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아동의심리측정평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장애』의 사회심리학적 정의

Ⅱ. 사회와『장애』와의 관계

Ⅲ. 사회적 역할과 기대

Ⅳ. 자아개념과 행동

Ⅴ. 장애에 대한 반응

Ⅵ. 장애의 판정과 관리

Ⅶ. 요약과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⑤Katz(1976)는 신체장애를 가진 어른이 아동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또 종족(백인, 흑인)에 대한 아동들의 반응을 측정했다.
그 결과 어른이 신체장애자이냐 아니냐 하는 것은 그다지 색다른 반응을 나타내지 않고 있으나 어른이 백인인 경우에 아동들이 좀 더 가까이 따르고 흑인인 경우에는 비교적 간격이 멀다는 것을 밝혔다.
Ⅵ.障碍의 判定과 管理
공식적인 판정과 관리를 다루는 기관들은 병원, 경찰서, 교도소, 법원 또는 공립학교 등을 말한다 하겠다.
①Freidson (1965)은 이러한 공공기관들은 주로 다음의 4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첫째로 개인적 특성을 어떻게 정의 할 까를 구체화하고, 둘째로 구체적 정의에 해당되는 사람들을 판별해 내고 셋째로 이러한 개인들을 어떠한 수용소나 다른 곳에 배치하고 넷째로는 그들의 행동을 수정하여 소위 재활을 시키고자 노력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면 어떠한 이유 때문에 차이점이 생기는가?
첫째로 어떤 규칙(법률)이 모든 계급의 대중에게 적용이 될 수 있는 것이라도 중류계급의 사람들과 하류계급의 사람들을 비교해 볼 때 그 법을 지키지 않는 비율이 다를 수도 있다.
둘째로는 어떤 탈선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 어떤 때는 기록에 남고 어떤 때는 기록에 남지 않는 수가 있기 때문에 실제적인 빈도를 알기 어렵다.
셋째로 법이나 사회의 규칙은 반드시 모든 사회 계급의 사람을 대표하는 집단의 사람들에 의해서 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중류계급의 사람들이 모여서 제정한 규칙이라면 하류계급의 사람들에게는 부당한 규칙일 수도 있다.
넷째로 대부분의 경우 규칙은 한 그룹의 사람들이 다른 그룹의 사람들을 단속하기 위해서 제정된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制裁規約은 다만 한 집단이나 계층의 사람들에게만 부여되는 수가 있다.
①Dunn(1968, 미국)의 논문에서 교육가능 정신지체아들을 위한 특수교실에는 흑인아동들과 하류층 아동들의 숫자가 백인 아동의 숫자보다 압도적으로 많았었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해 보면
백인보다 휠씬 더 많은 숫자의 흑인들이 정신지체이다.
현재 쓰이고 잇는 지능검사는 흑인 아동들을 상대로 한 것이 아니라 백인 아동들의 지능을 검사하기에 적합하다.
백인 입법자나 학교의 요인들은 흑인 아동들의 IQ 점수가 낮다는 것을 알고 있음으로 IQ 테스트를 씀으로서 중류급 아동과 하류급 아동들과를 분리하기 위한 행동을 정상화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흑인 아동이나 백인 아동들이 숫자적으로는 똑같이 정신지체 일 수도 있으나 교사의 편견적인 언질이나 또 학생 자신의 시험 상황에 대한 반응의 차이 때문에 흑인 아동들이 백인 아동들보다 더 많이 배치되었을 수도 있다.
②Mercer(1965, 1973)의 조사 결과를 보면 정신지체아를 위한 특수 교실에는 하류층의 아동들이 훨씬 더 많고, 백인 아동들의 경우에는 인구에 비례하여 훨씬 적게 표면화 되었다고 한다. 또 "精薄兒"의 칭호를 듣게 되는 과정을 연구했는데, 처음에 아동들이 교사들에게서 위탁을 받을 때는 흑인이나 백인이나 숫자적으로 별 차이가 없으나 지능검사를 하고 난 다음에는 이러한 현상이 명백해 진다고 한다.
③Saenger(1957)에 의하면 유태인 가정은 카톨릭이나 기독교인들 가정보다 정박아동을 수용소에 배치하는 경향이 많고 대부분의 카톨릭교인들은 십중 팔구는 그 아이를 자기들 가정에서 키운다고 한다.
④Wolfensberger 의 주장처럼 몇 백 명씩 수용할 수 있는 큰 수용소들은 차츰 없애고, 작은 기숙사 같은 시설을 곳곳에 설치하는 것이 정상화를 주장하는 사람들의 이념이라 하겠다. 이러한 정상화의 운동은 장애의 종류나 정도 등에 관여치 않고 모든 장애아들도 가능한 한 정상아들과 같은 교실에서 공부하고 자랄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도록 하자는 " 메인 스트림 교육"의 이념이 바로 그것이다.
⑤Goldstein과 Moss 및 Jordan(1965)들은 특수교실에 배치된 교육 가능급 정신지체아들과 정규교실에 배치된 교육가능 자■ㅓ가신지체아들의 비교연구에서 그들의 학업성적과 사회 생활에의 기술습득의 정도를 4년간 비교한 결과 이 두 집단 아동들의 성적이나 기술습득의 정도에는 별 차이가 없음을 밝혔다.
Ⅶ.要約과 結論
장애는 사회적 현상 즉 사회가 조장해 내는 현상이다.
한 개인의 행동이나 신체적인 증세는 사회가, 다른 사람들이, 또는 자기 자신이 자기의 증상을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 또는 남과 다르다고 정의하고 명칭을 붙이는 한도 내에서만 장애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정의는 칭호를 붙이는 일, 다른 사람들의 반응, 그리고 특별한 치료방법 등을 포함하는 바, 이러한 모든 것은 한 개인의 무능력과 또는 매력이 없는 것임을 암시해 주는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사회적 정의의 결과는 특정한 행동과 환경을 조장하고 따라서 한 인간을 점점 더 정상적인 생활 궤도에서 멀어져 가게하며 결국은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이 사람이 정말로 장애자임을 철저히 믿도록 하는 데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사회가 장애를 조장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을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Bartel과 Guskin(1980)은 사회가 장애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암시하고 있다.
첫째로, 장애자나 무능력한 자들을 정상인들로부터 격리시키는 일은 최소한으로 줄이고,
둘째로, 진단과정이 성공적 치료방법에 까지 연결 될 수 없는 경우는 그 진단과정을 제거하고
셋째로, 한 치료방법이 성공적임을 증명 할 수 없으면 그 치료방법을 전적으로 피해야 할 것이다.
장애가 사회적 현상인 만큼 사회인들 모두를 교육시킴으로써 장애자의 행동과 느낌을 이해할 수 있고, 또 장애에 대해서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는 태도와 능력을 길러주는데 힘을 써야 되겠다.
[참고문헌]
.이 태영, 특수아동의 심리, 대구대학교 출판부 197.3.10
.한국정신지체아교육연구회 편, 특수아동의 교육·심리진단 이론과 실제 1993.7.22
.李星珍 朴性洙, 행동 수정의 사례집 교육과학사 1970. 5. 18
.金弘周, 龍云, 姜壽均 共著 특수교육학 개론 교육출판사1988. 1. 5
-끝-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1.06.18
  • 저작시기20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