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통상관계의 현황과 과제 (통상정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韓·美 경제관계의 변천

3. 최근의 韓·美 통상현안

4.미래지향적인 한.미 경제관게의 구축

5. 우리의 대응과제

6.결어

7. 참고문헌


*한글2002로 작성 하였습니다.

본문내용

이들 나라의 기업들과 미국내 기업들이 이해관계로 밀접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기업과 업계간의 대화채널은 또한 상대국가의 정책, 제도, 관행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궁극적으로 통상마찰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미국과 의 대화채널을 의회, 언론계, 학계, 공익단체 등으로 확대시켜 나가야 하겠다. 미 의회는 미 국의 업계를 대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업계와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다. 현재 이러한 미국의 의회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화노력은 매우 부족하다고 하겠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우리 국회내에 구성되어 있는 한 미 의원 외교협의회의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으며 동 협의회의 효율적인 활동과 사업을 위해 국가차원의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 다. 한 미 의원 외교협의회(1996) 참 조. 미 의회에서 각종 통상관련 법안의 입안을 담당하는 의회 입법보좌관들과 상 하원의 무역관련 위원회의 전문위원들을 상대로 한 대화채널 구축과 홍보노력도 한층 더 강화되어야 하겠다.
VI. 結 語
한국과 미국은 지리적으로도 매우 떨어져 있을 뿐 아니라 문화적 역 사적으로도 별다른 관련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어느 두 나라보다도 더 가까운 관계 를 맺어 왔다. 이제 21세기에 펼쳐질 새로운 세계에서는 진정한 동반자로서 한국과 미국의 상호협력이 더욱 더 중요해 질 것이다. 양국간 무역 및 투자, 제3국 공동진출, 산업기술협력, 기업간 전략적 제휴, 공동기술개발 및 연구 등이 과거보다 훨씬 더 실질적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이 OECD에 가입한 만큼 양국간의 협력은 쌍무간의 직접적인 관심영 역을 넘어서 세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그 지평을 넓혀 나가야 할 것이다. 양국은 WTO 중심의 다자간체제의 강화와 함께 1990년대에 들어와 심화 고조되고 있는 지역주의 가 배타적으로 흐르지 않도록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은 세계경제에 놓여 있는 특유의 위상을 고려하여 WTO와 APEC 등에서 선진국들과 개도국간의 의견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한 미 양국은 동북아시아의 경제협력 증진에도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성장잠재력이 큰 동북 아시아 지역은 아직도 과거 전쟁이 가져다 준 상호불신으로부터 해방되지 못하고 있다. 한 국, 중국, 일본과 미국이 함께 참여하는 "동북아시아개발은행(가칭)"의 창설을 통 해 이 지역내 미래지향적인 경제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 다. 이는 궁극적으로 이 지역내에 평화와 안정을 정착시키는 데 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한 미 양국은 이제 관심사와 번영을 함께 나누는 진정한 동반자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하며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동시에 성공적으로 정 착시킨 한국의 기적을 세계로 확산시키는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 參 考 文 獻 >
권오규, 1994,『미국의 대외경제정책과 우리의 대응과제』: 경제기획 원.
김박수 김정수, 1994,『우리 경제의 국제화』, 정책자료 94-06 : 대외 경제정책연구원.
박태호, 1996, [WTO 체제 첫 1년의 평가와 향후과제], 오늘의 세계경 제 96-02 : 대외경제정책 연구원.
최인범, 1994, {한 미 통상현안 총점검}, 정책자료 94-30 : 대외경제 정책연구원.
한 미 의원 외교협의회, 1996, {방미 결과 보고서}.
황인정, {한국경제의 세계화 구상 -21세기 선진화 과제-}, 한국개발연 구원, 1994. 12.
Baldwin, Robert E., 1995, "U.S. Trade Policy under the WTO", :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Bark, Taeho, 1993, "The Korean Consumer Electronic Industry: Reactions to Antidumping Actions", in J. Michael Finger ed., Antidumping : How It Works and Who Gets Hurt, Ann Arbor :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Bayard, Thomas O. & Elliot, Kimberly Ann, 1994, Reciprocity and Retaliation in U.S. Trade Policy, Washington, D.C. :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Bhagwati, Jagdish, 1995, "U.S. Trade Policy: Infatuation with Free Trade Areas", Conference Paper, Washington, D.C. :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Business America, 1994, [The Big Emerging Market].
SaKong, Il, 1993, Korea in the World Economy, Washington, D.C. :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SaKong, Il & Bark, Taeho, 1997, "Korean-U.S. Economic Relations under the New Global Order", in Claude E. Barfield ed., The United States and East Asia : Trade and Investment Expansion, Washington, D.C. :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USTR, 1997, "Korea", in National Trade Estimate Report on Foreign Trade Barriers, Washington, D.C.
Williamson, John, 1989, "Exchange Rate Policy in Hong Kong, Korea, and Taiwan", Statement before the Subcommittee on International Trade, Committee on Finance : U.S. Senate.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9.26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2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