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회사업제도화방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학교사회사업이란
1.개념정의
2.대상
3.목적
4.진로상담과 학교사회사업의 차이

Ⅱ.학교사회사업의 필요성

Ⅲ.제도화방향과 문제점
1. 제도화 과정의 현황
2. 문제점
3. 과제
4. 전략
5.실천방향
6.당면과제

본문내용

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학교사회사업이 우리 사회에서 실행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1996년 7월부터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는 학교사회사업 제도화방안 연구 프로젝트로서 서울대학교 사회복지 연구소와 함께 서울시 3개의 학교(영등포여상, 연북중, 광신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사회사업가 투입을 통한 시범학교 운영)하였다고 한다. 학교 운영자인 교장이나 교감들에게 있어 학교사회사업가란 아직까지 상담교사 정도로만 인식되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학교사회사업가들이 본연의 임무에 맡게 지역사회의 자원들을 끌어들여 청소년 문제를 좀더 근본적으로 풀어나가기보다는 단지 학교 한귀퉁이에 있는 상담실에서 책상에 앉아있기만을 더 원한다고 한다. 실제로 현재 자원봉사 형태로라도 학교사회사업가들이 학교내로 직접적으로 들어오는 것을 거부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학교사회사업가가 학교내에 발을 들여 놓은 후에도 문제이다. 아직까지 우리 사회에서 선생님이란 직업은 전문직이란 인식에서 선생님들 자체의 권위는 대단하다. 그러한 교사들은 교직과정을 이수하지도 않은 학교사회사업가를 자신들과 동등한 위치에서 학교내에 존재하는 것에 대해 상당히 거부감을 느낀다고 한다. 마치 밥그릇 싸움인양 말이다. 학교사회사업가가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문제에 좀더 전문적으로 개입한다면 결국은 자신들의 기존의 잔무를 없애주기도하고 결국은 공교육의 정상화에도 도움을 줄수있는데도 말이다.
학교사회사업 제도가 아직까지 제도화되지 않아 학교사회사업가들에게 재정적인 뒷받침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은 비록 부차적일지 모르지만 현실적으로 간과 할수 없는 문제이다. 그것이 바로 어쩌면 누구도 과감히 학교사회사업에 뛰어들 수 없는 현실적인 문제일지도 모른다. 노르웨이같은 경우는 Helper제도의 모든 경비는 시당국에서 책임진다고 한다. 정신적인 문제보다 물질적인 측면에 관심을 두면 안되는데도 그런 것을 보면 역시 복지선진국은 다르다는 생각을 지울수가 없다.
현재 학교복지사업가들은 정확한 숫자적 통계는 없지만 학교내에 직접 들어가서(학교중심접근 방식) 학교복지 사업을 하는 사람은 10손가락 안에 든다고 한다. 그리고 정식직원처럼 채용되어 일정 보수를 받는 사람은 윤철수씨 한분밖에 없다고 한다. 그것도 공립학교가 아니라 영등포여상의 성공적 사례 덕분으로 같은 제단 산하인 한가람고등학교에서 말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학교복지사회 사업가들은 비록 소극적(?)일지는 모르지만 지역의 복지관을 중심으로(기관중심접근방식) 요청에 의해 혹은 요청을 해서 일시적인 활동만을 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제도적으로 해결이 되지 못한 현실정에서는 바람직해보일지도 모르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왕따의 경우 친구들에게 잘못 보여 눈으로 드러나게 미움을 받는 왕따도 있지만, 눈에는 들어나지 않는 스스로 남들에게 신경도 안쓰고 남으로부터 관심도 받지 못하는 드러나지 않는 왕따도 있다는 것이다. 학교사회사업가는 바로 이런 드러나지 않는 문제도 스스로 찾아내어 해결해야하는 역할도 해야하는 것이다.
지금 현재 학교사회사업가들이 활동을 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문제는 학교사회사업의 제도화이다. 제도화는 물론 단시일 내에 기존의 폐쇄적이던 학교에서의 교사 및 여러 주변인들의 인식을 바꾸지는 못하겠지만 그래도 학교사회사업가의 지위보장과 본연의 학교사회사업을 할수 있는 발판을 만들어 줄 것이다. 또한 제도화는 학교사회사업가의 경제적 안정을 보장해줌으로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진정한 사회사업에 발을 들여 놓을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학교사회사업가들 자체도 현재의 진로상담가와는 다른 전문적인 분야로 좀더 발전되기 위해서는 아직까지 체계화되지 못한 학교사회사업의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보다 많은 신경을 써야만 사회적인 인식변화를 불러일으킬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제2회 한국학교사회사업학회 학술대회 "위기의 청소년 어떻게 도울 것인가" - 학교사회사업제도의 필요성과 제도화 방안 1997년/pp.51-169
- 학교사회사업의 도입에 따른 학교사회사업가의 역할과 준비 / 홍순혜 / 출처 : 계간 사회복지1997·봄 통권 제132호/1997/pp.96-118.
-푸른청소년복지사무소 양원석씨와의 인터뷰(현재 푸른청소년복지사무소는 사이버사무실임)
http://user.chollian.net/~exodusme
-학교사회사업 도입현황과 필요성, 권복순(대구효성가톨릭대학 교수)
1994년 4월 학교사회사업 창립총회 주제 발표문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11.01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97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