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경협의 성과 : 남북문제 대북정책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조사

Ⅲ. 김대중 정부의 대북 정책내용과 제도

Ⅳ. 경협현황과 성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한글97

본문내용

성 물자반출(11,332천달러)이 전년 동월(2,562천달러) 대비 342.3% 증가했기 때문이다. 1999년 1월의 남북교역이 전년 동월대비 102.1% 증가한 것은 수산물, 아연괴 등 북한산 물품의 반입증가의 영향도 있으나, 주로 대북 지원 및 협력사업용 물자의 반출때문으로 분석되고, 위탁가공교역은 전년동기 대비 18.5% 증가하였다. 특히 1월중에 위탁가공용 원부자재의 반출이 전년동기대비 64.4%가 증가하여 앞으로 대북 위탁가공교역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위탁가공용 반출품목이 생활용품 104.2%, 전자 및 전기가 44.0% 증가하므로써 품목이 다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99년 2월 남북교역이 전년 동월에 비해 21.4% 증가한 것은 수산물, 임산물 등 농림수산품의 반입증가와 비거래성물자의 반출증가 때문이다. 수산물 반입(2,019천달러)은 전년 동월(439천달러)대비 379.9%, 임산물의 반입(858천달러)은 전년 동월(368천달러)대비 13.3% 각각 증가하고, 대북 지원물자, 금강산관광 사업물자 등 비거래성물자의 반출(2,018천달러)은 전년 동월(564천달러)대비 257.8% 증가하였다. 위탁가공교역은 전년 동월대비 2.4% 증가하였으며 비중은 전체교역의 31.7%(실질교역의 38.2%)를 차지하였고, 위탁가공용 원부자재의 반출이 전월에 이어 16.5% 증가하므로써 대북 위탁가공교역은 다소 늘어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0년 5월 대북 지원 물품으로는 대한적십자사,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본부, 한국제이티에스, 유진벨, 남북나눔, 월드비젼, 한국이웃사랑회 등에서 비료, 분유, 밀가루 등 20,805천달러의 물자를 반출하였는데, 이중에는 대한적십자사 등에서 지원한 비료가 대부분(19,786천달러)을 차지하고 있다. 2000년 6월 대북 인도적 지원물품으로는 대한적십자사,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본부, 한국제이티에스, 한국이웃사랑회 등에서 비료, 의약품, 농기계 등 32,539천달러의 물자를 반출하였는데, 이중에는 대한적십자사 등에서 지원한 비료가 대부분(32,098천달러)을 차지하고 있다. 2000년 7월 대북 인도적 지원물품으로는 대한적십자사,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본부, 한국제이티에스, 한국이웃사랑회 등에서 밀가루, 복합비료, 의약품, 농기계 등 1,435천달러 상당을 반출하였는데, 이중에는 대한적십자사 등에서 지원한 비료가 대부분(1,324천달러)을 차지하고 있다.
2000년 10월 반출이 전년 동월에 비해 5.2% 증가한 것은 섬유류 및 전자·전기 등 위탁가공용 원부자재의 반출 증가와 경수로 사업 및 대북 지원 물자의 반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2000년 11월 반입이 전월에 비해 20.6% 감소한 것은 남북경협물자(주로, 위탁가공) 해상 운송사 간의 과당 경쟁 및 북측의 일방적 선적·입항 거부로 인한 수송체계의 혼란에서 야기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2000년 12월 전월에 비해 반입과 반출이 각각 24.3%, 26.2% 감소한 것은 남북경협물자(주로, 위탁가공) 해상 운송사간의 과당경쟁 및 북측의 일방적 선적·입항 거부로 인한 수송체계의 혼란에서 야기된 결과로 보인다.
2001년 1월 반입과 반출이 전월과 전년 동월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은 남북경협물자(주로, 위탁가공)의 주 운송 항로인 인천-남포 항로가 정상적으로 운행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V. 결 론
지금까지 조사분석의 전개를 위하여 김대중정부의 대북 정책내용과 경협제도를 조사한 후 남북경협성과와 관련하여 그 현황을 경제협력사업, 교역 및 위탁가공교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여러 선행연구들은 그 시기와 연구의 자료들은 조금씩 달랐지만 연구배경, 방법론 및 방향 등 대부분의 내용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남북경협성과는 김대중정부의 대북 (포용)정책내용과 제도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그 결과 과거 김영삼 정부에 비하여 상당한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남북경협연구에 一助할 것이며, 연구의 가치는 남북경협을 「정책내용 - 제도 - 성과」를 연결하여 분석한 점에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국진, “대북 정책에 대한 한·미·일 공조체제 강화방안”, 외교안보연구원, 1999.
김영목. “한국의 안보와 한·미·일 협력”, 한국외교협회, 『외교』 제50호, 1999.
김영재, “국민의 정부 대북 정책: 분석과 평가”,『한국정치연구』, 우석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99.
김영재, 이승현, "남북한 신정부의 대북·대남 정책", 국제정치학회 학술발표, 1999.
김재홍. "한국의 대북 정책",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통일전략포럼보고서, 1999.
민족통일연구원, 『남북한관계와 주변 4국의 대한반도정책』, 1998.
박종철, "김대중정부의 대북 정책과 남북관계전망", 민족통일연구원 1998,
박종철, "남북한관계의 전망과 한국의 선택,"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포럼보고서, 1996.
안승국, "한국의 대북한 정책과제와 발전방향, 국제정치학회 학술발표, 1999.
이재승, “김대중 당선자의 대북 시각 및 통일정책분석”, 북한 2월호, 1998.
이재승, “기로에 선 대북 경협정책: 정경연계냐 분리냐”, 자유공론 10월호, 1994.
이학수 외 3인, 『2001년 통일교육원 연구용역결과보고서』, 남북경협분과위원회, 2001.
민주평통, 1999. 4. 30. 자.
민족통일연구원,『한반도 통일을 위하여: 정책과 국제환경』, 1997.
통일교육원, 『북한문제이해』, 1999.
---------, 『통일문제이해』, 1999.
통일부, 『통일백서』, 1998-2002.
-----, 『국민의 정부 대북 정책』, 1998.
-----, 『대북 정책 어떻게 추진되고 있나』, 1998.
-----, 『통일부 30년사』, 1999.
통일부 교류협력국, 『월간 남북교류협력 및 인도적 사업 동향』, 제 81호-제 132호.
통일부 통일정책실,『통일속보』.
통일원, 『통일백서』, 1997.
통일정보신문, 2001. 10. 1. 자.
황병덕, “국민의 정부 대북 정책: 구조와 기본방향”, 민족통일연구원, 『남북간 관계와 주변 4국의 대 한반도 정책』, 1998.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3.03.06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4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