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모성보호법의 개황
2) 논의의 방향
가. 모성보호법이란
나. 모성보호법의 주요 내용
다. 개정된 모성보호법 무엇이 문제인가?
3) 각 계의 입장
2) 논의의 방향
가. 모성보호법이란
나. 모성보호법의 주요 내용
다. 개정된 모성보호법 무엇이 문제인가?
3) 각 계의 입장
본문내용
는 방안을 얻어내긴 했으나 태아검진 및 유, 사산 휴가조항은 삭제되는 등 아쉬움을 남겼다.
정부:
작년 12월 말 민주당은 10대 기쁜 뉴스를 선정. 발표했는데 그 중 '모성보호법 통과 등에 따른 여권 신장'도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올해 1월 14일 김대중 대통령이 연두 기자회견에서 '탁아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출산, 육아 문제는 개정된 모성보호법이 시행되고 있으므로 이미 달성되었다는 것이다.(한겨레 2001.12.26, 2002.1.14 정치면)
4)의원님 입장
모성보호관련법안은 현재의 안건이 아니라 이미 통과된 법령이다. 그러나 이 법이 관행으로 정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그에 걸맞은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이미 앞에서 지적한 바 있다. 첫째, 기업의 자발적인 중장기적인 계획 수립(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대체인력은행제도), 둘째, 개별사업장의 불법행위에 대한 확고한 처벌 강화, 셋째, 비정규직, 계약직 여성도 모성이므로 제도적으로 모성보호를 받을 수 있게 할 것, 넷째, 좀 더 경제적으로 현실성 있는 제도로 개선이 미리 앞서야만 이 법안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다른 많은 사회보장법과 마찬가지로 이것 역시 그저 여성층을 의식한 허울좋은 절름발이 법으로 남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물론 모성보호법이 개정되기 전 여성노동자는 더욱 열악한 환경에서 일했다. 하지만 지금이 출산, 육아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정부가 자화자찬할 시기는 아니며, 오히려 해결해야할 문제가 산더미임을 다시 한번 깨닫고, 여성 인권 신장을 위한 장기적인 계획과 모성보호법의 현실화를 위해 고심해야 할 것이다.
정부:
작년 12월 말 민주당은 10대 기쁜 뉴스를 선정. 발표했는데 그 중 '모성보호법 통과 등에 따른 여권 신장'도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올해 1월 14일 김대중 대통령이 연두 기자회견에서 '탁아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출산, 육아 문제는 개정된 모성보호법이 시행되고 있으므로 이미 달성되었다는 것이다.(한겨레 2001.12.26, 2002.1.14 정치면)
4)의원님 입장
모성보호관련법안은 현재의 안건이 아니라 이미 통과된 법령이다. 그러나 이 법이 관행으로 정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그에 걸맞은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이미 앞에서 지적한 바 있다. 첫째, 기업의 자발적인 중장기적인 계획 수립(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대체인력은행제도), 둘째, 개별사업장의 불법행위에 대한 확고한 처벌 강화, 셋째, 비정규직, 계약직 여성도 모성이므로 제도적으로 모성보호를 받을 수 있게 할 것, 넷째, 좀 더 경제적으로 현실성 있는 제도로 개선이 미리 앞서야만 이 법안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다른 많은 사회보장법과 마찬가지로 이것 역시 그저 여성층을 의식한 허울좋은 절름발이 법으로 남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물론 모성보호법이 개정되기 전 여성노동자는 더욱 열악한 환경에서 일했다. 하지만 지금이 출산, 육아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정부가 자화자찬할 시기는 아니며, 오히려 해결해야할 문제가 산더미임을 다시 한번 깨닫고, 여성 인권 신장을 위한 장기적인 계획과 모성보호법의 현실화를 위해 고심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설명문) 모자 / 모성 보건 사업
제왕절개(C/S)사례보고서- 모성간호학실습
[독후감] 사랑의 기술 (모성애와 부성애, 성애와 자기애) - 내가 느낀 진정한 사랑은 무엇인가
미국의 아동복지(특성, 가정위탁제도, 아동노동법, 모성보호, 사회보장법, 아동복지서비스평...
여성복지론 - 복지국가와 여성정책(여성발전기본법, 남녀고용평등법, 모성보호 관련법, 가족법)
여성건강간호학 학습점검 (1장 여성건강, 2장 여성건강과 모성간호, 3장 여성건강의 실태와 ...
[저출산 고령화사회] KBS 특집기획영상 저출산 고령화 2부, 모성 보고서, 나는 낳고 싶다 감상문
[책 요약] 모성의 담론과 현실 (저자 심영희 외)
[책 요약] 모성의 담론과 현실-어머니의 삶 성 정체성
[요약] 모성의 담론과 현실 (어머니의 성.삶,정체성)
자궁근종 케이스 myoma case study [모성간호실습]
페스탈로찌의 '모든 교육은 모성애에서부터 출발한다.'라는 주장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간호이론]Ramona Mercer-모성역할획득이론(Maternal Role Attainment Theory)
분만1기, 분만1기간호, 신체검진, 분만1기증상, 모성건강력, 질검진, 분만1기사정, 분만1기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