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사 요약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철학사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부 중국철학

제 1장 상고시대의 신화
제 2장 선진유학
제 3장 도가사상
제 5장 송대 성리학

제 2부 인도철학

제 1장 고대철학
제 2장 불교철학

본문내용

끊임없이 생장과 소멸을 거듭하고 사람도 역시 변화를 거듭한다. 이와 같은 사실을 일반화하여 현상계의 원리라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현상계의 원리이기는 하지만 동시에 변화의 실체를 현상의 이면에서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을 말하는 것이 둘째의 제법무아이다. 제법은 제행과 같이 모든 것이라는 뜻이다. 무아의 "我"는 항상 동일성을 보유하여 자기의 힘으로 존재하고 작용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무아란 모든 것은 변화하므로 동일성을 가진 실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변화의 이면에 변화하지 않는 실체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 제법무아의 의미이다. 모든 것들은 그 자신에 의하여 존재할 수 없으므로 다른 것에 의하여 존재하는 것이다. 이 다른 것에 의해서 존재한다는 것을 연기 인과라고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을 그대로 보지 않고 실체적 동일성을 인정하려고 하나 현실적 경험과의 모순, 욕망과 현실과의 충돌, 여기에서 얻어진 불만이 쌓여서 고뇌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고뇌를 없애려고 한다면 먼저 실체에 대한 생각을 버려야 한다. 실체를 생각하지 않으면 실체를 고집하지 않게 되고, 고집이 없어지면 고뇌도 없게 된다. 이 고뇌가 없는 상태를 열반이라고 한다. 이것이 세째의 원리인 열반적정의 뜻이다. 그것은 고뇌가 없이 마음이 안정된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그것이 불교의 이상인 해탈의 경지이다. 이 열반적정의 경지는 첫째와 둘째의 원리를 바르게 인식한다면 실체에의 고집이 없어지고, 고집이 없어지면 고뇌가 없어지게 되어 자연적으로 생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해탈은 진리의 인식에 의하여 생기는 것이다.
4) 四諦說
연기설이 스스로 깨닫기 위한 것이고 이론적인 것이라고 한다면 사제설은 다른 사람에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고, 이론적임과 동시에 실천적이며 오히려 실천을 주로한 것이다. 諦는 진실, 진리라는 뜻이고 사제는 네 가지의 가르침이라는 뜻으로 고제(苦 諦), 집제(集諦), 멸제(滅諦). 도제(道諦)를 말한다. 고제는 변화무상한 현실세계에 대한 인간들의 주관적 가치판단을 말한다. 인간들은 변화무상한 현실에서 영원하고 불변하는 것을 찾고 바란다. 이것이 인간들의 미혹이다. 그러나 세계는 변화무상한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인간의 욕구는 이루어질 수 없고 그 때문에 고통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고통에는 생고(生苦), 노고(老苦), 병고(病苦), 사고(死苦), 애별리고(愛別離苦), 원증회고(怨憎會苦), 구불득고(求不得苦), 오온성고(五蘊盛苦)의 여덟 가지의 고통이 있다. 오온(五蘊)은 우리의 몸과 마음 전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색(色;물질로서의 육체), 수(受;감각 감수작용), 상(想; 관념, 사상), 행(行; 의지, 선악행위의 동기가 되는 내적 정신작용), 식(識; 인식판단의 의식작용)을 말하는 것이다. 집제는 인간이 번뇌하는 원인으로 번뇌는 갈애(渴愛)로 말미 암아 생긴다. 갈애는 인간으로 하여금 타율적이고 비자주적인 생 활을 하게 한다. 이 갈애의 원인은 무명(無明)이다. 고제는 번뇌의 결과로 미혹을 말하는 것이고 집제는 미혹의 원인을 말하는 것으로 고제의 원인을 밝히는 것이다. 인간은 무명으로 말미암아 헛되이 욕구하고 집착하여 이것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번뇌하고 고통스러워 한다. 이것의 원인을 밝혀 해탈의 길을 말하는 것이 멸제이다. 멸제는 인간이 미혹으로 말미암아 생긴 고통에서 벗어나 열반에 이르는 것을 가르친다. 열반은 죽음의 세계가 아니라 욕망을 끊어 자유로운 정신적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즉 인생고의 원인인 미혹과 무명을 끊어 자각없는 현실 세계의 고뇌와 불안을 멸 한 상태로 불교의 이상경이다. 도제는 멸제의 목표인 열반에 이르는 방법을 말한다. 그것은 불교의 윤리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열반에 이르는 것은 쾌락의 추구나 고행을 통하여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중도(中道; 非苦 非樂)를 행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 방법이 팔정도(八正 道)이다. 팔정도는 정견(定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 이다. 정견이란 올바른 견해를 갖는 것으로 불교의 올바른 세계관과 인생관을 아는 것이다. 그것은 연기라든가 사제에 관한 지혜라고 할 수 있다. 정사유는 올바른 생각과 올바른 마음가짐을 갖는 것이다. 즉 정견에 의하여 얻은 바른 생각을 실행하려는 마음으로 나쁜 마음, 탐욕스러운 마음, 다른 사람을 해치려는 마음 등을 억제하려는 심적 작용이다. 정어는 올바른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거짓말이나 남을 비방하는 말,난폭한 말을 하지 않는 것이다. 정업은 바르게 행동을 하는 것이다. 소극적으로는 나쁜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고, 적극적으로는 선행을 하는 것이다. 즉 살 생을 하지 않고 색욕과 음주에 빠지지 않고 도둑질을 하지 않는 것은 소극적 정업이고, 남을 사랑하고 스스로 반성을 하여 바른 행위를 하는 것은 적극적 정업이라고 할 수 있다. 정명은 규칙적 이고 바른 생활을 하는 것이다. 정정진은 올바른 노력과 용기이다. 마음을 바로 하여 안일과 나태함을 꾸준히 노력을 하는 것이다. 정념은 끊임없이 스스로 반성하고 자각하여 자기와 주위의 입장을 올바로 아는 것으로 올바른 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정정은 정신을 통일하여 흐트러지지 않는 마음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진정한 정신통일의 상태를 말한다. 이 四諦는 마치 의사가 병자를 진단하고 처방을 내리는 것과 같다. 즉 병을 진단하고(苦), 병의 원인을 밝히며(集), 병이 완치될 수 있다는 확신을 주고(滅), 처방(道)을 내리는 것이다.
4. 초기교단의 발전
초기교단에 속하는 사람은 누구나 불법승(佛法僧) 삼보(三寶)에 귀의할 것이 요구되었다. 불(佛)이란 교조로서의 불타를 말하고 법(法)은 그 불타가 가르친 교설, 그리고 승(僧)은 그 교설을 실천하는 승려를 지칭한다.
부다는 종파의 파벌의식을 떠나 진리의 보편성을 표방함으로써 많은 신도들을 교화하였다.
5. 부다의 사상사적 의의
첫째, 실천적 윤리로서의 중도(中道)를 강조했다.
둘째, 평등주의를 말하였다.
셋째, 부다사상은 세계주의적인 휴머니즘에 입각해 있다.
넷째, 부다는 겸허한 구도자의 자세를 잃지 않았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4.06.22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