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이론과 도덕교육에 적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이론과 도덕교육에 적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피아제
1. 아동의 도덕판단
2. 도덕교육에 적용

Ⅱ. 콜버그
1. 콜버그 도덕발달이론
2. 도덕교육에 적용

Ⅲ. 리코나
1. 리코나의 인격교육론
2. 도덕교육에 적용

Ⅳ. 뒤르켐
1. 뒤르켐 도덕이론
2. 도덕교육에 적용

Ⅴ. 반두라
1. 반두라의 사회인지 이론
2. 도덕 교육에 적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교함으로써 정당화시키려는 유리한 비교, 책임 소재의 이동, 집단이 발생시키는 결과가 나쁜 것일수록 그 결과에 대한 개인적 책임감을 덜 느끼게 된다는 책임감의 분산, 결과의 무시와 왜곡, 비인간화, 정확하게 원인을 논하려고 하지 않는 비난의 전가 등이 있다.
이러한 그의 이론에 따르면 우리가 비도덕적인 행동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개인의 도덕적 표준을 설정하고, 자기 규제 능력을 발휘해야 한다.
2. 도덕 교육에 적용
반두라의 사회인지 이론에 의하면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고 영향을 받으므로 타인의 행동을 보고 그것으로부터 배운다. 이렇게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학습하는 것을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이라고 한다. 행동주의의 대표적인 학자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의 원리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러나 스키너와는 달리 강화가 많은 인간 행동을 통제하기는 하나 절대적으로 통제하지 못하며, 강화의 효과는 행동과 그 결과간의 관계에 대한 인간의 의식에 의해 좌우된다고 주장하는 등 인간의 내면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졌다.
반두라의 관찰학습은 주의집중단계, 파지단계, 재생단계, 동기화의 단계의 네 단계를 거친다.
즉 모방하려는 행위에 주의를 집중하여 관찰하며(주의집중단계), 여기서 관찰된 내용을 기억하고(파지단계), 실제로 모방을 하는 것(재생단계)이다. 이러한 모방은 강화를 통해 행동의 동기를 높여주게 된다(동기화의 단계).
그러나 반두라의 이러한 이론이 가진 한계점은 비록 스키너에 비해서는 인간의 내면에 주의를 기울이기는 했으나 이것이 매우 미약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물론 사회적 상황도 중요하지만 인간의 정신적 측면이나 의지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고 생각한다. 또한 학습을 행동적 습관으로 어떤 자극에 대한 특수한 반응으로만 정의하여 학습을 통해 변화하는 인지구조에는 주목하고 있지 않다. 이것은 지나치게 환경 결정론적인 입장이 아닐까 생각된다. 또 행동주의에 따르면 학습자의 선행지식 보다는 교사는 바람직한 행동을 교육목표로 확인하고 행동을 일으키는 경험을 설정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이것은 자칫 주입식 교육으로 빠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설정한 목표 아래서 학생의 참여와 의지 결정을 중요시하며, 학습 내용과 관련된 선행지식을 많이 주어 학습내용을 쉽고 의미 있게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학습자의 능동적 역할과 기능을 중요시 해야 한다.
따라서 반두라의 이론에 이러한 한계점들을 보완하면서 「질서를 잘 지키자」라는 수업의 목표 아래, 실제 도덕 수업의 현장에 한번 적용해 보려고 한다. 주의집중단계 먼저 아이들에게 버스나 지하철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의 모습(혼잡한 모습과 순서를 잘 지키는 모습)을 보여주어 아이들 스스로가 어떠한 모델링이 긍정적일지 판단하도록 한다. 멀티미디어를 이용한다면 주의집중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파지단계 관찰한 내용을 기억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말과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아까 관찰한 영상을 보고 아이들이 어떠한 느낌을 받았는지 말로 표현해 본다던가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 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또한 그림을 그려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재생단계 모방하려는 것을 실제 행동으로 옮겨 본다. 즉 화장실이나 가상의 버스 정류장 등을 설정하여 아이들이 줄을 설 때와 그렇지 않을 때를 직접 체험해 본다. 아이들이 관찰한 모델링과 비교함으로써 실제 상황과 괴리되지 않았음을 경험해 보도록 하는 것이다. 동기화의 단계 마지막으로 강화를 통해 행동의 동기를 높여 준다. 관찰학습에서의 강화는 관찰자에게 강화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하고 동기를 부여한다. 아이들에게 화장실이나 버스를 탈 때 질서를 잘 지키는 친구를 찾아내도록 하여 다른 친구들 앞에서 그 아이를 칭찬해 보는 기회를 마련한다. 이러한 정적 강화는 아이들이 모방한 모델링을 실천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리라 보여 진다.
단순히 교과서 내용으로만이 아닌, 아이들에게 긍정적 모델링을 보여주고 모방을 잘 이끌어 내며,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의견을 말하는 시간을 갖는 등의 학습자의 능동성까지도 고려하는 수업을 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교육이 될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참고문헌>
서강식, 2007,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교육이론, 인간사랑
송준수, 2006,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신명희 외 공저, 2005, 교육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서강식, 2002, 도덕과 교육론, 양서원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2.0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03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