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전문학의 이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족 전체가 즐기는 예술로 발전하여 왔다.
3. 구성
(1) 창 : 노래
(2) 아니리(사설) : 창이 아닌 말로, 창 도중에 이야기하는 말을 이른다.
(3) 추임새
고수의 추임새와 관중의 추임새가 있다.
관중의 추임새는 판소리를 들으며 일어나는 감흥을 자연스럽게 발하는 감탄사로서 광대의 소리가 잘 전달되고 흥미가 있다는 청중의 적극적 반응이다.
고수의 추임새는 광대의 구연 의욕을 북돋우기 위한 형식적인 탄성으로 소리의 공백을 메워주기도 하고 장단으로 치는 박을 대신하기도 한다.
(4) 발림(너름새)
광대가 하는 보조 동작이다.
자기가 부르고 있는 사설이 나타내는 장면을 동작으로 묘사함으로써 관중의 이해를 돕는 구실을 한다.
4. 작품
(1) 전래하던 판소리 12마당으로는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 타령, 배비장 타령
강릉 매화전, 옹고집전, 장끼 타령, 무숙이 타령, 숙영낭자 타령이 있다. 송만재의 '관우회'에서는 '무숙이 타령'과 '숙영낭자 타령' 대신에 '왈자 타령'과 '가짜 신선 타령'을 열두 마당 속에 포함시키고 있다.
판소리 용어 해설
고수 : 북을 치는 사람
광대 : 노래를 부르는 사람
소리 : 노래를 부름
발림 : 노래를 부르면서 하는 무용적 동작, 즉 제스쳐
너름새 : 발림과 같으나 가사, 소리, 몸짓이 일체기 되었을 때 일컫는 말
추임새 : 고수가 발하는 탄성으로 흥을 돋우는 소리
진양조 : 가장 느린 소리. 애연조(愛然調)
휘모리 : 가장 빠른 소리. 급박감
중모리 : 중간 빠르기의 소리. 안정감
중중모리 : 흥취를 돋우며 우아함
자진모리 : 섬세, 명랑, 차분
엇모리 : 평조음으로 평화스럽고 경쾌함
하. 민속극
1. 개념
(1) 가장한 배우가 대화와 몸짓으로 사건을 표현하는 전승 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전통극이라고도 한다.
(2) 이것의 유형으로는 무극, 가면극, 인형극, 창극 등이 있다.
(3) 무극은 굿에서 연행되던 굿놀이를 말하며, 가면극은 각 지역에서 행해지던 탈놀이를, 인형극은 남사당이라는 유랑 연예 집단에 의해 연희된 「박첨지극」을 말한다.
2. 특징
민속극은 농민이나 사당 등의 서민들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나아가서 서민들을 관중으로 삼았기 때문에 서민들의 언어와 삶의 모습이 생생히 드러나 있다. 또한, 관중들을 오락적으로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어야 했기 때문에 자연히 거기에 알맞은 넉살이 있고 신명이 있고, 또한 상류 계층에 대한 심리 보상적인 비판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1) 전승 방법 : 구전, 세습
(2) 대사의 주된 표현 방법 : 풍자와 해학
(3) 극의 형태 : 무극, 가면극, 마당극, 인형극
(4) 연의 방법 : 춤, 대사, 음악
(5) 주된 정신 내용 : 서민 정신, 풍자와 해학의 정신
(6) 향유 계층 : 평민
3. 형식
(1) 가면극에서 사용되는 가면의 명칭은 양반, 노장, 목중, 영감, 하미, 소무, 미얄, 초랭이, 이매, 말뚝이, 취바리, 영노 등 다양하다.
(2) 연희자들은 가면을 쓰는 것으로 분장이 이루어지고, 고개를 숙이는 각도에 따라 가면의 인상이 달라진다는 점에 착안해 등장 인물의 표정 변화를 연기한다.
(3) 하나의 극은 대체로 여러 과자응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과장은 거의 독립적이다.
(4) 배우의 대사는 고정되어 있으나 즉흥적인 부연 창작도 가능하다. 특히 극중 인물이 관중을 대화의 상대로 끌어들이기도 하는데, 이 같은 경우는 상황에 따라 대화의 내용이 달라진다.
4. 작품
산대도감극의 유형은 지방에 따라 그 명칭과 내용이 다르다. 중부형에 속하는 것으로는 양주 별산대 놀이와 송파 산대놀이가 있다. 해서형으로 그 대사가 채록된 것은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은율 탈춤을 들 수 있다. 영남형으로는 통영 오광대, 고성 오광대, 가산 오광대, 진주 오광대 등의 오광대류와 동래 야류, 우영 야류 등의 아류류가 있는데 대부분 대사가 채로되어 있다.
아. 민요
1. 개념
(1) 과거로부터 내여오는 전통적 운율감을 기초로 일반 민중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사람의 입을 통하여 전해지는 노래이다.
(2) 민요에는 그 민족, 민중, 공동체의 희비 애환이 담겨 있어 보편거인 감정을 노래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정서적 가치를 지닌다.
2. 특성
(1) 구전성 : 설화와 마찬가지로, 민요는 문자에 의한 기록과 무고나하게 입에세 입으로 전승된다.
(2) 서정성 : 민요는 농축된 정서를 직접적으로 표현한다.
(3) 서민성 : 민요의 서민의 일상 생활, 특히 노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불려지므로 서민의 생활 감정이 잘 포함되어 있다.
(4) 형식미 : 민요는 노래로 불려지기에 적합하도록 그 율격이나 형식이 다듬어져 있어 대체로 그 율격은 일정한 정형성을 가진다.
3. 형식
(1) 민요는 두 연이 대칭 구조를 이룬다.
(2) 민요는 3.4조 또는 4.4조의 운율을 가진다.
(3) 민속, 음악, 문학의 복합체이다.
(4) 민요는 가창 형식과 시가 형태가 긴밀한 관계를 가진다. 즉 후렴이 있느야 없느냐에 따라 가창 방식이 달라지고, 교환창이냐 선후창이냐에 따라 시가 형태가 결정된다.
(5) 민요의 가창 방식은 선후창, 교환창, 독창, 합창으로 구분된다.
4. 내용
(1) 민요에는 민중들이 일상 생활에서 겪는 정한이 잘 나타나 있다.
(2) 노동요에는 일하는 즐거움과 보람이 꾸밈 없이 소박하게 잘 나타나 있다.
(3) 생활상의 고통도 드러나는데 시집살이 노래에는 시집살이하는 젊은 여성들의 고뇌에 찬 삶이 묘사되고 있다.
(4) 비기능요에는 남녀 이별의 정한이 주조를 이룬다.
5. 작품
노동요는 농업 노동요, 어업 노동요, 벌채 노동요, 길쌈 노동요, 제분 노동요, 잡역 노동요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예) 논매기 노래, 타작 노래, 해녀 노래 등
의식요는 세시 의식요, 장례 의식요, 신앙 의식요로 나눌 수 있다. (예) 지신밟기요(세시 의식요), 상여 노래, 달구질 노래(장례 의식요) 등
놀이에 박자를 맞추면서 부르는 유희요가 있다. (예) 강강술래, 줄다리기 노래, 널뛰기 노래, 놋다리 노래 등
유흥을 목적으로 부르는 비기능요가 있다. (예) 아리랑, 강원도 아리랑, 정선 아리랑, 밀양 아리랑 등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4.05.10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9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