져본 경험이 있는가? 2018년 10월 국내에 개봉한 영화 는 실존 인물이었던 프레디 머큐리(Freddie Mercury, 1946~1991)의 삶과 그의 밴드 ‘퀸’을 통해 음악에의 감동이 대중들의 충성행동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퀸을 직접 경험했던 세대와 이들을 모르고 지냈던 젊은 세대 역시 영화를 통해 그 감동을 경험하고, 새롭게 그들의 팬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음악이나 미술에서 느껴지는 감동, 즉 심미적 감동은 대중들에게서 흔하게 논의되어 왔음에도, 경영학에서 논해지는 개념은 아니었다. 이는 실제 제품 및 서비스가 소비자에게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서 느껴지는 일이 매우 드물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한 소비자가 감동하여 팬이 되고, 충성행동을 보이는 데 있어 생산자와 소비자가 관계한 기간 혹은 소비자가 제품 및 서비스를 경험한 기간이 조절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다. 소비자가 제품 및 서비스를 경험하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점차 소비자의 몰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제품 및 서비스 과정에 대하여 소비자의 참여를 강화시킨다. 이를 통해 고객만족 혹은 고객감동이 형성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경험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인지 및 판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관계 기간에 따라 감동 정도와 고객충성행동 사이의 조절효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사실상 이러한 팬덤 현상은 보편적인 상업 제품 및 서비스에서 보다 대중문화 내 음악 산업의 소비자에게서 더욱 강하게 나타나며, 그 영향으로 대중문화 시장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 대중문화 층이 10대와 20대에게로 확대되면서 대량3소비가 시작되었고, 이를 위한 ‘상품’으로서의 아이돌 가수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나아가 1995년에는 H.O.T의 데뷔를 계기로 본격적인 기획형 아이돌 산업이 도입되면서 국내에 ‘스타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고 대중문화 산업은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10~20대의 팬덤이 30~40대로 확대되면서, 보다 경제력을 갖춘 팬덤이 형성되면서 그 규모가 더욱 커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팬들이 보이는 충성행동으로는 좋아하는 스타의 제품 및 서비스 구매, 팬클럽 가입, 팬미팅 및 콘서트 참여 등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행동을 보인다. 국내 대중음악 소비 고객에게서는 더욱 강하게 그 충성행동이 나타나는데, 그 예로 스타의 한정판 굿즈(goods)를 사고자 5천 여명의 팬이 24시간 노숙을 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최근의 팬들은 아이돌을 따르기만 하는 것이 아닌 직접 ‘육성’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기도 하였다.
한편, 소수의 아이돌들이 자신들이 보여주고 싶은 노래 및 춤, 영상을 직접 창작하기 시작했고, 이러한 아이돌은 소속사에 의해 기획된 제품 및 서비스로서가 아닌 예술가 혹은 뮤지션이라 볼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주변의 다양한 사람들의 특정 대중문화에 대한 소비의 사례를 들고 이들이 이 대중문화의 소비를 통해 표현하는 욕망과 정체성은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감동의 기반은 욕구충족이론에서 출발하며, 고객의 고차원적 욕망을 충족시킬 때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먼저 욕구충족이론을 살펴보면, 매슬로우 등이 인간의 심리적 욕구가 위계 구조를 가진다고 주장했으며, 이 때 위계가 낮은 저차원 욕구는 대상들 사이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교환이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측면과 관련 있는 것이고, 보다 고차원 욕구는 대상들 사이의 교환이 감정적인 측면과 관련되는 것이라 밝혔다. 이러한 욕구충족이론을 기반으로, 고객감동은 ‘고차원 욕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는 고객들의 감동이 일어날 때 반드시 감정적인 측면과 연관되기 때문이다. 또한 고객에게서 충성도를 발현시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가 고차원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라는 점에서, 고차원 욕구인 고객감동을 만족시켰을 때 고객 충성도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 역시 주장되었다.
참고문헌
구자형. (2018). BTS 어서와 방탄은 처음이지. 빛기둥.
서일호, 조혜덕. (2019). 스타와 팬. 커뮤니케이션북스.
김형호 (2012), 「팬덤의 개념과 선행연구 검토」,정보문화포럼 제6회, 세미나 자료.
강복, 손승혜 (2018). 중국팬들의 한국과 중국 아이돌 그룹 팬덤 구성과 활동방식비교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이기상, & 박범준 (2016). 『소통과 공감의 문화콘텐츠학』.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서일호,(2017). 스타 속성이 스타와 팬커뮤니티 동일시와 팬 자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방탄소년단을 중심으로.
김문정. (2018). 방탄소년단의 미국 시장 진출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석사 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김은정. (2020). 뉴미디어 시대의 팬덤과 문화매개자: 방탄소년단(BTS)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가격6,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22.03.22
  • 저작시기202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53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