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roll의 이론과 학교학습모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Carroll의 생애 및 업적

Ⅲ.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
1) 학습에 필요한 시간
(1) 적성(aptitude)
(2) 수업이해력(ability to understand instruction)
(3) 수업의 질(quality od instruction)
2) 학습에 소비한 시간
(1) 학습기회(opportunities to learn)
(2) 학습지속력(perseverance)
3) 완전한 모형

Ⅲ.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의 적용

Ⅳ.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의 시사점

Ⅴ. 맺는말

본문내용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이다.
또한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은 데이비드 윌리와 아넷 그래트, 하미쉬 포져와 같은 사람의 연구에 영감을 불러 일으켰다. 그들은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이 그들이 개발한 전체 학교 프로그램 평가에 크게 관련성이 있음을 보았다. 그리고 학교 학습에 관한 연구에서 가장 집중적이고, 체계적으로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을 이용한 것은 캘리포니아의 ‘초임교사 평가(The beginning teacher evaluation) 연구’였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 과제 몰두 시간(TOT; time on task)’의 개념을 더 다듬어서 소위 ‘학문적 학습 시간(ALT; academic learning time)’이라고 불리는 개념을 생성했다. 학문적 학습 시간은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학습 과제에 몰두하는 시간에 대한 학생들이 학습에 성공하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개념으로써, 학생 간에 또 학급 간에 큰 변산이 있음을 그들은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비율이 학생들의 성취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았다. 그래서 이 프로젝트 디렉터는 교사들이 모든 학생들의 ALT 비율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그들의 수업을 조직하도록 권하고 있다. 이 학교학습모형은 그 외에도 많은 교육 영역에서 일관되고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미국은 물론 많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 큰 영향을 미쳤다.
Carroll은 자신의 모형이 교육이론가와 실천가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준 것은 '학습시간(time in learning)'이라고 본다. 학습커브가 학습시간의 양, 또는 시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는 연구를 여러 학술지와 교재에서 자주 발견하게 됨을 지적하면서 이런 의미로써의 학습시간은 계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시간 동안에 일어나는 그 무엇임을 강조하였다. Carroll은 일부학자, 예를 들면, Karweit(1983)가 학습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고 보는 것과는 달리, 학습시간에 학습자의 머릿속에서 무엇이 일어나는지 의미 있게 측정하기는 어렵다고 보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것만큼은 확실히 말할 수 있다고 본다. 그는 자신의 학교학습모형이 주는 주요 메시지는 바로 이것임을 강조한다. 그리고 자신이 제안한 모형이 이 문제에 주의를 주도록 함으로써 과제몰두시간(TAT)과 학문적 학습시간(ALT)의 연구를 자극했다는 점에서 그 효과는 매우 유익했다고 본다. 그러나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학습시간이 하나의 주요 변인으로 고려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그는 과학자로서의 교육심리학자들이 서로 다른 적성을 가진 학생들이 어떤 주어진 과제를 학습하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학습시간을 소비할 필요가 있는가를 추정할 수 있는 적절한 절차와 방법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고 본다.
Ⅴ.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의 시사점
Carroll은 학교학습모형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남기고 있다.
첫째, 모든 학생이 특정과제의 학습에 필요한 시간을 모두 마칠 수 있다면, 100%의 학습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측면이다.
둘째,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은 절대평가를 지향한다.
셋째, 완전학습이 토대가 되었다.
넷째, 주오 인지적기술적 학습을 위한 것이고, 정의적 학습에까지 활용할 것을 전재로 하지 않는다.
다섯째, 모형에 포함된 모든 변인에 대한 세심한 고려를 통해서 학생성취에 대한 진단과 교정에 좀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즉, 저성취나 과잉성취의 개념을 잘못 사용하는 오류를 덜 범하게 된다.
여섯째, 적성(학습 준비도 개념으로 사용됨)의 정확한 측정을 위한 하나의 지침을 제시하였는데, Travers의 적성 변인 범주에 Carroll 자신이 또 하나의 번부를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Travers의 적성 변인 범주는 훈련에 부과되는 제 행동특성 중 학습자가 이미 학습한 정도, 특정과제 학습을 위해서 반드시 미리 취해져야 할 행동특성 중, 학생이 이미 습득한 정도, 학습을 촉진시켜 주는 관련행동 중, 학생이 이미 습득한 정도, 학습효과에 필요한 변별력, 불안, 탐색적 충동 등의 동기변인의 변인을 포함하고 있고, Carroll이 추가한 범주는 훈련에서 학습되어야 할 행동구조를 가지고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다.
Ⅵ. 맺음말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은 결코 교육을 위한 도깨비 방망이로 제공된 것이 아니다. 이 모형은 주로 지시적 수업에 관한 연구의 지침으로써, 그리고 학생 성취에 있어서의 변산에 대한 해석을 위한 지침으로 의도된 것이었다. 이 모형은 이러한 목적을 매우 잘 달성하였다. 이 모형의 확장과 개선을 통해서 많은 교육 연구자들이 수업에 관한 연구문제를 보다 분명하고 예리하게 지각하고 형성할 수 있었다. EH한 많은 연구들이 이 모형과 그 확장 모형을 최대한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이루어져야만 한다.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의 많은 측면들이 적절하게 연구되었다고는 결코 말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적성과 학습 속도와의 관계, 그리고 적성이 낮은 학생들이 그들이 학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돕는 것과 관계가 있는 수업의 질 등은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이 새로운 유형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기 위한 기반으로 이용되고 있음은 실로 큰 의미고 하겠다. Bloom의 ‘숙달학습’ 개념에 기초한 프로그램, 피츠버그 대학교의 개별 처방 수업, 그리고 초임교사 평가 연구들은 아주 핵심적인 사례들이며, 모두가 전통적이거나, 인습적인 프로그램보다 더 우수함이 증명된 것들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어떤 것도 학습과 성취에 있어서의 개인차를 제로점으로까지 줄일 수 있으리라고 기대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런 모형들이 긴 기간동안 적용된다면, 교육의 성취수준을 매우 높은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있다.
<참고 문헌>
전성연(2003). 교수-학습의 이론적 탐색. 원미사.
변영계(1999). 교수-학습이론의 이해. 학지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저(1998).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과학사.
이성호(1999). 교수방법론. 학지사.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5.02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3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