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청 시대 신사의 역할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目 次

Ⅰ. 머리말

Ⅱ. 신사의 구성과 성격
1. 신사의 개념
2. 신사 진입과 구성
3. 신사의 특권

Ⅲ. 신사의 정치적 역할
1. 명·청 시대 국가권력과 신사
2. 신사의 정치적 역할

Ⅳ. 사회·경제적 역할
1. 공공사업 부문
2. 향촌 질서유지 기능(교화)
3. 조세 징수 부문
4. 기타 활동

Ⅴ. 문화적인 역할
1. 편찬 사업과 학술 발전에의 기여
2. 지역 문화에서의 역할
3. 인쇄 기술에의 공헌
4. 예술 분야

Ⅵ. 맺음말

본문내용

고 지역을 위해 다양한 일을 하였으며 知縣과 주민들 사이에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지역 대변자로서 강력한 여론의 지지를 기반으로, 지방관에 대항하는 사변을 일으키기도 했다. 또한 그들은 중앙의 전제정치를 비판, 견제하기 위해 東林·復社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위기 상황 속에서 중앙 정부와 지방 관부의 힘과 효율성이 떨어질 때, 그 기능과 힘을 대신하여 自衛집단을 조직해 지역적 항거를 주도하기도 하였다. 사회경제적인 면에서, 신사들은 도로 개설, 도장 건설, 교량 수축, 의전·학전 마련, 의창의 설치, 광범한 규휼사업의 전개, 장량에의 협조, 지역 방위를 위한 재원 염출 등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이익 보호와 복지 증진을 위한 적극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신사는 향촌에서의 조세 징수 역할의 일부를 담당하며 징세 활동을 침범하기도 했으며, 지방민의 교화와 향촌질서 유지를 위한 향약, 보갑제의 시행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신사의 역할은 공적으로는 관부와의 관계를 돈독히 함과 동시에 향촌 사회에 대하여 자신의 존재를 확인시켜 영향력을 유지 확대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활동은 사적으로 개인의 이익을 보호하는 동시에 따로이 평소의 사리추구 행동(토지겸병, 고리대, 武斷鄕曲)을 어느 정도 합리화 할 수 있었다. 또한 신사는 지식인 계층으로서 明淸時代의 문화를 주도하였다. 신사는 당대에 행해진 일련의 대 편찬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당시까지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정리하였으며 주자학으로 일관된 사상 체계에 도전하여 양명학과 고증학을 전개해 학술 발전에 기여하였다. 또한 신사는 향촌에서 지역문화를 보호하고 지원하였다. 그들은 지역의 역사인 지방지를 편찬하였으며 향촌의 교육 발전에 관심을 가졌다. 또한 자신들이 신봉하는 유교적 덕목을 몸소 체현함으로써 향촌의 도덕을 이끌어 나갔다. 한편 신사는 인쇄 기술에도 관심을 보여, 인쇄 사업과 출판 사업을 주도함으로써 문화와 학술이 평민에게까지 확대되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다. 그들은 예술을 창조하는 예술가였으며 문학과 미술을 통해 자신의 사상과 사회에 대한 감성을 표현하였다.
이상 明淸時代 제 분야에 걸친 신사의 역할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신사들이 사회적으로 부각된 시기가 명말 청초였다는 점을 감안할 때, 왕조 교체로 인한 신사의 성격 변화를 고찰해 볼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明에서 淸으로의 왕조 교체가 신사의 본질적인 역할과 활동 내용에 변화를 주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신사의 역할은 단편적인 것이기는 하나, 시기와 지역에 따라 경제 발전의 선후 차이가 있었고 , 또 사회 변화에도 질적인 차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향촌에서의 신사의 역할은 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서 비슷한 시기부터 비슷한 양상으로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결국, 淸朝의 신사도 明代의 존재 형태를 유지하면서 정부와 民의 중간적 위치에서 향촌 질서의 유지와 장기적인 사회 안정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신사의 움직임은 훗날 중국의 근·현대사에 있어서 태평천국운동을 진압하면서 등장하는 상군과 회군을 바탕으로 한 양무와 변법의 주축세력들을 이루었으며 이는 문화운동을 거치며 등장하는 시대적 흐름속에서 큰 영향력을 가진 세력으로 등장하였다.
<참고 문헌>
1. 단행본
谷口規矩雄.『아시아 역사와 문화 4』.鄭誠一(역) 서울: 신서원(1997).
金學主, 丁範鎭.『중국문학사』. 서울: 동화출판공사 (1983).
마이클 설리반.『중국미술사』. 서울: 지식산업사(1978).
민두기.『중국근대사연구』. 서울: 일조각(1973).
서울대학교 동양사학연구실 엮음『강좌중국사Ⅳ』(1996).
송정수.『淸 康熙조의 향촌 사회와 향촌 지배 연구』. 서울: 혜안(1996).
吳金成.『中國近世社會經濟史硏究』. 서울: 일조각(1986).
장중례.『中國의 紳士』金漢植 외 공역. 서울: 신서원(1993).
정진연.『中國哲學史』.서울: 을유문화사(1986).
卓用國.『中國史學史大要』. 서울: 탐구당(1996).
하병체.『中國 科擧制度의 社會史的 연구』.조영록 등 공역.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1987).
2. 논문 자료
남성훈,「紳士의 정치적 기능에 대한 황종희와 고염무의 견해」.『龍鳳論叢』13(1983).
朴元 , 明末·淸初의 민중반란.『명말·청초의 사회조명』서울: 한울아카데미(1990)
송정수, 明淸시대 鄕約의 성립과 그 推移. 『경상사학』창간호(1985).
_____, 淸 입관초 鄕村사회와 鄕村지배 연구 『동양사학연구』49(1996).
吳金成. 明朝 전기의 生員정책에 대하여- 士人층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역사교육』10(1967).
_____, 日本에 있어서 中國 明淸시대 紳士層硏究에 대하여.『동아문화』15.(1978)
_____, 明代 紳士층의 사회이동에 대하여. 『성곡논총』13(1982).
_____, 明代 파양호 주변의 수리개발과 紳士. 『변태섭박사회갑기념사학논총』. 서울: 상영사(1985) .
_____, 明代 양자강 중류 3省지역의 사회변화와 紳士. 『대구사학』 30(1986).
_____, 明代 紳士층의 연구 . 서울대 대학원 동양사학과 박사학위논문(1986).
_____, 明·淸時代의 國家權力과 紳士.『강좌중국사4』, 서울: 지식산업사(1989).
_____, 중국의 과거제와 그 정치·사회적 기능. 『과거』, 서울: 일조각(1989).
_____, 順治친정기 淸朝권력과 강남신사. 『역사학보』122(1989).
_____. 淸朝 권력의 지방 침투 과정- 明末淸初의 강성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동양사학연구』16(1991).
전순동. 明代 유학 교관의 과거 응시자격에 대하여. 『호서사학』11(1983).
조병한. 淸 중기 팔기 과거제하의 사회심리와 제야적 士人文化의 형성.『부산사학』13(1987).
조영록. 明代 과도관체계의 형성과 정치적 기능에 관한 연구 . 서울대 대학원 동양사학과 박사학위 논문(1987).
_____. 明末·淸初의 동림복사운동.『명말·청초의사회조명』.서울: 한울아카데미(1990).
정병철. 明末·淸朝화북에서의 自衛활동 과 紳士- 산동, 북직예를 중심으로.『동양사학연구 제43집(1993)
  • 가격3,3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1.12.31
  • 저작시기20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8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