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 도입
1) 연구의 목표
2) 탐구 학습과 언어 지식
3) 연구사

나. 탐구학습의 개념
1) 탐구 학습이란 무엇인가
2) 탐구 학습의 필요성

다. 탐구학습의 기본 구성 요소
1) 지식
2) 태도
3) 과정
가) 탐구 과정의 의의
나) 탐구 학습의 단계
다) 탐구 학습의 기법
(1) 강의와 질문 기법
(2) 지적 호기심과 질문 유발 방법

라. 국어지식 교육과 탐구 학습의 실제

마. 정리
1) 탐구 학습의 문제점
2) 탐구 방법의 도입과 국어 교육학의 지평
3) 기능 영역과 언어 지식 영역의 관계

● 탐구 학습의 몇 가지 모델

● 탐구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체제

본문내용

것이다.
이러한 작업에서 필요한 일은 교육적 필요가 높은 주제를 선정하는 일, 이를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의문들로 정리하는 일, 이에 관한 효과적인 탐구 학습 방법을 개발 적용하는 일 등의 현장화 작업이 될 것이다. 현장화를 위한 탐구 학습의 개발 및 적용 방향은 다양하고 거의 무한하다. 이로써 최소한 국어학 관련 국어교육학의 지평은 널지막하게 열린다.
우리는 일단 어학 관련 분야 중심으로 탐구 학습 방법의 도입을 주장해 보았거니와, 이 방법의 도입은 문학이나 교과교육학 관련 영역으로도 확대 적용될 수 있는 소지를 가지고 있다(김상욱, 1994 참조). 영역의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을지 모르나, 교과 교육의 어떤 국면이든지 결국은 배경 학문과 연결되는 일이 불가피하다고 볼 때 이 방법의 적용은 국어 교육학에서 이웃하고 있는 다른 영역들의 지평까지도 함께 열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3) 기능 영역과 언어 지식 영역의 관계
국어학 관련 성과들을 탐구 학습화하는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로는 영역 상의 혼란 문제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가령, 문법론에서 화용론, 담화 이론으로 이어지는 부분이 그것이다. 여기가 상호 구분이 어려운 경계 부분이다. 이 부분을 경계선으로 해서 언어학이 미시 언어학과 거시 언어학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이에 관하여 언어 지식(문법) 영역에서는 미시적인 지식만을 다룸으로써 경계를 서로 분명히 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 그 대신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등 기능 신장을 목표로 하는 영역에서는 거시적 국면들을 고찰의 중요한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최근에 발전되고 있는 텍스트 언어학, 담화 이론 등의 성과를 잘 소화시켜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은 실제로 이 기능 영역들이다.
이 분야들도 당연히 언어학 내지 국어학의 관련 사항이기는 하지만 국어교육학적 전개 문제로 넘어오면 상황이 달라진다. 그간의 부질없는 논란은 이를 혼동함으로써 야기된 문제들이다. 앞으로는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을 잘 구별하여 분업과 협업을 해 나아가야 한다. 현재처럼 국어교육의 하위 영역이 기능 영역, 문학 영역, 언어 영역으로 정립되어 있는 상황에서라면 언어 지식(문법) 영역에서 텍스트 차원의 문제까지 다룰 일은 아닌 것은 당연하다. 또한 발상법, 표현 시의 응집성, 유창성 문제, 텍스트 차원의 이해 문제 같은 것은 당연히 기능 영역에서 다루어야 하는 문제이다. 언어 지식(문법) 영역 쪽에서 거기까지 손을 대게 되면 기능 영역들에서 할 일이 없어지게 될 뿐 아니라, 이러한 문제들 말고도 언어 지식 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과제들은 산적해 있다.
국어 교육의 하위 영역들 간의 관계를 명료하게 정립하는 일은 국어 교육의 학문적 위상을 확고하게 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그간 국어 교육의 학문적 위상이나 내용과 관련하여 의문이 제기되었던 것은 바로 이같은 관계 정립 작업을 명확히 하지 않았던 데에도 한 원인이 있다. 이같은 관계 정립은 기능 영역, 문학 영역, 언어 영역이 서로 존중하고 가치를 인정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그간의 일부 논의들에서는 다른 영역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자세를 보임으로써 비생산적인 결과를 낳은 경우가 많았다.
이런 점에서 이 글에서는 언어 지식 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에 스스로 명확한 선을 그었다. 그렇다고 해서 시야가 좁아졌다거나 범위가 축소되었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 미시적인 세계의 내부 역시 거시적인 세계만큼이나 무한하며 두 세계는 똑같이 깊고 넓다. 다른 영역에서도 스스로 명확한 경계를 설정하고 그 내부를 충실하게 하기 위한 구체적인 작업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 탐구 학습의 몇 가지 모델
< Fenton의 역사 탐구 학습과정 모델 >
a. 자료로부터 하나의 문제를 찾아낸다.
b. 가설 설정한다.
.분석적 질문을 한다.
.가설을 진술한다.
.가설의 잠정적 성격에 유의케 한다.
c. 가설의 논리적 의미를 인식한다.
d. 자료를 수집한다.
.필요한 자료 결정한다.
.가설에 대한 관련을 토대로 자료를 선택한다.
e. 자료의 분석, 평가, 해석을 행한다.
.원자료로부터 적절한 데이타를 선택한다.
.원자료의 眞僞를 검토한다.
.원자료를 평가한다.
(원자료 작성자의 사고 검토 및 사실진술의 정확성 검토)
f. 자료에 비추어 가설을 평가한다.
.필요하다면 가설의 일부를 수정한다.
.일반화를 진술한다.
□ 탐구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체제
+----------+ +-- 기초학력 진단
1. | 診斷學習 +--+ 기초학력 미달아의 처방
+-+--------+ | 과제물 및 자료준비 점검
| +-- 학습계획 수립
+-+--------+ +-- 학습문제 설정
2. | 學習問題 +--+ 학습문제 인식
+-+--------+ +-- 학습 목표
| +-- 탐구활동 계획
+-+--------+ | 예상 수립
3. | 探究生活 +--+ 실험 실습 활동
+-+--+--+--+ | 토의 기록 활동
| | | +-- Open-end 시험
| | | +---------------+ +-- 교사의 발문
| | +----- 4. | 言語 相互作用 +--+ 아동의 발표 활동
| | +---------------+ +-- 학급 전체의 토의 활동
| | +---------------+ +-- Soft Ware의 투입
| +-------- 5. | 敎授-學習資料 +--+ Hard Ware의 투입
| +---------------+ +-- Feed Back
+-+--------+ +-- 검증 방법
6. | 形成評價 +--+ 결과 처리
+----------+ +-- 결론 형성
참고문헌 ----------------------------------------------
1. 이삼형 외, 국어교육학, 서울:소명출판, 2000
2. 이재승, 국어교육의 원리와 방법, 서울:박이정, 1997.
3. 최현섭 외, 국어교육학개론, 서울:삼지사, 1996.
4. 노명완 외, 국어과 교육론, 갑을풀판사, 1988.
5. 박영목 외, 국어교육학원론, 교학사, 1995.
6. 김광해 외 공저, 국어지식 탐구, 박이정, 1999
7. 이주호, 국어과교육론, 박이정, 1998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2.22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36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