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신학과 기독교교육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설화신학에 대하여
1. 설화신학이란
2. 설화신학의 신학적 배경
3. 설화신학의 기초
4. 설화신학의 내용
5. 설화신학의 요소
6. 설화신학자들의 이론
7. 설화신학에 대한 평가

Ⅲ. 설화신학이 기독교교육에 주는 통찰
1. 기독교교육을 위한 설화신학의 중요성
2. 교육에 관한 실천적 이해 속에서의 설화의 형태
3. 설화신학의 기독교교육적 수용 - 파울러와 그룸을 중심으로

Ⅳ. 결론

본문내용

동시에 현재에서 미래를 비젼화하는 창조적 상상력을 요구한다.
나눔의 프락시스의 세번째는 "대화"이며 이는 기독교공동체를 세우는 일에 필수적 요소가 된다. 대화는 story와 vision안에서 개개인의 stories 와 visions들을 함께 나누는 행위이다. 네번째는 "스토리"이다. the story는 성서와 전통을 의미하며 이는 총체적인 신앙의 전통을 뜻한다. 여기에는 삶의 스타일·기록된 성경·경건·상징·의식·성례전·공동체 등을 포함한다. 역사와 공동체를 통하여 이룩하신 하나님의 구원의 얘기이다.
) 은준관, 기독교교육사 - "현대의 교육신학", 도서출판 교육목회, 1994, pp. 471.
기독교인들이 역사를 통해서 순례를 행할 때 하나님은 그들의 삶 속에서 행동해 오셨다. 순례자들은 하나님의 행동의 초대에 응답하고자 시도해 왔었다. 이런 순례자들과의 계약관계에서 특별한 역할들,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 삶의 양식들, 기록된 성경들, 해석들, 경견한 관습들, 성례전들, 상징들, 예전들, 축일들, 공동체적 구조들, 성구들, "거룩한 "장소들 등이 나타난다. 이런 모든 것들이 이야기의 영역이다, 기독교의 이야기라는 용어는 우리의 신앙전승이 지니는 이러한 모든 표현들을 위한 은유로 의도된다, 이 이야기라는 용어는 우리의 신앙 전승이 지니는 이러한 신앙전통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런 기독교의 이야기로부터 우리는 하나님의 은총에 의하여 우리의 기독교 신앙의 삶을 이끌어내며 그리고 그것을 다시 접근하기 쉬운 것으로 만듦으로 우리는 우리 자신을 위한 하나님의 구원의 행위들을 경험하게 된다
다섯번째는 "비젼"이다. 비젼은 하나님의 나라와 창조를 향하신 하나님의 비젼을 의미한다. story 와 vision 은 한 하나님 나라의 두 가지 면이다.
바로 이 다섯 가지의 나눔의 프락시스는 또 다시 교육적 프락시스에서 다섯 가지의 움직임을 통하여 실천된다. 현재적 행동은 "주제를 위한 활동을 적도록 초청하며" 비판적 성찰은 그들이 하는 일은 왜 하는지를 성찰하도록 초청하며, 교육자는 story와 vision을 소개하며, 참여자들은 story를 자기의 stories와의 변증법적 관계를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를 물으며 동시에 vision을 향하여 자신의 vision을 어떻게 신앙적으로 응답할 것인가를 선택하게 하는 흐름을 통하여 이어진다. 그룸에게 있어서 현재는 기독교 공동체의 이야기와 비젼에 의해 비판되어지는 반면 우리가 알고 있는 과거의 이야기를 비판하고 또한 이루어져야 할 비젼을 현재적인 빛에서 비판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미 있는 것, 현재의 경험되는 과정, 새로운 미래를 향한 움직임은 역사적인 교육의 실행 과정을 통해 볼 때 명백해진다. 곧 과거, 현재, 미래의 상관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현재의 해석학을 행한다는 것은 우리 현재안에 있는 과거 및 미래 모두를 위하여 현재를 바라보고 또한 현재로부터 바라보는 것을 요구한다. 그룸은 현재, 과거, 그리고 미래를 비평적으로 바라볼찌라도 우리는 우리 앞의 신앙 이야기와 그 신앙 이야기로부터 나오는 비젼을 바라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기독교적 상황하에서 현재에서 하나님을 파악하고 해석하려고 할 때, 인간의 과거의 이야기는 의식적으로 기억되어져야 하며, 미래의 비젼은 해석의 척도로서 의도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비젼은 현재에 대한 비판적인 존재로 서 있는 반면에 그것은 또한 하나님과 우리가 함께 창조하는 것이고 우리의 현재에 의해서 규정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성서의 이야기와 참여자들의 이야기들 사이에 변증법적 해석의 단계는 개인의 이야기들의 빛에서 이야기를 평가하고 과거의 이야기들의 빛에서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비판한다. 우리들의 이야기들을 위해 기독교 공동체의 이야기는 무슨 의미가 있는가? 우리 자신들의 이야기들과 함께 우리들의 삶에 이르게 하는 이야기를 수용하도록 한다. 참여자들의 이야기들은 공동체의 이야기에 응답함으로써 보다 큰 이야기의 전체적인 차원과 공명하게 되고 참여자는 기독교 신앙 공동체의 대화를 통하여 윤리적 결단이 가능해진다.
) 신유식, op. cit., pp.72.
그리고 그룸은 우리가 예배와 희생제사 속에서 야웨 앞에 우리 자신을 드릴 때 우리 자신 및 하나님의 양자 모두에게 하나님의 구원 행위들이 상기되게 해야한다 라고 하며, 성찬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의 개입을 회상하고 기억하는 것이며, 이런 구원의 사건의 이야기 경험은 우리 시대의 구원의 경험으로 이뤄질 것을 주장한다. 하나님의 말씀(행위)하심에 우리 인간의 응답을 표현하게 함으로 항상 아야기가 현재화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이다. 하나님은 그의 삶속에서 역사하시고 역사를 통해 기독교인은 순례의 길을 산다. 하나님의 행동과 초대에 응답해온 기독교 신앙 공동체의 경우 여러가지 의례 속에서 삶의 스타일을 부각시키는데 이러한 신앙 전승의 표현들은 기독교 공동체의 이야기의 뼈대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이야기로부터 하나님의 은혜에 의한 구속적인 사건을 경험하도록 한다. 우리의 이야기는 신앙적 그리스도와 역사적 그리스도를 결코 분리시키지 말아야하며, 역사적 사건에 근거하고 있고 역사적 현존 안에서 정점을 이루고 있다.
Ⅳ. 결론
70년대가 시작되면서 폭넓은 지지를 얻으며 새로운 접근법으로 등장한 설화신학은 우리가 살펴본대로 여러 가지 기독교교육에 통찰을 준다. 설화는 삶에 진실을 알려주기 때문에 인간의 상상력과 행동에 힘을 발휘하며 인간의 상상과 행위에 대한 설화의 능력은 기억할 수 있고, 움직이는 방법으로, 우리 자신과 사회와 우리의 세상을 우리에게 알려주는 그들의 능력이다. 기독교 신앙은 예수에 관한 이야기의 구성위에 하나님과 함께 그리고 서로서로 자기 자신의 이야기를 수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설화를 통해 삶의 이야기, 정경이야기, 그리고 공동체 이야기가 하나가 되며 그 속에서 우리의 비젼을 발견하고 모방이 아닌 행동하는 방법과 응용하는 방법을 알게되며 하나님의 초월성을 조금이나마 인식할 수 있게 된다.
21세기를 바라보면서 변화하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설화신학은 기독교교육에서 도움이 되는 방향 등을 시사해준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2.10.2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1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