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지도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업지도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단원의 개관

단원 설정의 이유

단원의 학습 문제

단원의 발전 계통

단원의 목표

지도 목표별 내용의 상세화

단원의 구조

학습의 흐름

본시 학습 지도안

형성 평가

참고자료

본문내용

다.
④ 넓고 기름진 평야가 서쪽에 자리한다,
⑤ 황해안은 해안선이 복잡, 수심이 얕다.
북부 지방의 가옥 구조는 다음 그림과 같다. 이러한 가옥 구조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겨울이 길고 추운 북부지방의 기후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을 모두 고른 것은?
㉠ 억새로 이은 지붕에 돌을 얹어 놓았다.
㉡ 창문이 작고 대청마루가 없다.
㉢ 삼베와 모시옷이 발달하였다.
㉣ 우데기를 만들어 비바람을 막고 눈 속에서 생활한다.
㉤ 조, 콩, 수수 등 잡곡 생산을 많이 한다.
㉥ ㄷ자, ㅁ자형의 폐쇄적인 가옥구조가 발달하였다.
① ㉠㉡㉢ ② ㉢㉣㉥ ③ ㉡㉣㉥ ④ ㉠㉢㉤ ⑤ ㉡㉤㉥
◈참고 자료
☞개마고원
개마 고원은 고도 1200∼1500m로 행정구역상으로는 자강도, 양강도, 함경남도, 함경북도에 걸쳐 분포하는 약 1만㎢ 넓이의 고원이다. 백두산 주변에는 광대한 용암대지와 남·북포태산 등의 휴화산이 발달되어 있다. 백두산 북부의 남만주까지 덮은 웅대한 용암대지는 남북 400㎞, 동서 200㎞의 광대한 지역이다. 백두산에서 만탑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에 발달한 휴화산군을 따라 제3기말에 주로 알칼리성 조면암이 분출되고, 제4기에 들어와 유동성이 큰 현무암이 그 위를 덮어 오늘날의 대지가 되었다. 따라서, 개마 고원의 대부분인 용암대지 서쪽은 지층이 침식된 그대로의 평탄한 대지를 이루고 있다. 이 지역의 하천은 남에서 북으로 흘러 압록강으로 유입된다. 해발 고도가 높고 바다로부터 많이 떨어져 있어서 우리 나라에서 대륙성 기후가 가장 뚜렸하게 나타난다. 즉 겨울에 가장 추운 곳이어서 연교차가 가장 크게 나타난다. 식생은 냉대림이고 고원 서쪽에는 화전에 의하여 조, 귀리, 콩, 피 등이 1년1작의 경작 양식으로 행해진다. 개마고원 북부의 압록강 쪽에는 완경사를 이루나 동해쪽으로는 급경사를 이뤄 북부쪽으로 흐르는 장진강·부전강·허천강을 막아 동해쪽으로 떨어뜨리는 유역변경식 발전을 통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동해안의 공장에 공급한다.
☞백두산
우리나라에서 제일 높은 해발고도 2,744m의 백두산은 산꼭대기에 화산이 폭발할 때뿜어 나온 백색의 부석(浮石)이 얹혀 있어 언제나 희게 보이는 산이라 하여 예로부터 '흰 머리의 산'으로 부르고 있으며, 산 정상에는 백두산의 화산 활동에 의해 형성된 분화구가 함몰하여 생긴 칼데라호 천지가 형성되어 있다.
☞대륙성 기후
육지의 영향을 크게 받는 기후를 대륙성 기후라고 하며, 일교차와 연교차가 바다나 해안 지방에 비해 매우 큰 것이 특징이다. 대륙에 붙어있으면서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기후는 전체적으로 대륙의 영향을 받고, 남에서 북으로 갈수록, 해안가에서 내륙지방으로 들어갈수록 대륙의 영향을 받는다. 기후학적 입장에서 우리 나라의 기후의 특색을 한 마디로 말할 때 '춥고도 더운 나라' 즉, 대륙성 기후라고 표현 한다. 바다로부터 멀어질수록 북쪽으로 갈수록 대륙의 영향을 많이 받아 이러한 대륙성 기후의 성향은 더욱 강해진다.
☞소우지-광량만 일대
