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전통 무도수련의 변화와 현대적 의미에 관한 소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1. 동양 무도사상의 성립
2. 무도개념의 변화
3. 수련관과 수련 가치의 변천

Ⅱ. 전통 무도 사상: 무심(無心).형(型).도(道)
1. 불교와 무도 사상
2. 유교와 무도 사상
3. 도교와 무도 사상
4. 부동지신묘록의 사상

Ⅲ. 본국검법의 진실
1. 예 도
2. 닌자란 무엇인가?
3. 석천오우위문(石川五右衛門)

Ⅳ. 동양무도의 근대화와 수련관의 변화
1. 전통 무도의 수련관 : 실전 지향성
2. 무도수련의 근대화 : 기술의 탁월성
3. 한국 무도의 발달양상과 수련방법의 근대화
4. 수행으로서의 무도 수련
5. 무도 수련에서 도(道)와 기술(術)의 의미
6. 현대적 의미의 무도 수련

V. 결 론

본문내용

인식론적 전제, 즉 기술을 통한 도의 실현이나 체득이라는 개념이 드러난다. 이러한 접근법은 신체와 인식을 이분하는 서양적 접근법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동양의 심신일원론적 철학을 잘 반영하고 있다.
V. 결 론
무도는 그 구체적인 실천에 있어서 그것이 신체적 수행(practice)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무도수련의 신체적 관여라는 특성을 올바르게 인식하기 위하여 이러한 신체와 신체적 활동이 지닌 존재론적 그리고 인식론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먼저 요구된다 할 것이다. '신체로서 습득한다'라는 인식의 형태는 불교의 '수행'이나 무도의 수련에서 뿐만 아니라 또한 유교의 '공부' 특히 양명학의 지행합일적 공부나 주자학의 정심, 격물치지의 공부 역시 이러한 심신통합적 인식의 철학에서 나타나는 산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수행, 수련, 수도, 공부, 단련, 고행 등으로 불려지는 이러한 동양 전통의 인식 방법은 신체적훈련을 통하여 신체적 기능의 숙달은 물론 동시에 정신을 연마하고, 인격을 향상시키며, 종국에는 자아와 세계에 대한 인식을 획득하고 이 양자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단계로 나아간다는 점에서 상통한다. 이러한 동양적 수행관에 유사한 것으로서서양의 종교 전통에 존재해 온 금욕이나 고행은 기도, 묵상, 노동, 신체적 단련 등의 수단적 측면에서 동양의 수행과 유사하지만, 그 존재론적, 인식론적 전제에 있어서 죄의 원인인 육체를 괴롭힘으로서 영혼이 죄로부터 구제될 수 있다고 믿는 영육이원론(靈肉二元論)이 기초해 있다는 점에서 크게 다르다.
동양적 전통에서는 이와 같은 경지의 인식을 심신일여(심신일여), 깨달음, 또는 견성(見性)이라는 개념 등으로 이해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지의 수련은 대개 의식과 신체적 자아의 망각이나, 신체적 자아의 탈각, 마음과 신체가 하나로 뭉쳐진 느낌, 신체와 마음의 구별이 사라진 상태 등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이러한 개념은 더욱 확장되어 동양적 철학 사유의 총체적 개념인 도로 연결되어 설명되기도 한다. 도 사상은 자연 현상의 궁극적 존재 원리와 인간의 삶을 하나로 인식하게 되는 천인합일(天人合一) 천인합덕(天人合德), 천인감응(天人感應) 또는 물아일체(物我一體)를 중심으로 하여, 자연과 인간의 융화를 강조하게 되고 자연의 길(天道)과 인간의 작위의 길(人道)을 동일선상에 놓고자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인식론적 틀은 동양 전통의 예술관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 춤, 노래, 악기, 서화나 심지어는 공예나 무도에 이르기까지 자연의 이상적 상태를 인간의 의식적 노력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로 인식하는 천인합일 즉, 도의 개념이 널리 원용되고 있다.
