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내용의 시사문제 토론하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몸말

3. 나오며

본문내용

북한의 대남인식에 매우 가까운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② 만약 그의 사상이 위에서 이야기한 것과 같다면 그는 위원장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
③ 언론이 공인의 사상을 검증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한겨레, 최장집 교수의 입장
1. 반론 내용
①에 대한 반론 : 전쟁의 첫 시기의 성격을 지은이는 '내전'으로 보고 있다. 96년에 나온 '한국 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이라는 책에서는 "전쟁을 유발한 북한 지도부가 기본적으로 믿었던 바 '민족해방전쟁'" 이라고 그 의미를 명확히 함으로써, 저자가 6,25를 민족해방전쟁으로 보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②에 대한 반론 : 바로 그 뒷문장에서 그 같은 '역사적 결단'이 오판에 불과한 사실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역사적 결정'이라는 표현은 김일성의 전쟁결정을 미화한 것이 아니다.
③에 대한 반론 : 대조적 표현을 통해 김일성이 최대의 수혜자였음을 강조하기 위한 표현이다. 헌국 전쟁의 최대 피해자는 남,북한의 민중이며 최대의 수혜자는 김일성 일파와 이승만 세력이었음을 분명히 밝혔다.
④에 대한 반론 : 필자의 글에서 '혁명'이라는 의미는 사회질서의 구조적이고 총체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개관적인 사회과학 용어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있다. 또한 역사 연구가들에게 있어서 당시의 표현을 쓰는 것은 보편적 현상이다.
⑤에 대한 반론 : 최교수의 저서에 월간조선이 그토록 강조하고 있는 '북진은 가공할 사태'라는 표현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필자는 어디에서고 중공군의 개입을 변호한 바가 없다. 정부 수립 후 갓 1년 밖에 지나지 않았던 중국이 자국의 혁명을 방어하지 않으면 안되었던 대내적 상황을 객관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이다.
2. 주장
① 월간조선은 저자에게 논문의 왜곡, 편집을 통해 김일성주의자나 친북주의자의 혐의를 씌우고 있다.
② 월간조선의 이러한 행위는 자유민주주의의 기본원리인 학문의 자유를 정면으로 침해하는 행위이다.
③ 사상의 자유은 인정되어야 한다.
우리 모둠원들의 입장 : 모두 한겨레의 입장에 동조
근거 ① : 월간조선의 짜집기 편집으로 인해 글이 왜곡됐다.
→ 원래의 논문에 나와 있는 최장집 교수의 북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사라졌다.
근거 ② : 월간조선의 해석은 논리의 비약과 혼동에 기초한 것이다.
근거 ③ : 부정확한 인용이 한결같이 최교수의 연구를 친북논리에 연결시키는데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수세력의 결집이라는 불순한 정치적 의도를 느낄 수 있다.
근거 ④ : 최장집 교수의 논문은 한국전쟁의 비극적 결과 뿐만 아니라 그 결과로 이끈 북한 정권의 전쟁결정에 대해 지극히 엄중한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런 논문의 전체 내용은 헤아리지 않고 사상검증 운운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개인보고서>
1. 논문자체는 문제가 있었는가?
①나의 생각에는 논문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 월간 조선과 일부학자들은 최장집 교수를 수정주의 학자로 몰아 붙이고 있지만, 최교수가 주장한 내용은 조선일보의 오독과 오보, 왜곡, 흑백논리 등에 의해서 훼손되어진 것 같다.
대표적인 예로 최장집 교수가 6,25 전쟁을 역사적 결단이라고 표현한 것을 조선일보가 문제삼고 있는데, 이는 한국전쟁에 대한 전통적인 논의가 한국전쟁의 발단의 책임을 둘러싼 것이었음을 생각한다면, 그것을 김일성의 책임으로 파악한 최교수의 결론은 이 주제에 대한 전통적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나 다름없다. 그러나 최교수가 오해를 불러 일으키기 않도록 용어의 선택에 세심한 신경을 썼다면 이런 일은 없었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1학년 5반 조창진)
②있었다. 우선 최교수는 일반인들이 읽었을 때 애매모호하게 이해될 수도 있는 용어를 사용함으로 인해 여러 문제들을 불러일으켰다. 예를 들어 '역사적 결단'이나 '민족해방전쟁'등의 용어사용은 학계에서는 최장집 교수가 말하는 대로 받아들여질지 모르지만 일반사람들에게는 그렇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1학년 8반 유준우)
2. 언론이 공인의 사상을 검증하는 것은 정당한 것인가?
①자유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우리나라에서 최장집 위원장이 어떤 식의 글을 썼건 그것은 기본적인 사상 표현의 자유이므로 침해받아서는 안된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이 말은 최장집 위원장은 이미 공인이라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는 말이다. 그가 현재 교수의 신분으로서 좌파성향의 논문을 발표했다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을 것인데, 지금 최교수는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공인의 신분이고, 그 순간부터 그의 사상과 행동은 언론과 국민의 검증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클린턴이 평범한 시민이었다면 그의 여성편력이 전혀 문제되지 않았겠지만, 그가 공인으로서 거짓말을 했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언론이 객관성을 잃고 공인을 검증했다면, 이러한 검증 또한 문제가 된다고 보아야 한다.(1학년 5반 정지용)

3. 사상의 자유는 인정되어야 하는가?
사상의 자유는 충분히 인정되어야 한다. 현대사회는 인간의 존엄성을 그 으뜸으로 삼고 있다. 여기서 인간을 존중한다는 것은 그 사람의 성격이나 사상, 생활방식 등을 이해하고 인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사상의 자유가 침해되는 일이 언론사나 정치권에서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의 색깔논쟁은 조야한 정치적 행위로서 매 정권 교체기나 큰 일이 있을 때마다 계속되어져 왔다. 사실 이런 일들이 우리나라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미국의 경우에도 정치계에 용공분자가 있다는 얘기가 퍼지자 공산주의자 색출작업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무고한 많은 사람들이 모함을 받아 나라에서 추방되는 일이 생겼다. 찰리 채플린도 이런 경우에 해당된다. 당시 정부에 대해 도전적인 활동을 해온 그는 끝내 정부의 눈에 거슬려 추방당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 후 미국사회는 많은 비판과 반성 속에서 메카시즘의 해악을 깨닫고, 사상의 자유를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언론의 지나친 검열과 참견은 사회발전의 근간이 되는 진정한 사상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다. 학문은 학문 그 자체로서 받아들여져야 한다. 보수와 진보의 긴장관계 속에서 사회는 발전한다는 점을 언론은 명심해야 할 것이다.(1학년 5반 이윤세)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4.27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34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