대동강 하구에 있는 광량만은 수심이 얕고 조석 간만의 차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넓은 갯벌이 발달하였으며, 연강수량이 비교적 적은 편이며(약 800㎜) 일조 시수가 길고 증발량이 많아 천일 제염이 발달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천일제염업
다른 연료 없이 오직 햇빛과 바람에 의하여 바닷물을 증발시켜 소금을 수확하는 방법을 말하며, 조차가 크고 수심이 얕은 바다의 지형 조건과 기온이 높고 공기가 건조하며 비가 적은 기후 조건이 필요하다.
☞북부지방의 지형과 농업
§다락밭
비탈진 곳에 만든 계단 모양의 밭
북부지방은 농경지가 부족하기 때문에 자립적 민족경제를 목표로 하는 북한에서는 식량 자급을 달성하기 위하여 농경지를 확대할 수 밖에 없었고, 그 결과 나온 정책이 경사가 어느 정도 있는 산을 계단식 밭으로 만들어 이용하려고 하였다.
☞북부지방의 기후와 음식
북부지방 사람들은 조밥이나 옥수수 등이 섞인 잡곡밥을 주로 먹으며 메밀로 만든 냉면이 유명하다. 북부 지방은 남부 지방에 비해 기온이 낮아 김치가 빨리 익지 않으므로 북부 지방으로 갈수록 김장 시기가 빨라진다. 한편, 김치를 담글 때에도 소금간의 정도와 매운 정도에 있어 차이가 난다. 남쪽일수록 김치가 쉽게 시어지므로 짜고 맵게 담그며, 북쪽으로 갈수록 간이 약한 백김치나 동치미를 담근다.한편, 기름진 고기를 즐겨먹고 소나 돼지 뼈를 이용하여 만든 음식이 많다. 황해도에서는 만두속에 닭고기나 꿩고기를 듬뿍 넣기도 한다.
☞기후와 가옥의 구조
관북 지방과 같이 추운 지방은 폐쇄적인 가옥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데, 대청과 마루가 없고 그 공간에 온돌을 배치하고 있다. 온돌은 전(田)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고, 방앗간이 정주간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겹집 구조는 몹시 춥고 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한 것이다. 이에 반하여 우리 나라에서 가장 포근한 기후를 보이는 제주도는 중앙의 마루를 중심으로 방과 부엌이 서로 떨어져 있는 개방적인 가옥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폐쇄적인 가옥 구조와 개방적인 가옥 구조를 비교하는 기준은 대청과 마루의 유무라고 하겠다.
「북부지방의 폐쇄적 가옥구조」
§정주간
정주간은 부엌과 안방 사이에 벽이 없이 부뚜막과 연결되어 있는 큰방이다. 관북 지방의 겹집에 있는 여러 방 가운데 가장 많이 이용되는 공간으로, 이 곳에서 손님을 맞고, 온 가족이 모여 식사도 하며, 작업도 하는 공간이다
☞ 북부지방의 기후와 옷
개마 고원을 중심으로 북부 지방의 내륙 지방에는 보통 영하 30℃ 내외를 오르내리는 혹한이 일상적으로 나타난다.탈북자들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털모자, 털수건, 장갑, 춘추 및 동내의, 방한화, 두툼한 양말 등이 겨우내 추위를 이겨내기 위한 필수품이다. 영하 20도를 넘는 혹한에 남자들은 털모자를 깊이 내려쓰고 솜동복과 스웨터 등을 입는다. 북한의 겨울을 이기자면 방한화가 필수적이다. 양말은 보통 3컬레 이상 신어야 정상이다.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털로 짠 양말을 신기도 한다. 북한에서는 털수건을 쓰지 않은 여자들이 눈에 띄지 않는다. 털로 짠 수건으로 머리를 뒤집어쓰고 눈과 코를 제외한 얼굴 전면을 가려야만 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11.17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37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