이처럼 예술이나 무도 등의 영역에서 추구되는 신체적 기예의 궁극적 경지는 숙련을 통해서 자연스러움의 극치에 도달하는 것이며 이것을 동양적 예술 전통에서는 '인간의 자연화의 사상'이라고 하였다. 인간의 자연화란, 결코 동물성으로 퇴보하여 피동적으로 자연에 적응하려는 것이 아니고, 그와 반대로 자신의 생물적 한계를 초월하여 주동적으로 모든 자연의 기능, 구조, 규율과 호응하고 한 테두리가 됨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러한 경지에 도달한 신체적 기예는 '마음을 먹으면 손이 이에 응하고 생각이 미치면 곧이루어지는 (得心應手 意到便成)' 경지이며, 이와 같은 경지는 '이치에 맞고 신의 경지에 들어서며 무의식으로 돌아가는(造理入神廻到無意)' 인간과 자연의 완전한 합일이 이루어져 드디어는 기예가 도의 경계를 들어서게 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것은 바로 공자가 말한 '자기의 마음이 하고자하는 대로 따라 행해도 법도에 어긋남이 없는(從心所慾不有 )' 경지를 말함이며, 이때의 기교는 이미 단순한 기술적인 활동이며 실용을 목적으로 한다면, 도는 심미의 경지로서 실용적인 목적을 초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도는 결코 기교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기교가 승화된 경지라고 할 수 있다. 즉 기교가 도의 경지에 이르렀다는 것은 기교의 질적인 변화가 초래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교의 질적 변화로서의 도의 경지는 자유에 도달한 것이며, 실용적 단계를 초월하고 심미적 단계에 진입한 '기예의 완성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권오석 역 (1979). 松田 隆智. 中國武術史. 서울: 서림문화사.
권호 역 (1990). 이택후. 華夏美學. 서울: 도서출판사
권호 역 (1995), 張立文. 道. 서울: 동문선.
김광석 외 1인 (1991). 韓國跆拳道史. 서울: 서림문화사.
김석근 역 (1995). 마루마야 마사오. 일본정치사상연구. 서울: 한국사상연구소.
김석근 외 1인 역 (1989), 모리토모 쥬이치. 일본사상사. 서울: 이론과 실천.
김영희 역 (1992). 湯淺泰雄. 身體 -東洋的 心身論의 試圖-. 서울: 학영사.
김용옥 (1990). 태권도 철학의 구성원리. 서울: 통나무.
김정행 외 2인 (1997). 武道論. 서울: 대한미디어.
김창룡 외 3인 역(1989). 첸(Ch'en D.). 중국무술의 자연 상징주의, 東·西 體育思想의 만남. 서울: 保景文化社.
______ (1995). 스포츠 철학. 서울: 대한미디어.
김 철 (1986). 태권도 교육론. 원광대학교 출판국.
김 철 (1996). 禪武에 관한 연구. 선무학술논집. 제5권. 한국선무학회.
김하태 (1954). 지성과 직관. 東西哲學의 만남. 서울: 종로서적.
김현구 외 1인 (1996). 日本史槪說. 서울: 知永社.
나영일 (1992). 전통무예의 현황과 과제. 무술학술회 발표논문집.
______ (1992). 조선조의 무사체육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정진명 (1996). 우리 활 이야기. 서울: 학민사.
조민화 (1997). 中國哲學과 藝術精神. 서울: 예문서원.
조병화 (1992). 제1회 태권도 한마당. 대한태권도협회
주칠성 외 (1998). 동아시아의 전통철학. 서울: 예문서원.
캐페너 스티븐 (1994). 태권도 철학의 본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복규 (1995). 전통무예의 개념정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영연 (1921). 海東竹枝. 서울: 장학사.
  • 가격3,400
  • 페이지수47페이지
  • 등록일2007.02.10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35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