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텀페이퍼] 하버마스의 비판이론과 교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A.연구의 필요성
B.연구의 목적과 내용
C.연구의 방법

Ⅱ.하버마스 비판이론의 등장배경
A.근대 철학사와 계몽주의
1.플라톤과 들뢰즈
2.근대철학과 계몽주의
B.막스 베버와 호르크하이머, 아도르노
1.막스 베버
2.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Ⅲ.하버마스 비판이론- 의사소통적 합리성
A.보편 화용론과 이상적 담화상황
1.하버마스의 출현
2.보편 화용론과 이상적 담화상황
B.의사소통 행위의 이론

Ⅳ.하버마스 비판이론에 대한 고찰
A.비판이론에 대한 기독교적 논의
B.비판이론에 대한 교육철학적 논의

Ⅴ.요약 및 결론
A.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한 여러 항거운동을 위한 근거가 되고 있는 부분이다.
Ⅳ.하버마스 비판이론에 대한 고찰
A.비판이론에 대한 기독교적 논의
구약성경의 욥기 1장을 보면 욥의 의로움에 대한 사단과 하나님 사이의 대화가 나온다. 그리고 이것은 이후 욥기 전체 내용의 발단을 이룬다. 여기에서 볼 수 있는 분명한 사실은 하나님은 사단의 중대한 범죄에도 불구하고 그와 대화하기를 멈추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또한 이사야서 1장 18절에서 하나님께서는 범죄한 이스라엘 백성들을 향하여 “말씀하시되 오라 우리가 서로 변론하자”고 초청하신다는 사실이다. 대쟁투는 어떻게 보면 “역할 놀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말씀에 비추어 볼 때, 하버마스의 보편 화용론은 인격적인 존재들 사이에 기본 원칙으로 작용하고 있는 의사소통 이론이 존재함을 알 수 있게 한다. 더 나아가 인간 부모로서 우주의 교사 되시는 하나님은 그분의 타락한 학생들에게 여전히 대화를 통해 의사소통을 하기 원한다는 사실은 교육학적으로도 모범생뿐만 아니라, 문제아들까지도 어떻게 다뤄야할지를 강하게 암시해주는 부분이라 하겠다.
또한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 속에 이미 이성적 의사소통 가능성 자체가 선재하고 있다는 견해 역시 인간은 인격적인 하나님을 통해 창조되었음을 암시하는 인문학적 창조과학의 근거로도 연구되어질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버마스의 비판이론은 이성과 인간의 비판 능력에 대한 과도한 신뢰로 인해 타락한 인간이 견지하고 있는 인본주의적 경향을 버리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성의 합리성 논의가 사회의 합리성으로 증대될 수 있다는 것 자체도 역사 속에서 수많은 사례들과 함께 역사상 가장 민주적인 시대라고 할 수 있는 현대에 미국의 국제적 횡포 앞에서도 현실과의 괴리감을 떨쳐버리기 어렵게 한다.
그리고 이상적 담화상황에서 이성적 기능 외에 다른 요인들은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음을 볼 때, 인간의 언어 소통 안에 구조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합리성의 발견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실 사회의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지 않음으로 그의 비판이론의 한계를 가늠하게 한다. 한편 하버마스의 지나친 낙관론은 계몽주의를 계승하여 여전히 하나님의 도우심과 필요를 거부하는 인간의 오만함으로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B.비판이론에 대한 교육철학적 논의
하버마스 비판이론의 중추가 되는 의사소통 행위 이론은 인간에게 내재된 언어능력과 판단능력을 통하여 합리적인 의사소통의 상호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상호 이해 도달은 외부적인 강제나 강압에 의해 도출된 합의가 아닌 행위 주체들 간의 합리적으로 동기 지워진 자발적인 합의를 의미한다. 그는 합리적인 토론을 통해 공적 견해를 자유롭게 형성하고, 사회 구성원들의 다양한 참여의 확대를 통해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 상황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규범의 결정은 합리적 주체의 독단적인 선택이나 결정의 문제에서 벗어나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필요로 한다.
이 모든 것들은 교육적으로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개념들이다. 이미 1980년대를 넘어오면서 한국의 학교들에서도 활성화되고 있는 토의 학습법은 이러한 자유 민주주의적 의사소통 개념의 교육적 적용일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은 보편적 규범을 획득하는 것에 있어서 편협하고 고립된 개인적 주체에서 벗어나 타자와 관계를 맺고 상호 호혜적 관계 속에서 합의를 도출해냄으로 공동체의 소속원으로서의 사회성과 공동체 자체의 연대성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토의학습법과 더불어 역할놀이(Role-play) 또한 상호 협력적 관계 속에서 진리를 찾아가는 여정이 될 것이다.
교사들 역시 더 이상 완벽한 진리의 담지자가 아니라 학생들과 자유로운 토의를 통해 가장 합리적인 해결책을 모색해가는 방법으로 학습법에 대한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은 특별히 실험을 통해 가설을 증명해 내야 하는 자연 과학 교육에서 원만하게 적용되어질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Ⅳ.요약 및 결론
A.요약 및 결론
하버마스의 비판이론은 계몽주의 사상의 흐름을 타고 인간의 이성과 진보에 대한 신뢰를 여전히 견지하고 있는 이론이다. 계몽주의의 신뢰는 베버로부터 시작해서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를 거쳐 비관적으로 전망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하버마스는 사회를 발전시키는 주된 기둥을 여전히 인간의 합리성으로 보고 새로운 낙관론을 제시하기에 이르렀다. 그 합리성의 근거로 인간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보편화용론을 내세웠는데, 이것은 베버의 형식적 합리성 아래에서 합목적적 행위와 호르크하이머의 도구적 이성과는 다르게 일상 생활세계 속에서 합리적 의사소통이 가능함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하버마스의 이론은 우리의 교육적 현실에서도 종래의 교사 중심의 비판 불가능한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 중심으로의 전환 내지는 교실과 학습의 민주적인 방법으로의 전환을 꿈꾸게 해 주는 밑받침이 된다. 또한 기독교적 관점에서도 하버마스의 이론은 인간은 이미 구조적으로 보편적 관계(특별히 언어) 속에 창조되었으며, 보편적인 가치를 공유할 수 밖에 없는 존재임을 다시 한 번 확정지어주는 기독교적 가치관의 근거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그의 이성에 대한 지나친 신뢰와 낙관은 끝끝내 기독교 내에서 신에 대한 거부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소지도 안고 있음을 보았다.
우리는 하버마스 이론 안에 펼쳐져 있는 인간의 자율성과 이성적 판단 능력, 그리고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있는 하나의 공동체로서의 인간을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의 교육적 적용으로서 도덕교육에 있어서 토의 학습법, 자연과학 교육에 있어서 실험을 통한 진리 도출, 역할 놀이를 통한 학생들의 참여 확대 등 여러 가지 긍정적 기여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을 행함에 있어서 여전히 현재의 인간은 한계 지워진 특수한 상황 속에 처해 있음을 받아들이고 절대적 존재로서 신 앞에서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이 지혜와 지식의 근본”(잠 1:7, 9:10)임을 다시 한 번 마음에 새겨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엄정식외, 현대철학 특강, (서울:철학과 현실사, 1999)
2.윤평중,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 (서울: 교보문고, 1991)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1.29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39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