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의 노동기본권 보장이 행정발전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공무원 노동기본권의 성격
1. 공무원 노동기본권의 의미
2. 공무원 노동기본권 보장을 통한 행정발전

Ⅲ. 공무원 노동기본권 보장의 실태
1. 외국의 공무원 노동기본권 보장 경향
2. 우리나라 공무원 노동기본권 보장 실태

Ⅳ. 노동기본권 보장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 조사

Ⅴ. 결론 : 공무원 노동기본권 보장의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운영을 도모해야 할 지위와 근로자로서 보호받아야 할 지위는 모순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공무원 사회에의 다양한 개혁방안과 노동기본권 보장은 상호 동질성과 이질성을 가지면서 한 쪽이 강해지면 또 다른 한 쪽도 동시에 강해지는 속성 즉 상호작용성을 지니는 문제라 하겠다.
본 연구는 공무원 집단의 인식만을 분석한 한계를 지닌다. 전문가 집단을 위시한 일반 국민의 인식조사가 병행될 필요가 있겠지만, 이러한 조사연구가 공무원의 노동기본권을 보장을 가름하는 요인으로 작용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하겠다. 즉 공무원의 노동기본권 보장에 관한 문제는 이제 시기와 정도상의 문제만을 남겨 두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가장 중요한 문제는 한국 행정문화의 특성을 토대로 하는 관료조직문화의 흐름이다. 앞서 언급된 공무원 노동기본권 보장을 위한 기본전제들이 구축되지 아니하고는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소위 그레샴 법칙이 여기에도 예외없이 나타날 가능성이 큰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는 공무원 자신이 노동기본권의 의미와 더불어 그 권리와 의무를 보다 명확히 파악하여 공익과 사익의 조화에 대한 인식을 분명히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공무원의 노동기본권 보장은 먼저 노동조합의 구성이라는 단결권 인정을 시작으로 차후 단체교섭권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공무원 노조가입 범위를 지금의 공무원직장협의회 가입범위인 6급 보다 대폭 확대하여 공직사회를 양분하는 지금의 형태를 탈피하고 또한 노조 전임자들이 승진 후 관리층의 창구역할을 담당케 하는 방안도 고려될 필요가 있겠다.
공무원 노동기본권 보장이 공무원 집단의 신분보장과 근로조건 향상과 같은 소극적 목적달성에 머물지 아니하고 행정발전에 의한 생산성 향상을 통하여 궁극적 사용자인 국민의 편익향상이라는 적극적 목적달성으로 이어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인재 외. 1998. 『새로운 제도와 한국관료문화와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서울 : 한국행정연구원.
김선호·조경호. 1998. "행정민주화를 위한 공무원 노사관계 활성화 방안". 사회과학논집 8(2).
김인재. 2000. "공무원의 사회적 신분과 근로자성". 『공무원 노동기본권 보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전국공무원직장협의회총연합.
김재기. 2000. "공무원 노동조합법제의 입법방향에 관한 연구 -비교법과 국민의식조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 학위논문.
김치선. 1997. 『노동법 강의』. 서울: 박영사.
김형배. 1999. 『노동법』. 서울: 박영사.
민경식. 2000. "공무원의 노동기본권". 『법학논문집』. 제24집 제1호.
민경식. 1997. "미국에서의 공무원의 파업권". 『미국헌법연구』 제8호.
박양균. 1998. 『노동법개정 일지』. 서울: 자유기업센터.
박천오 외. 2000. 『인사행정의 이해』. 서울: 법문사.
박홍규. 1998. 『노동법론』. 서울: 삼영사.
백종섭. 1991. "한국 공무원단체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박사 학위논문.
서원석. 1995. 『ILO회원국의 공무원단체활동 비교연구』. 한국행정연구원.
오석홍. 2000. 『인사행정론』. 서울: 박영사.
이상윤. 2000. 『공무원 인사제도론』. 서울: 대왕사.
이철수·강성태. 1998. 『공공부문의 노사관계법』. 한국노동연구원.
임종률. 2000. 『노동법』. 서울: 박영사.
정정길. 2000. 『행정학의 새로운 이해』. 서울: 대명출판사.
한견우. 1989. "프랑스공무원법상 공무원과 노동조합". 『판례월보』. 230호.
한수봉. 1999. "공무원 노동운동에 대한 발전적 전망". 『국회보』. 391호.
허 영. 1996. 『한국헌법론』 서울: 박영사.
국회내부자료. 1989. 『법률안 계류현황』.
동아일보. (1996. 8. 2).
부산일보. (2001. 6. 20). (2001. 5. 12). (2001. 4. 30).
大塚 實. 2001. "公務員の勞動基本權保障についての國制基準-ILO基本條約と日本の經驗-". 『공무원 노동기본권 보장을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전국공무원직장협의회총연합.
Atwood, J. F. 1976. Collective Bargaining's Challenge: Five Imperative for Public Managers. Public Personnel Management. 5(1). 24-31.
Flippo, Edwin B. 1982. Personnel Management. McGraw-Hill, Inc.
Hays, Steven W. & Richard C. Kearney. 1983.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Problems and Prospects. N.Y.: Prentice-Hall, Inc.
Nigro, Felix A. & Lloyd G. Nigro. 1986. The New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Itasca. F. E. Peacock Publishers, Inc.
Milinski, M. Scott. 1998. Obstacles to Sustaining a Labor-Management Partnership : A Management Perspective. Public Personnel Management. 27(1). 11-21.
Mosher. Frederic C. Democracy and the Public Service. N.Y.: Oxford Univ. Press.
Siegel, G. B. & R. C. Mytle. 1985.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Boston: Houbhton Mifflin Co.
목차
Ⅰ. 서 론
Ⅱ. 공무원 노동기본권의 성격
1. 공무원 노동기본권의 의미
2. 공무원 노동기본권 보장을 통한 행정발전
Ⅲ. 공무원 노동기본권 보장의 실태
1. 외국의 공무원 노동기본권 보장 경향
2. 우리나라 공무원 노동기본권 보장 실태
Ⅳ. 노동기본권 보장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 조사
Ⅴ. 결론 : 공무원 노동기본권 보장의 방향
참고문헌
  • 가격1,7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3.04.04
  • 저작시기200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1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