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제 1 장 역사가와 사실
제 2 장 사회와 개인
제 3 장 역사와 과학과 도덕
제 4 장 역사에서의 인과관계
제 5 장 진보로서의 역사
제 6 장 넓혀지는 지평선
맺 음 말
제 1 장 역사가와 사실
제 2 장 사회와 개인
제 3 장 역사와 과학과 도덕
제 4 장 역사에서의 인과관계
제 5 장 진보로서의 역사
제 6 장 넓혀지는 지평선
맺 음 말
본문내용
서 론
E.H.Carr의 ‘역사란 무엇인가’는 널리 알려진 현대의 명저이며 일반적인 지식 대중의 역사학에 대한 욕구를 상당히 충족시켜 준 저서라고 한다. 이 책은 강연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사례들이 풍부한 장점이 있는 반면 그 덕분에 내용의 요점을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번역본이라는 것도 그에 한 몫 거든 요인이며 또한 우리가 역사학에는 문외한이라는 것은 이 책을 이해하고 또 비판하기에는 가장 큰 난점이 아닐까 싶다. 이것을 읽으면서 가장 먼저 든 의문은 과연 이 책이 일반적인 지식 대중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역사학 입문서라고 소개하는 것이 타당할까? 하는 것이다. 우리의 생각으로는 어느 정도 인문 사회학적 지식 수준을 갖춘 사람은 되어야 저자의 의도를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넘어선 비판적인 글읽기가 가능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그런 이유로 물론 비판적인 글읽기가 목적이긴 하지만 이번 기회를 통하여 세계적으로 명저라고 불리는 이 책을 정독하여 내용을 잘 이해하는 것 만으로도 유익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초기의 비판적 글읽기의 초점은 이 책을 바탕으로 한 사회를 보는 눈에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책의 비판이 아니라 자칫 피상적인 사회비판으로 글의 성격이 바뀔 수 있다는 조원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약간의 궤도 수정이 불가피 했다. 따라서 철저하게 책을 중심으로 하여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가능한 한도 내에서 책의 비판을 해 보았다.
제 1 장 역사가와 사실
카는 1장에서 역사적 사실과 그것을 다루는 역사가에 관해 말한다. 19세기에 유행했던 사실 지상주의 그리고 그에 반하는 역사가의 역할을 강조한 견해를 검토하면서 그 둘을 적절히 조화하는 것, 즉 역사란 사실과 역사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탄생하는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정의한다. 먼저 역사적 사실이란 것은 역사가의 해석에 의해 선택된 것들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이라는 것은 역사의 객관성과 가치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쉽게 간과해서는 안 되는 문제이다. 사실은 역사가가 사실에 입김을 불어넣었을 경우에만 역사적 사실로 남는 것이다.
19세기는 사실을 매우 존중하던 시대였다. 특히 랑케는 ‘도덕주의적 역사에 대해서 정당한 항의를 시도하고, 오직 틀림없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뿐이다’라고 말하면서 역사가의 임무는 객관성을 유지하며 정확한 사실을 기록하여 후세에게 전달하는 것뿐이라고 말한다.
E.H.Carr의 ‘역사란 무엇인가’는 널리 알려진 현대의 명저이며 일반적인 지식 대중의 역사학에 대한 욕구를 상당히 충족시켜 준 저서라고 한다. 이 책은 강연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사례들이 풍부한 장점이 있는 반면 그 덕분에 내용의 요점을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번역본이라는 것도 그에 한 몫 거든 요인이며 또한 우리가 역사학에는 문외한이라는 것은 이 책을 이해하고 또 비판하기에는 가장 큰 난점이 아닐까 싶다. 이것을 읽으면서 가장 먼저 든 의문은 과연 이 책이 일반적인 지식 대중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역사학 입문서라고 소개하는 것이 타당할까? 하는 것이다. 우리의 생각으로는 어느 정도 인문 사회학적 지식 수준을 갖춘 사람은 되어야 저자의 의도를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넘어선 비판적인 글읽기가 가능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그런 이유로 물론 비판적인 글읽기가 목적이긴 하지만 이번 기회를 통하여 세계적으로 명저라고 불리는 이 책을 정독하여 내용을 잘 이해하는 것 만으로도 유익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초기의 비판적 글읽기의 초점은 이 책을 바탕으로 한 사회를 보는 눈에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책의 비판이 아니라 자칫 피상적인 사회비판으로 글의 성격이 바뀔 수 있다는 조원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약간의 궤도 수정이 불가피 했다. 따라서 철저하게 책을 중심으로 하여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가능한 한도 내에서 책의 비판을 해 보았다.
제 1 장 역사가와 사실
카는 1장에서 역사적 사실과 그것을 다루는 역사가에 관해 말한다. 19세기에 유행했던 사실 지상주의 그리고 그에 반하는 역사가의 역할을 강조한 견해를 검토하면서 그 둘을 적절히 조화하는 것, 즉 역사란 사실과 역사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탄생하는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정의한다. 먼저 역사적 사실이란 것은 역사가의 해석에 의해 선택된 것들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이라는 것은 역사의 객관성과 가치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쉽게 간과해서는 안 되는 문제이다. 사실은 역사가가 사실에 입김을 불어넣었을 경우에만 역사적 사실로 남는 것이다.
19세기는 사실을 매우 존중하던 시대였다. 특히 랑케는 ‘도덕주의적 역사에 대해서 정당한 항의를 시도하고, 오직 틀림없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뿐이다’라고 말하면서 역사가의 임무는 객관성을 유지하며 정확한 사실을 기록하여 후세에게 전달하는 것뿐이라고 말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E H carr 의 역사란 무엇인가
동아시아 문화란 무엇인가
[커피][커피의 역사][커피의 전파][커피의 종류][커피의 재배지역][커피의 효능][커피문화]커...
[캐나다][캐나다문화][캐나다의 문화]캐나다의 역사, 캐나다의 지형 및 지질, 캐나다의 기후,...
[모나코][모나코 역사][모나코 수도 모나코][모나코 경제][모나코 문화][모나코 생활상][모나...
[오세아니아][오세아니아의 역사][오세아니아의 자연환경][오세아니아의 문화관습]오세아니아...
[중국][중국문화][중국의 차문화][중국의 결혼문화][중국의 성문화][중국의 식인문화]중국문...
[독후감] 역사란 무엇인가?
[독후감] 역사란 무엇인가?
학술적글쓰기 - 역사란 무엇인가 (동북공정)
[독후감] 역사란 무엇인가 _ E.H 카
[독후감] E.H. 카(Edward Hallett Carr)의 ‘역사란 무엇인가’를 읽고
[독후감] E. H 카의‘역사란 무엇인가’를 읽고.
[독후감] E.H.카(에드워드 카 Edward Hallett Carr)의 ‘역사란 무엇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