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 비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Ⅰ. 대중문화 비판의 근거
1. 자율성 위협
2. 문화질의 하향 평준화
3. 본질에 대한 피상적인 접근
4. 사회 권력에 의한 이용 가능성

결론

본문내용

의도적인 선동가에 의한 선전은 그들의 의도가 너무나 들여다보이고 성급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정보를 선동가의 뜻대로 받아들이려 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결국 현대 대중사회에서 시민은 비의도적인 선전에 예기치 못한 희생물이 되어버리고 민주주의는 말살된다고 에룰은 결론짓고 있다. Jaque Ellul, Propaganda : The Formation of Men's Attitudes(New York : Vintage, 1973), 특히 3장. Ellul이 그의 선전개념에서 대중문화를 포함시키고 있는 것은 위의 책의 P.110의 각주에서 볼 수 있다.
결론
대중문화의 긍정론을 주장하는 허버트 갠스는 대중문화의 비판론은 사회의 한 집단의 다른 집단에 대한 공격이라고 한다. 교양있는 사람, 양질의 교육을 받은 사람, 세련되고 문화적으로 부유한 사람이 그렇지 못한 부유에 대해 공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옹호론 보다는 비판론이 더욱 설득력, 논리력 있게 들릴 수 있다. 하지만 문화산업, 상품, 제국주의의 문화지배를 통한 여러 가지 비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중문화는 대중적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중문화를 자신의 생활로 받아드리고 수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이 현실이라면 과연 비판이나 옹호에 대해 고민하고 생각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지 의문이 들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논의가 있어야 하는 이유는 보다 나은 문화현상의 현장성에 있다. 현장에서 경험하고 누리고 있는 것에 대한 고찰과 의미 부여에 대한 열망은 각 개인에게 맡길 수 있지만 이를 선택하기 위한 기본적인 관념을 제시해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앞선 많은 주장 가운데서 이분법적인 판단을 한다면 사회과학도로서 위험한 선택이다. 모든 현상은 다양한 해석과 이를 통한 의미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중문화 또한 마찬가지이다. 많은 그룹들의 각기 다른 사고의 틀로 대중문화를 바라보았을 때,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비판과 옹호의 관계는 물과 기름 같은 관계가 아니라 한 상황을 바라볼 수 있는 다양함을 인정하는 물과 색소와 같은 관계로 설명하는 것이 옳다. 대중문화를 경험하지 않는다면 비판과 옹호 모두 논의될 수 없는 내용이다. 이러한 주장이 대중문화, 고급문화 모두를 인정함으로 대중문화를 옹호하는 입장을 띠고 있다고 한다면 부정할 수 없다. 대중문화는 수용하되 비판적 시각을 지녀야 하는 사명이 우리에게 있기 때문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4.15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9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