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정권 시대의 노동체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머리말 : 본고의 과제와 문제의식

II. 1960년대의 노동정책 : 단결법인정책의 유지

III. 1970년대의 노동정책 : 단결부인의 노동정책

IV. 한국노총체제하의 노동조합의 조직과 기능

V. 1970년대의 노사관계 : 강권적인 통합과 기업내 노사협의제

VI. 맺음말

본문내용

1989)이나 유종일(1998), '권위주의적 온정주의')의 견해에 대해 회의적이다. 隅谷三喜男(1983),pp.246-250 참조. 다만 隅谷의 '주종적 노사관계'라는 파악도 '국민국가'적 세례를 받은 경험이 있는 한국 노동자의 역사적 규정성을 고려하지 않은 점에서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노동자(특히 생산직)들은 기업(가족)의 구성원에서도 배제되었던 것이다. 1987년의 민주화과정에서 폭발한 노동쟁의는 바로 이러한 체제에 대한 중대한 이의 제기였다. 강권적인 "노사협조주의"의 파탄이었다. 그들은 이미 '국민국가'적 세례를 받은 경험이 있고, 학력수준 또한 매우 높은 수준에 이른 존재였다.
<참고 문헌>
김금수(1986), 『한국 노동문제의 상황과 인식』, 풀빛.
김삼수(1998), 「한국의 1997년 개정 노동법: 문제점과 정책과제」, 한국노동경제학회,『노동경제논집』, 제21권 제2호.
김삼수(1999a),「1960년대 한국의 노동정책과 노사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1960년대 한국의 공업화와 경제구조』,백산서당.
김삼수(1999b), 「한국 자동차산업의 노사관계」, 한국노사관계학회, 『산업관계연구』,제9권.
김수곤(1983), 「노사관계의 현황과 제도개선방안」, 김수곤 편(1983),수록.
김수곤 편(1983), 『노사관계 정책과제와 방향-현행제도 개선을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원.
김준(1993), "아시아 권위주의 국가의 노동정치와 노동운동 : 한국과 대만의 비교.",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김준(1999),「5·16 이후 노동조합의 재편과 '한구노총체제'의 성립」, 한국사회사학회,『사회와 역사』, 제55집.
김형기(1988), 『한국의 독점자본과 임노동』, 까치.
김호기(1999), 「1970년대 후반기의 사회구조와 사회정책의 변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70년대 후반기의 정치사회변동』, 백산서당.
동일방직복직투쟁위원회 엮음(1985), 『동일방직 노동조합 운동사』, 돌베개.
박영기(1983),「한국노동운동의 현황과 개선방안」, 김수곤 편(1983) 수록.
배무기(1991),「한국경제의 전환점」, 배무기,『한국의 노사관계와 고용』, 경문사.(원논문은 1982년)
송호근(1991),『한국의 노동정치와 시장』,나남.
송호근(2000), 「박정희 정권의 국가와 노동」, 한국사회사학회, 『사회와 역사』, 제58집.
신인령(1985), 『노동기본권 연구』. 미래사.
양병무 외(1992), 『한국기업의 임금관리』, 한국경영자총협회.
유종일,1997, 「박정희시대 노동정책의 평가와 노사관계의 개혁방향」, 한국경제발전학회, 『경제발전연구』, 제3권,
유종일, 1998, 「노사관계변화의 정치경제학」, 이병천·김균 편, 『위기, 그리고 대전환』, 당대
이주호(1996), 『고용대책과 인적자원개발-제도적 접근-』, 한국개발연구원.
정동우·변영욱(공편), 『노동법령 예규 총람』(홍문관, 1980년판, 1983년판)
조승혁(1984), 한국공업화와 노동운동, 풀빛.
최장집(1988),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 열음사.
한국기독교회협의회 편(1984), 『1970년대 노동현장과 증언』, 풀빛.
한국노동조합총연맹(1979), 한국노동조합운동사, 한국노총.
한국노동조합총연맹(1981), 『1980 사업보고』, 한국노총.
한국전력주식회사(1981), 『한국전력 이십년사(하)』.
한국법제연구원, 『대한민국 법률 연혁집 28』, 1994.
한국산업사회연구회 편(1994), 『산별노조론』, 미래사.
金三洙(1993),『韓國資本主義國家の成立過程』, 東京大學出版會.
荻原進(1998),「韓國勞使關係の歷史的展開と現狀の基本問題」, 法政大學大原社會問題硏究所 編,『現代の韓國勞使關係』, 御茶の水書房.
淸水敏行(1987/1988), "朴正熙維新體制と勞動統制の展開(一)∼(二)", 北海道大學, 『北大法學』, 第36卷 第5·6號(1987), 第37卷 第4號(1988).
隅谷三喜男(1983),편집부 역, 『한국의 경제』(원저는 1976년)
橫田伸子(1998),「韓國の『都市下層』と勞 市場」,法政大學大原社會問題硏究所 編,『現代の韓國勞使關係』, 御茶の水書房.
Amsden A.(1989), Asia' Next Giant, Oxford University Press.(이근달 역, 『아시아의 다음 거인』, 1990, 시사영어사).
Hicks, J.R.(1963), The Theory of Wages, Macmillan.(內田忠壽 譯,『新版 賃金の理論』,東洋經濟新報社.
Kerr C., Dunlop J., Harbison F., Myers C.(1960), Industrialism and Industrial Man, Harvard University Press.
Macintyre, S. and Mitchell R.(1989), Foundations of Arbit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표 1> 국가보위체제하에서의 행정관청에 의한 단체교섭 調整決定 내역
(단위: 건, %)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합계
(72-81년)
합계
(76-81년)
총조정건수
452
566
942
1,139
1,448
2,042
2,131
2,149
2,216
2,216
15,301
12,202
노사합의
401
561
883
1,092
958
1,306
1,488
1,607
1,596
1,838
11,730
8,793
調整合意
-
-
-
-
423
573
544
472
479
356
2,847
2,847
職權調停
51
5
59
47
67
163
99
70
141
22
724
562
노사합의율
88.7
99.1
93.7
95.9
66.2
64.0
69.8
74.8
72.0
82.9
76.7
72.1
조정합의율
-
-
-
-
29.2
28.0
25.6
21.9
21.6
16.1
18.6
23.3
직권조정율
11.3
0.9
6.3
4.1
4.6
8.0
4.6
3.3
6.4
1.0
4.7
4.6
자료 : 노동부 노정국의 내부자료. 김수곤 편(1983), pp.42, 145에서 재인용하여 작성.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0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