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청소년기에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
(2)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의 성취를 위한 주변의 도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청소년기에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
(2)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의 성취를 위한 주변의 도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제가 따르는 유형 보다는, 행동과 사고를 스스로 유도해 낼 수 있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기본적인 방향이라 생각된다.
3. 결론
독일 출생의 미국 정신분석학자인 에릭슨(Erik Homburger Erikson 1902~1994)은 “생물학적으로 볼 때 청소년기는 신체적, 성적인 성숙이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기이며, 이러한 급격한 성적 성숙은 자아가 위협을 감지하는 정신분석적 원인을 제공한다”라고 하였다. 결국, 커다란 변화가 다양한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언급한 셈인데, 반대로 청소년기는 실로 여러 방면의 가능성이 제시되는 시간이기도 하며, 이러한 가능성에 청소년들은 자신을 찾으려 노력하고, 실제로 그 가능성을 탐구하며, 이를 통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얻는 시기이기도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들은 이 과정에 있어 내가 누구이고 이 사회에서 나는 어떠한 위치를 지키고 있는가에 대한 개념, 즉 자아 정체감(ego identity)을 점차 만들어 나가게 될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나는 청소년기의 발달과업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이 정체감의 형성이라고 생각한 것이며, 이러한 기본적 토대가 마련되어야, 다음 단계의 발달과업으로 넘어갈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청소년들이 이 시기를 통해, 더욱 올바른 가치관의 형성과 정확한 자신만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면 청년기 혹은 그 후에도 사회의 올바른 구성원이 되어 저마다 각자의 위치에서 공헌할 수 있을 것은 물론, 그 때문에 주변의 가족 학교, 그리고 사회의 도움이 필요한 것이다. 자아 정체감 형성은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질 때도 있지만, 모든 청소년이 이 시기를 인식하지 못하고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것은 아니고, 때때로 그들은 미래의 가능성에 압도당하고, 최종 결정을 내리지 못해 방황하기도 한다. 이렇게 자아 정체성 확립에 개입되지 못하고 자신을 스스로 찾기 위해 일종의 ‘타임아웃’ 시기를 가지는 것을 심리적 유예기(psychosocial moratorium)라고 하는데, 유예기 동안의 청소년은 다양한 맥락에서 자신의 위치를 시험해 보며, 이러한 청소년의 매우 변덕스러운 행동들 역시도 유예기를 통해 자신의 설 곳을 찾고자 하는 능동적인 노력이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체성이 확립되어가는 모든 일련의 과정들이 필요한 것이고(자아 형성이 되던 방황을 하던), 그런 관점에서 자아 정체감의 확립은 이 시기에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춘경 외 4인 상담학 사전 2016. 학지사.
김근영(서강대학교 심리학과)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al theory](심리학 용어사전) 2014. 학지사.
김경희 『아동과 청소년의 이상심리학』 2007. 박문사.
최명구·김누리 『청소년의 이해』 2007. 학지사.
김선영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과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과의 상관관계』 2004. 연세대학교 대학원 논문.
박아청 『청소년과 아이덴티티』 2008. 교육 과학사.
서봉연 『자아 정체감 형성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1975.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재희 『고등학생들의 멘토링(Mentoring) 경험과 자아 정체감의 관계』 2001. 충북대학교 대학원 논문.
한상철 『청소년학, 청소년 이해와 지도』 2005. 학지사.
정태기 『위기와 상담』 1998. 예영 커뮤니케이션.
(Erik Homburger Erikson) 『교육학 용어사전』 1995.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두산백과 발달과업 [developmental task, 發達課業] http://www.doopedia.co.kr
3. 결론
독일 출생의 미국 정신분석학자인 에릭슨(Erik Homburger Erikson 1902~1994)은 “생물학적으로 볼 때 청소년기는 신체적, 성적인 성숙이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기이며, 이러한 급격한 성적 성숙은 자아가 위협을 감지하는 정신분석적 원인을 제공한다”라고 하였다. 결국, 커다란 변화가 다양한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언급한 셈인데, 반대로 청소년기는 실로 여러 방면의 가능성이 제시되는 시간이기도 하며, 이러한 가능성에 청소년들은 자신을 찾으려 노력하고, 실제로 그 가능성을 탐구하며, 이를 통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얻는 시기이기도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들은 이 과정에 있어 내가 누구이고 이 사회에서 나는 어떠한 위치를 지키고 있는가에 대한 개념, 즉 자아 정체감(ego identity)을 점차 만들어 나가게 될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나는 청소년기의 발달과업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이 정체감의 형성이라고 생각한 것이며, 이러한 기본적 토대가 마련되어야, 다음 단계의 발달과업으로 넘어갈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청소년들이 이 시기를 통해, 더욱 올바른 가치관의 형성과 정확한 자신만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면 청년기 혹은 그 후에도 사회의 올바른 구성원이 되어 저마다 각자의 위치에서 공헌할 수 있을 것은 물론, 그 때문에 주변의 가족 학교, 그리고 사회의 도움이 필요한 것이다. 자아 정체감 형성은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질 때도 있지만, 모든 청소년이 이 시기를 인식하지 못하고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것은 아니고, 때때로 그들은 미래의 가능성에 압도당하고, 최종 결정을 내리지 못해 방황하기도 한다. 이렇게 자아 정체성 확립에 개입되지 못하고 자신을 스스로 찾기 위해 일종의 ‘타임아웃’ 시기를 가지는 것을 심리적 유예기(psychosocial moratorium)라고 하는데, 유예기 동안의 청소년은 다양한 맥락에서 자신의 위치를 시험해 보며, 이러한 청소년의 매우 변덕스러운 행동들 역시도 유예기를 통해 자신의 설 곳을 찾고자 하는 능동적인 노력이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체성이 확립되어가는 모든 일련의 과정들이 필요한 것이고(자아 형성이 되던 방황을 하던), 그런 관점에서 자아 정체감의 확립은 이 시기에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춘경 외 4인 상담학 사전 2016. 학지사.
김근영(서강대학교 심리학과)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al theory](심리학 용어사전) 2014. 학지사.
김경희 『아동과 청소년의 이상심리학』 2007. 박문사.
최명구·김누리 『청소년의 이해』 2007. 학지사.
김선영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과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과의 상관관계』 2004. 연세대학교 대학원 논문.
박아청 『청소년과 아이덴티티』 2008. 교육 과학사.
서봉연 『자아 정체감 형성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1975.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재희 『고등학생들의 멘토링(Mentoring) 경험과 자아 정체감의 관계』 2001. 충북대학교 대학원 논문.
한상철 『청소년학, 청소년 이해와 지도』 2005. 학지사.
정태기 『위기와 상담』 1998. 예영 커뮤니케이션.
(Erik Homburger Erikson) 『교육학 용어사전』 1995.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두산백과 발달과업 [developmental task, 發達課業] http://www.doopedia.co.kr
추천자료
청소년심리3공통) 청소년의 발달과업과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에 대한 고찰과 시사점
[청소년 심리 공통] 1. 청소년들의 자살이 성인기에 발생하는 자살과의 차이, 자살예방을 위...
[청소년심리 (청소년 교육과)] 1.청소년 자살이 성인기 자살과 차이가 있는지 설명, 자살예방...
청소년靑少年심리2공통)1. 청소년기의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한 가...
방통대 청소년심리 중간과제 발달과업,원조방안
(청소년심리)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하여 가정이나 학교에서 도울 수 있는 방법, ...
청소년심리2공통) 청소년기의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은 무엇이라고 생각청소년심리2하는지 한 ...
[2022 청소년심리] (1) 청소년기의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한 가지를...
[2022 청소년심리 2공통] 1. 청소년기의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한 ...
(청소년심리, 공통) (1) 청소년기의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한 가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